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18:37:42

ENDER MAGNOLIA: Bloom in the Mist


엔더 시리즈
ENDER LILIES: Quietus of the Knights ENDER MAGNOLIA: Bloom in the Mist
ENDER MAGNOLIA: Bloom in the Mist
엔더 매그놀리아: 블룸 인 더 미스트
파일:ENDER MAGNOLIA.png
개발 Live Wire, adglobe
유통 BINARY HAZE INTERACTIVE
플랫폼 NS | PS5 | PS4 | XSX|S | Windows
ESD 닌텐도 e숍 | PSN | MS Store | Steam
장르 메트로배니아, 다크 판타지
출시 앞서 해보기
2024년 3월 25일
정식 출시
2025년 1월 23일
엔진 언리얼 엔진 4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15세이용가.svg 15세 이용가
해외 등급 파일:CERO C.svg CERO C
파일:ESRB Teen.svg ESRB T
파일:PEGI 12.svg PEGI 12
공식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스팀 아이콘.svg | 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아이콘.svg | 파일:닌텐도 e숍 아이콘.svg

1. 개요2. 등장인물3. 게임 관련 정보4. 엔딩5. OST6. 용어7. 평가8.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의 게임 제작사인 Live Wire, adglobe가 제작한 메트로배니아 게임. ENDER LILIES: Quietus of the Knights의 후속작.

==# 발매 전 정보 #==
<colbgcolor=#2e2e2e>
닌텐도 다이렉트 파트너 쇼케이스 2024.2.21 트레일러

2023년 8월 24일, 엔더 릴리즈의 후속작을 개발 중이라는 소식이 공개되었다.# 디렉터는 1탄과 동일한 오카베 케이스케.

2024년 2월 21일, 닌텐도 다이렉트를 통해 타이틀명과 상세한 정보가 발표되었다. 발매 플랫폼은 엔더 릴리즈와 동일하며 본작 또한 공식 한국어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2024년 3월 25일부터 앞서 해보기(Early Access)가 시작되었다.

타이틀명은 ENDER MAGNOLIA: Bloom in the Mist. 전작 엔더 릴리즈처럼 게임 제목에 꽃의 이름이 들어갔다.

엔더 릴리즈의 시간대에서 수십 년 후가 배경으로, 장소는 '그을음의 나라'.[1][2] 중심 소재는 호문쿨루스.

그을음의 나라는 설정상 마법공학과 기계 문명이 발전하여 계층화된 스팀펑크 풍의 마법 대국으로, 사람들에게 눈부신 미래를 가져다 줄 인공생명체 호문쿨루스를 만들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사람들을 도와야 했을 호문쿨루스가 나라를 멸망시키는 원흉이 되었다고 한다. 스팀 상점 페이지의 시놉시스에 의하면 지하에서 올라온 오염된 연기로 인해 호문클루스들이 정신을 잃고 괴물로 변모해버렸다는 모양.

나라가 완전히 멸망하지는 않아 엔더 릴리즈하고는 달리 화를 피해 생존한 사람들이 꽤 많이 남아있는데, 그을음의 나라 지하에 있던 방대한 마력들이 독기로 가득한 오염된 연기가 되어 온 나라를 덮쳐서 능력이 있는 국민들은 연기가 닿지 않는 상층부로 도주한 상태고 능력이 없는 가난한 국민들은 연기와 호문쿨루스들이 가득한 하층부에 살고 있다. 연기를 막아주는 마도구가 있어서 그나마 연명하고 있는 거라고.[3]

주인공은 라일락이라는 이름의 소녀이며, 흑기사 포지션의 파트너는 놀리라는 이름의 호문쿨루스.[4] 호문쿨루스 놀리와 약속을 주고 받은 라일락이 황폐화된 그을음의 나라를 함께 탐험하는 내용이다.

엔더 릴리즈와 같은 세계관이긴 하지만 주인공도, 작품의 배경도 바뀌고 시간마저 수십년이 지난 만큼 엔더 릴리즈의 주인공인 백무녀 릴리가 등장할지는 아직 불명이다.[5]

수호부 원석의 텍스트에 따르면 그을음의 나라 동쪽에 끝자락의 나라가 있었다고 언급된다. 즉, 작중 배경은 전작의 서쪽에 위치해 있다.

2.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NDER MAGNOLIA: Bloom in the Mist/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게임 관련 정보

3.1. 전작과의 차이점

스킬 업그레이드의 개념이 변경되었다. 전작은 6단계에 걸친 업그레이드로 스탯을 강화하거나 새로운 공격 형태를 해금하는 식이었는데, 본작에서는 각 배틀 모델별로 2개의 새로운 공격 형태를 해금하는 식으로 변경되었다. 덕분에 같은 호문클루스라도 다른 공격 형태를 채택하여 스킬을 조합하는 재미가 증가했다. 다만 한 호문쿨루스의 스킬을 두 종류 이상 동시에 사용할 수는 없다. 또한 전작에 존재하던 스킬 사용 횟수가 삭제되어 마음껏 쓸 수 있다.

전작에서 가장 혹평을 받았던 단점인 불편한 지도 시스템이 크게 개선되었다. 미니맵을 통해서도 플레이어의 현재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구역별 면적만을 표시하던 전작의 불편한 미니맵에서 현재 있는 구역의 형태와 면적을 확실하게 알 수 있는 형태로 바뀌었다. 구역 내 모든 출입구를 해방하고, 숨겨진 아이템을 모두 찾으면 그 구역 내에서 가지 않아서 미니맵상으로 보이지 않던 곳도 간 것으로 처리된다. 숨겨진 요소를 전부 확인하면 구역의 색이 파랗게 변경됨으로 직관적으로 더 이상 찾을 것이 없다는 것을 알려준다.

전작의 더블 점프, 대쉬, 빠른 이동 기능들이 초반부터 열린다. 특히 대쉬는 전작에서는 중반에 다가가서야 간신히 열렸던 기능이다.

얼리 엑세스 시절엔 싸움의 기억이 있었지만 보스의 수가 너무 많았던 건지 정식 출시와 함께 삭제되었다.

필드에서 곳곳에서 모을 수 있는 자원인 머티리얼과 정크가 추가되었다. 머티리얼은 크래프트 숍에서 필요한 물건을 제작하는데 쓰이고 정크는 중반부 부터 열리는 유품 정제소에서 유품들을 강화하는데 사용된다. 사물을 부수기만 하면 얻을 수 있는 머티리얼과 달리 정크는 적에게 부위 파괴를 일으켜야만 소량 획득 가능하므로 더욱 희소한 자원이다.

3.2. 스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NDER MAGNOLIA: Bloom in the Mist/스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장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NDER MAGNOLIA: Bloom in the Mist/장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유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NDER MAGNOLIA: Bloom in the Mist/유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아이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NDER MAGNOLIA: Bloom in the Mist/아이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메시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NDER MAGNOLIA: Bloom in the Mist/메시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7.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NDER MAGNOLIA: Bloom in the Mist/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8. 보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NDER MAGNOLIA: Bloom in the Mist/보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9. 지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NDER MAGNOLIA: Bloom in the Mist/지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0. 도전과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NDER MAGNOLIA: Bloom in the Mist/도전과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 기타 팁

4. 엔딩

===# A 엔딩: 결계 계승 #===
파일:Endermagnolia-A ending.jpg

놀리는 자신이 결계를 이어받겠다고 결심하고 '죽을 각오로 그 자격을 증명하겠다'며 결국 길로이를 쓰러뜨린다.
매그놀리아……!!! 머, 멈춰……!!! 부탁이니…… 제발……!!! 이 고통을…… 너에게…… 너에게만은…… 물려주고…… 싶지 않아…… 오로지 그 이유만으로…… 나는……
- 길로이, 결계로 다가가는 매그놀리아를 향해

놀리는 다른 방법이 있을 거라며 혼자 가지 말라는 라일락을 달랜 뒤, 홀로 결계를 유지하는 자리로 들어간다.
이후 상층 윗부분으로 광선이 솟구치고 결계가 회복되는 모습이 나오며 엔딩 스탭롤이 나온다.

그러나 이후 핏빛 목련과 그를 바라보는 라일락의 모습이 비춰지며 석연치 않은 분위기가 그려진다.

파일:Endermagnolia-A ending title.jpg
A엔딩을 본 이후에는 결계가 회복된 그을음의 나라의 모습이 타이틀에 나온다.[6]

===# B 엔딩: 끝의 시작 #===
파일:Endermagnolia-B endging.jpg
B엔딩을 보기 위해서는 우선 근원의 땅을 찾아내 그 곳에 묶여있는 릴리아를 찾아내야 한다. 그러나 릴리아는 홀로 오염을 감당하고 있기 때문에 바로 깨울 수는 없고[7], 이국의 무녀를 만나 오염을 정화하기 위한 애뮬릿을 만들어야 한다.

이국의 무녀는 마법 학교에서 처음 만날 수 있으며, 이후 붉은 숲의 붉은 꽃을 정화하고, 근원의 땅에서 릴리아가 있는 곳에서 다시 한 번 만난 뒤 중층의 붉은 꽃 근처에 머무른다. 여기까지 퀘스트를 진행하면 자신이 가진 부적은 이미 효력을 다했다며 그을음의 나라의 오염에 대해서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필요한 것은 두 가지로, 오염된 눈동자와 근원의 땅 석판.
오염된 눈동자는 결정 비경 쪽으로 진입한 근원의 땅에서 예란, 레이볼크와 만나 레이볼크를 조율하면 획득하며, 근원의 땅 석판은 지하수로 쪽으로 접근한 근원의 땅의 비밀 방에서 르뷔에게 건네받을 수 있다. 이 두 가지를 무녀에게 가져다주면 오염을 막는 애뮬릿[8]을 건네주며, 비로소 릴리아를 깨워 대화가 가능해진다.

릴리아와 대화를 통해 현재 결계를 유지하는 것은 근원의 땅에서 흘러나오는 근원 마력이며, 지금 오염이 안으로 새어드는 것은 결계를 유지하는 길로이가 부분적으로 변이체가 되며 결계에 균열이 생겼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따라서 아예 결계를 파괴하고, 근원 마력 전부를 오염된 비를 향해 해방하면 오염은 해결될 수 있다.
결계를 파괴할 경우 릴리아 쪽에서도 근원 마력을 컨트롤해야 하기 때문에[9] 릴리아의 오염된 반지를 받게 되며, 이를 착용하고 길로이와의 최종전투에 진입하게 된다.

A엔딩과는 달리 전투가 2페이즈가 추가되어 총 4페이즈 전투를 치르게 되며[10] 승리 후에는 길로이의 외피가 완전히 파괴되어 버린다. 하지만 근원 마력을 이용하는 이상 시간이 지나면 다시 부활하기 때문에, 그 전에 재빨리 결계로 다가가 놀리의 강화된 궁극기로 결계를 파괴하게 된다.[11]

엔딩 이후에는 하얗게 피어난 목련을 놀리와 라일락이 함께 바라보는 장면을 보여주며 끝난다.

파일:Endermagnolia-B ending title.jpg

5. OST

작곡가는 전작과 같은 Mili.

6. 용어

7. 평가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333,#555><#333>
기준일:
2025-01-24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ender-magnolia-bloom-in-the-mist/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ender-magnolia-bloom-in-the-mist/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기준일:
2025-01-24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파일:오픈크리틱 mighty-man.png 평론가 평점
90 / 100
평론가 추천도
100%
유저 평점
유저 평점 / 100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1b2838,#555><bgcolor=#1b2838>
기준일:
2025-01-31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725260/#app_reviews_hash| 압도적으로 긍정적 (9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725260/#app_reviews_hash| 매우 긍정적 (9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8. 기타


[1] 첫 발표 때는 '연기의 나라'라고 번역되었으나 앞서 해보기 출시 이후 '그을음의 나라'로 번역이 변경되었다.[2] 엔더 릴리즈에서 언급된 6개의 나라 중 하나일 수도 있다.[3] 사람들의 허리춤에 달린 파랗게 빛나는 랜턴 비슷한 물건이 이 마도구다. 라일락 역시 달고 있는 걸 볼 수 있다.[4] 데모 오프닝의 내용에 따르면 라일락은 조율자라는 호문클루스에 관련된 일에 종사하는 이들 밑에 길러지다 모종의 사태로 깨어날 당시 누워있던 장치 속에 봉인되었으며 놀리는 노동용 치고는 고상한 외형을 하고 있다는 설명으로 전작의 흑기사와 비슷하게 떡밥을 남기고 있다.[5] 일단 조율사장의 일지에서 끝자락 나라의 원주민 소녀의 주술과 이를 탐내는 마법사가 존재한다는 걸 보면 간접적으로 릴리가 언급될 가능성은 있다. 일단 그녀가 끝자락의 나라에서 모든 일을 마친 뒤의 행적은 확인되었으니 생존은 확실. 또한 낡은 마법사의 일지에서 근원의 땅이라는 장소에 도달하지 못한다면 마력고갈 혹은 오염이라는 저주에 잠식되건 그을음의 나라의 멸망은 피할 수 없다는 내용이 쓰여져 있으며 동료로 삼을 수 있는 호문클루스 중에는 멸망한 이웃 나라에서 온 연구자가 주도한 동물-인간 융합 실험의 피험체라는 설정이 있는 등 생각 이상으로 전작과 연관지을 수 있는 정보가 많다. 작중 호문클루스를 동료로 삼는 라일락의 모습이 릴리와 흡사한 것을 보아 호문클루스의 개발 과정에서 끝자락의 나라의 기술이 상당 부분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6] B엔딩을 먼저 보더라도 나중에 본 엔딩을 기준으로 타이틀이 변경된다.[7] 사실 라일락도 백무녀의 핏줄을 타고났기 때문에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릴리아를 정화한다면 라일락이 변이되어 미쳐버릴 것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이국의 무녀는 라일락을 지키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해 지금은 정화할 수 없다고 선의의 거짓말을 한 것.[8] 전작의 수호보구와 동일한 모습이다.[9] 릴리아는 이미 근원 마력으로 연명하는 상황이라 근원의 땅을 벗어날 수도 없었고, 그마저도 오염으로 사라지려는 이성을 가까스로 붙들고 있어 시간 자체가 많지 않았다.[10] 특이하게도 기존의 페이즈 사이에 한 번, 최종 페이즈로 마지막에 한 번이 추가되는 형식이다.[11] 이 때 근원 마력이 사라지면 남은 호문쿨루스들도 가진 마력이 다한 뒤 죽게 되지만, 놀리는 마치 수명을 지닌 인간과 같지 않느냐며 라일락을 웃게 한다.[12] 다만 실제 목적은 근원의 땅으로 향하기 위한 탐사용으로 제작되었으며 이를 위해 오염에 대한 내성이 부여되었다고 한다.[13] 중층에서 처음 길로이와 대결했을 때 "원주민의 피를 이은 조율사 따위 진작에 근절해버렸어야 했다."라고 말한 것을 보아 전작의 백무녀들처럼 생존한 무녀 일족과 결혼해 피를 섞었던 것으로 추정된다.[14] 몇몇 유품과 문서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과거 지금의 모습으로 뒤틀리기 전의 붉은 숲을 영지로 가지고 있었으나 영지를 빼앗기고 중층부에서 부평초처럼 떠돌았다고 한다.[15] 이 붉은 연꽃은 이후 이국의 무녀와 만난 이후, 하나씩 무녀가 정화하여 흰 꽃으로 변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