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5:54:30

4호 전차/운용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4호 전차
1. 개요2. 유럽
2.1. 중부유럽
2.1.1. 독일2.1.2. 체코슬로바키아2.1.3. 헝가리2.1.4. 스위스2.1.5. 폴란드
2.2. 남유럽
2.2.1. 크로아티아 독립국2.2.2. 이탈리아 왕국2.2.3. 유고슬라비아 연방2.2.4. 스페인국2.2.5. 루마니아2.2.6. 불가리아
2.3. 동유럽
2.3.1. 소련2.3.2. 우크라이나
2.4. 서유럽
2.4.1. 영국2.4.2. 프랑스
2.5. 북유럽
2.5.1. 핀란드
3. 아시아
3.1. 서아시아
3.1.1. 튀르키예3.1.2. 이스라엘3.1.3. 시리아
4. 아메리카
4.1. 북아메리카
4.1.1. 미국

1. 개요

4호 전차의 운용국을 정리한 문서.

2. 유럽

2.1. 중부유럽

2.1.1. 독일

파일:Deutsches_Panzermusem_Munster_(48892681336).jpg
문스터 전차 박물관 소장 독일 아프리카 군단 소속 4호 전차 G형 413호
원조 사용국 및 개발국으로, 나치 독일 시기인 1930년대부터 패망 직전까지 주력 기갑차량 중 하나로 운용하였다가, 현재도 문스터 전차 박물관에 소장된 4호 전차를 의장용으로 운용 중에 있다.

2.1.2. 체코슬로바키아

파일:Banska_Bystrica_2018_02.jpg
슬로바키아 국립 봉기 박물관 소장 체코슬로바키아 육군 소속 T-40/75
전후 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은 자국에 유기되었거나 격파된 4호 전차 G형, H형, J형을 모은 뒤 재생하거나, 소련군으로부터 지원받은 4호 전차들을 "T-40/75"라는 제식명으로 운용했다.

이후 공산당의 쿠데타로 사회주의 정권이 들어서고, T-34-85"T-36"이라는 제식명으로 라이센스 생산을 하게 되자, T-40/75를 퇴역시키고 1956년에 55대의 T-40/75를 시리아에게 판매한다.

2.1.3. 헝가리

파일:magyar_PzIV_Turret.jpg
헝가리 군사 박물관 소장 헝가리 육군 소속 4호 전차 포탑
1942년부터 1944년까지 독일로부터 F1형, G형, H형, J형을 공여받아 운용했다.

종전 이후로는 잔존 4호 전차들을 해체하여 전차호로 만들어 헝가리-크로아티아 국경에 배치하였으며, 현재는 헝가리 군사 박물관에 해당 전차호로 이용되었던 4호 전차의 포탑이 소장 되어있다.

2.1.4. 스위스

파일:Panzermuseum_Thun_Pz.Kpfw._IV_Ausf._H.jpg
툰 전차 박물관 소장 스위스 육군 소속 4호 전차 H형
프랑스로부터 4호 전차 H형 1대를 기증받아 테스트용으로 사용했다.

2.1.5. 폴란드

파일:Poland_Panzer_IV.jpg
폴란드 무기 박물관 소장 폴란드 육군 소속 4호 전차 J형
제2차 세계 대전 중, 1대의 4호 전차 H형이 1944년 이탈리아 전선에서 자유 폴란드 제2군단에 노획되었으며, 폴란드 국내군도 독일군으로부터 노획해 사용했다.

이밖에도 폴란드 인민군 측에서도 소수를 사용했는데, 현재는 폴란드 무기 박물관에 J형 1량이 소장 중에 있다.

2.2. 남유럽

2.2.1. 크로아티아 독립국

파일:croatian_Panzer_IV_Long_Barrel.png
1944년 말 독일에서 4호 전차 훈련을 받는 크로아티아군
1944년에 독일로부터 4호 전차 F1형, 4호 전차 G형을 공여받아 운용했다.

2.2.2. 이탈리아 왕국

파일:Panzer_IV_G_Division_M_CCNN.jpg
이탈리아 왕국군 제1검은셔츠기갑사단 "M" 소속 4호 전차 G형
1942년 연합국의 기갑전력에 맞서기 위해 이탈리아 왕국은 독일에게 3호 전차와 4호 전차 라이센스 생산을 요청하지만 관료적 문제 등 때문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갈수록 이탈리아 왕국의 기갑전력이 빈약해지자, 1943년 5월 독일은 12대의 4호 전차 G형, 12대의 3호 돌격포 G형, 12대의 3호 전차 N형을 이탈리아 왕국에게 공여, 제1검은셔츠기갑사단이 운용했다.

그러나, 1943년 이탈리아 왕국이 연합국으로 전향하며 독일군은 제1검은셔츠기갑사단에 공여한 전차 및 돌격포 전량을 회수하였으며, 이 때문에 현재 이탈리아에 남아있는 4호 전차는 존재하지 않는다.

2.2.3. 유고슬라비아 연방

파일:Kalemegdan_Military_Museum_Panzer_IV.jpg
칼레메그단 요새 군사 박물관 소장 유고슬라비아 육군 소속 4호 전차 H형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르티잔이 노획한 단차들을 1960년대까지 사용하였다.

2.2.4. 스페인국

파일:El_Goloso_Carro_de_Caobate_Panzer_IV_H.jpg
엘 골로소 군사 박물관 소장 4호 전차 H형
1943년 11월에 프랑코 정권에서 4호 전차 H형 20대를 수입해 1960년대까지 운용했다. 퇴역 이후 17대의 4호 전차 H형은 시리아에 판매되었으며, 현재 스페인에는 3대가 남아있다.

2.2.5. 루마니아

파일:Muzeul Militar National_T-4.jpg
페르디난트 1세 국립 군사 박물관 소장 T-4[1]
루마니아 왕국 당시, 독일로부터 4호 전차 다수를 공여받아 "T-4"라는 명칭으로 제식화하여 운용했으며, 세계 대전 종전 이후, 독일의 잔재를 없애자는 의견에 따라 차례대로 퇴역하였으며, 현재는 1량이 페르디난트 1세 국립 군사 박물관에 소장 중에 있다.

2.2.6. 불가리아

파일:Pz.Kpfw. IV Ausf. H (n° 67) – Museum of Battle Glory.jpg
전투 영광 박물관 소장 불가리아 육군 소속 마이바흐 T-IV H
독일로부터 공여받은 4호 전차 G형을 "마이바흐 T-IV G", 4호 전차 H형을 "마이바흐 T-IV H"라는 제식명으로 운용했다. 1944년에 불가리아 왕국이 추축국에서 연합국으로 전환한 후에 불가리아 왕국은 소련군으로부터 4호 전차를 공여받아 운용했다.

2.3. 동유럽

2.3.1. 소련

파일:37621566iq.jpg
쿠빙카 전차 박물관 소장 소련 육군 소속 T-IV
독일군으로부터 노획해 "Т-IV"라는 제식명으로 운용했다.

2.3.2. 우크라이나

파일:Panzer_IV_ukraine_war.jpg
크레민나 인근에서 격파된 우크라이나 육군 소속 T-40/75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2023년 10월 경 크레민나 인근에서 우크라이나군이 복원된 T-40/75를 기만용으로 투입한 것이 알려졌다.

2.4. 서유럽

2.4.1. 영국

파일:Panzerkampfwagen_IV_Ausfuhrung_D_front-right_2017_Bovington.jpg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4호 전차 D/G형[2]

2.4.2. 프랑스

파일:Panzerkampfwagen_IV_Ausführung_J_in_the_Musée_des_Blindés.jpg
소뮤아 전차 박물관 소장 자유 프랑스군 노획 4호 전차 J형
프랑스는 독일군이 유기하고 간 G형, H형, J형을 노획해 1950년까지 약 60대를 운용했으며, 그 중 약 50대가 퇴역 후 시리아에 판매되었다.

2.5. 북유럽

2.5.1. 핀란드

파일:Pz.Kpfw._IV_Ausf.J_Nelonen-Ravistin.jpg
파롤라 전차 박물관 소장 핀란드 방위군 소속 4호 전차 J형 "Ps 221-6호차"
계속전쟁 시기 3호 돌격포 G형 "수트루미"와 마찬가지로 "4호 (넬로넨/Nelonen)", 혹은 "라비스틴"[3] 명칭으로 수입해 운용하였다.

3. 아시아

3.1. 서아시아

3.1.1. 튀르키예

파일:Etimesgut_T4.jpg
에티메스구트 전차 박물관 소장 튀르키예 육군 소속 T4
중립국이었던 튀르키예가 추축국에 가입하기를 원했던 아돌프 히틀러는 1943년부터 튀르키예에게 3호 전차, 4호 전차,5호 전차를 공여했다. 튀르키예는 15대의 4호 전차 G형을 독일로부터 공여받았지만, 추축국에 가입하지 않고 중립국으로 남았다. 독일의 전세가 뒤집힌지 오래인 1945년 초, 튀르키예는 연합국에 가입한 후 독일에 선전포고를 했다.[4]

3.1.2. 이스라엘

파일:Panzer-IV-batey-haosef.jpg
이스라엘 방위군 역사 박물관 소장 이스라엘 방위군 소속 T-40/75
제3차 중동전쟁 시기 시리아군으로부터 T-40/75 소수를 노획하여 사용했던 기록이 남아있다.

3.1.3. 시리아

파일:Yad_la_Shryon_syrian_T-40-75.jpg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 소장 시리아 육군 소속 T-40/75 (DShK)
대전 후에는 시리아군의 사용이 특히 유명한데 시리아는 4호 전차와 더불어 3호 돌격포4호 구축전차, 훔멜 등의 다른 독일 기갑차량들도 다수 사들여 운영했다.

시리아군이 보유했던 4호 전차의 경우 정확한 수량은 알 수 없으나 대부분 버려지거나 격파된 차량을 재생한 것이었는데, 프랑스군에서 4호 전차 40여 대 정도를 공여받았으며, 재생공장을 갖추고 200대가 넘는 4호 전차를 재생해 보유하고 있던 체코슬로바키아에서도 다수를 사들였고 스페인에서도 구입을 했다. 이 전차들은 1940년대 후반부터 1967년까지 사용되었고 이스라엘군과 격돌하기도 했다.

1950년에서 1952년 사이에 프랑스로부터 40대의 4호전차 G형, J형을 구매했으며 1956년에는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55대의 T-40/75를, 1965년에는 스페인국으로부터 17대의 4호 전차 H형을 구매해 3차 중동전쟁 당시 사용했다.

시리아군은 구매, 공여받은 T-40/75에 DShK 기관총과 전용 마운트를 설치하여 T-40/75 (DShK)로 개수해 사용하였다.

4. 아메리카

4.1. 북아메리카

4.1.1. 미국

파일:AAF Museum_T-40-75.jpg
구 AAF 박물관 소장 당시 이스라엘 방위군 소속 T-40/75
북아프리카 전역 및 서부전선 중, 오버로드 작전, 아르덴 대공세, 독일 본토 진격전 등에서 독일 국방군 측에게 노획하여 사용한 기록이 존재한다.

그런데 AAF 박물관에는 정말 특이한 기록을 지니고 있는 T-40/75가 소장되어 있었는데, 해당 단차는 최장기 실전 운용 4호 전차라는 타이틀을 지니고 있다.

사연은 이러한데, 해당 단차는 원래 4호 H형으로 제작되어, 독소전쟁 중 체코슬로바키아 전역에 투입되었으나 소련군에 의해 노획되었고, 소련군은 해당 단차를 운용하지 않고 체코슬로바키아 측에게 인수하였다고 한다.

종전 후, 체코슬로바키아에서는 기존 공장에서 생산되고 있던 4호 전차는 물론 운용 중이거나 국토 각지에 유기된 4호 전차를 싸그리 긁어모아 T-40/75로 개수작업을 진행하였는데, 해당 단차또한 T-40/75로 개수를 받게 되었다.

이후, 해당 단차는 1950년대 잔존한 다수의 T-40/75를 판매하고자 한 체코슬로바키아 정부에 의해 시리아로 팔려나갔으며, 6일 전쟁 당시 실전을 치렀으나, 골란 고원에서 패퇴한 시리아군은 해당 단차를 유기하고 후퇴해버렸고, 이에 이스라엘 방위군은 해당 단차를 노획해[5]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에 소장하다가, AAF 박물관 측에서 4호 전차를 조건으로, 자신들이 소유하고 있는 M3 스튜어트를 교환하는 제안을 하였는데, 야드 라 시론 박물관 측에서 해당 제안을 받아들이면서 해당 단차는 미국으로 이송되어 대전 초기 독일 국방군 도색으로 재도색을 받은 뒤 최근까지 AAF 박물관에서 안식을 취했으나, AAF 박물관이 코로나 여파를 결국 이겨내지 못하고 2023년 결국 폐업하게 돼버리면서 어떤 처분을 받았는지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르노 FT17조차 판매 표지판이 내걸린걸 보면 어딘가로 팔려가는 것은 사실상 확정인데, 그게 고물상이냐 개인소장이냐 다른 박물관이냐가 아직 확인되지 않은것.#

해당 단차는 제2차 세계 대전부터 6일 전쟁까지 단 1번의 피해없이 실전을 치렀지만, 막상 해당 단차의 인원들은 끝까지 분전한 것이 아니라 중간에 해당 단차를 유기하고 전장에서 이탈했다는 것이 그야말로 아이러니할 따름이다. 참고로 M4A2 중에서도 해당 단차와 비슷하게 단 1번의 유효타조차 허용하지 않고 종전을 맞이한 캐나다군의 "폭탄"이라는 네임드 차량이 존재한다.[6]


[1] J형이다.[2] 나치 독일의 준군사조직 NSKK가 전차병 훈련용으로 사용하던 차량이다.[3] 칵테일 셰이커라는 뜻이다. 3호 돌격포보다 내부가 많이 흔들린다는 뜻으로 붙은 별명이다.[4] 비슷한 경우가 계속전쟁 당시 핀란드군인데, 연합군의 승세로 전황이 기울자 핀란드가 연합군 측에 붙으며 그때까지 전차를 구매하는데 들었던 대금을 지불하지 않고 차량들은 그냥 접수했다.[5] 연료 및 탄약이 전부 남아있어 자력 주행 및 전투까지도 가능할 정도로 상태가 매우 좋았다고 한다.[6] 아예 피해를 입지 않은 해당 전차와 달리 이쪽의 경우에는 1번 피격당한 전과가 있다. 그러나 인원들 모두 경상에 그치고 "폭탄"도 당일 바로 수리를 끝내고 전장에 투입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6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6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