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4 10:52:41

Black Holes and Revelations

BHaR에서 넘어옴
파일:뮤즈(밴드) 로고.svg파일:뮤즈(밴드) 로고 백색.svg Discography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41GQHBYYEZL.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use-OOS.jpg
파일:external/thumbnailer.mixcloud.com/eb87-8851-4dc0-b72c-5fbd4a75b090.jpg
파일:external/farm1.static.flickr.com/341821531_c010f75e60_o.jpg
파일:external/ukutabs.com/The-Resistance1.jpg
Showbiz
1999
Origin of Symmetry
2001
Remastered 2021
Absolution
2003
Remastered 2023
Black Holes
and Revelations

2006
The Resistance
2009
파일:external/cdn2.thr.com/muse_2nd_law_album_art_a_s.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useDronesCover.jpg
파일:Simulation Theory.jpg
파일:willofthepeople.jpg
The 2nd Law
2012
Drones
2015
Simulation Theory
2018
Will of the People
2022
}}}}}}}}} ||

Black Holes and Revelations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00,#fff><tablebgcolor=#e2e678><width=90>
파일:StuBru_logo.png
|| Studio Brussel 선정 500대 명반
32위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00,#fff><tablebgcolor=#e2e678><width=90>
파일:StuBru_logo.png
|| Studio Brussel 선정 500대 명반
2014년 32위 ||

파일: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jpg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파일:100BEAT 로고.png <keepall> 100BEAT 선정 2000년대 베스트 앨범 100
68위

파일:타임지 로고.svg 타임지 선정 2000년대 100대 앨범
64위

파일:attachment/Black Holes and Revelations/Example.jpg
발매 2006.06.28
녹음 2005년 ~ 2006년
장르 얼터너티브 록
재생 시간 45:28
곡 수 11곡
프로듀서 리치 코스티
배급 Warner Music Korea Lt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트랙리스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트랙 곡명 링크
<colcolor=#E12E2E,#ddd> 1 Take a Bow
2 Starlight
3 Supermassive Black Hole
4 Map of the Problematique
5 Soldier's Poem
6 Invincible
7 Assassin
8 Exo-Politics
9 City of Delusion
10 Hoodoo
11 Knights of Cydonia
12 Glorious[1]
}}}}}}}}} ||

1. 개요2. 특징3. 트랙 리스트
3.1. Take a Bow3.2. Starlight3.3. Supermassive Black Hole3.4. Map of the Problematique3.5. Soldier's Poem3.6. Invincible3.7. Assassin3.8. Exo-Politics3.9. City of Delusion3.10. Hoodoo3.11. Knights of Cydonia3.12. Glorious (Bonus Track)

[clearfix]

1. 개요

2006년 6월 28일 출시한 영국 락밴드 Muse의 네 번째 앨범이자 2집을 이은 또다른 명반.[2] 이 앨범 투어때 처음으로 한국에 왔다.

2. 특징

본격적으로 키보드 사운드를 활용하기 시작한 앨범이며, 팬들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카오스패드"[3]도 이때부터 쓰기 시작했다. 이전 앨범들에 비해 밝은 멜로디가 다수 차용되었고, 기타 또한 기존의 직선적인 리프 스타일에서 한단계 진보하여 더 다양하고 그루브 넘치는 연주를 선보인다. 덕분에 이전까지의 공격적인 사운드에 진입장벽을 느끼던 리스너들에게도 추천되는 앨범이다. 후기 뮤즈 특유의 글램록 색채의 신호탄이라고도 볼 수 있다.

전작에서 앨범 구성에 있어 통일성과 유기성에 큰 비판을 받았으나, 이 앨범의 경우 뮤즈 커리어 전체를 통틀어서도 트랙 배치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각 곡들별로 다양한 사운드를 선보였음에도 그 완성도가 훌륭하였기에, 평론가들에게 특히 큰 사랑을 받는 편.

앨범 아트힙노시스의 스톰 소거슨이 담당했다. 묵시록의 4기사를 형상화했다고.

3. 트랙 리스트

3.1. Take a Bow

3.2. Starlight

3.3. Supermassive Black Hole

3.4. Map of the Problematique

3.5. Soldier's Poem

3.6. Invincible

3.7. Assassin

3.8. Exo-Politics

3.9. City of Delusion

3.10. Hoodoo

3.11. Knights of Cydonia


3.12. Glorious (Bonus Track)



[1] 보너스트랙[2] 2집에 이어 평론가들에게 역시 많은 사랑을 받는 앨범이다. 팬들에게는 평론가들에게 받는 격찬만큼은 아니지만, 훌륭한 앨범이라는 것이 중론.[3] 정확히는 XY 미디 컨트롤러다. 카오스 패드는 KORG사에서 제작한 디제잉 장비(이펙터 샘플러) 카오스 시리즈 제품의 명칭이다.(카오실레이터, 카오스패드) 뮤즈의 라이브 세션맨 모건 니콜스가 라이브에서 카오스패드 KP3를 사용하며, 라디오헤드의 명반 Kid A의 첫 트랙 'Everything in Its Right Place'에서도 사용되었다.[4] 부제가 Church of the Sub Genius인데,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 같은 패러디 종교다. 가사에서도 굉장히 종교를 비꼰다.[5] 출시 전에는 앨범에 들어갈 가능성이 아주 높다고 얘기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