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배구 연맹 주관 대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인 | |||
올림픽 (남자부 / 여자부) | 세계 선수권 (남자부 / 여자부) | |||
VNL (남자부 / 여자부) | 챌린저컵 (남자부 / 여자부) | |||
연령별 | ||||
청소년 세계선수권 (남자부 - U-21, U-19 / 여자부 - U-20, U-18) | ||||
클럽 | ||||
클럽 세계 선수권 대회 (남자부 / 여자부)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00%;" {{{#fff {{{#!folding [ 폐지 대회 ] | 월드리그 (남자부) | 월드그랑프리 (여자부) | |
월드컵 (남자부 / 여자부) | 그랜드챔피언스컵 (남자부 / 여자부) |
FIVB 여자 발리볼네이션스리그 | |
| |
정식 명칭 | FIVB 여자 발리볼네이션스리그 (FIVB Volleyball Women's Nations League) |
창설 | 2018년 |
참가 자격 | FIVB 회원국 |
참가국 수 | 16개국 |
최근 우승국 | |
최다 우승국 | |
대한민국 중계 | 쿠팡플레이 |
FIVB Nations League |
[clearfix]
1. 개요
FIVB 발리볼네이션스리그의 여자부 대회.2. 참가국
코어 팀 | ||||||||||
| | | | | | | | | | |
코어자격 상실국 |
시즌 | 챌린저 팀 | ||||
2018 | | | | | |
2019 | | | | | |
2021 | | | | | |
2022[1] | | | | | |
3. 역대 대회
3.1. 2018
대한민국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번호 | 이름 | 포지션 | 신체 | 생년월일 | 소속팀 |
1 | 나현수 | OPP | 183cm | 99.09.15 | ||
2 | 김주향 | OH/OPP | 184cm | 99.03.27 | | |
3 | 김해란 | L | 168cm | 84.03.16 | | |
4 | 김희진 | OPP | 185cm | 91.04.29 | | |
5 | 이효희 | S | 173cm | 80.08.26 | | |
6 | 이나연 | S | 173cm | 92.03.25 | | |
8 | 임명옥 | L | 175cm | 86.03.15 | | |
9 | 정선아 | MB | 184cm | 98.09.30 | | |
10 | 김연경 | OH | 192cm | 88.02.26 | | |
11 | 김수지 | MB | 187cm | 87.06.20 | | |
12 | 김채연 | MB | 183cm | 99.12.11 | | |
13 | 박정아 | OH | 187cm | 93.03.26 | | |
14 | 양효진 | MB | 190cm | 89.12.14 | | |
15 | 강소휘 | OH | 180cm | 97.07.18 | | |
16 | 김연견 | L | 163cm | 93.12.01 | | |
17 | 이재영 | OH | 179cm | 96.10.15 | | |
18 | 유서연 | OPP | 173cm | 99.01.12 | | |
19 | 이다영 | S | 179cm | 96.10.15 | | |
20 | 나현정 | L | 163cm | 90.03.10 | | |
21 | 이원정 | S | 177cm | 00.01.12 | | |
25 | 박은진 | MB | 188cm | 99.12.15 |
}}}}}} ||
- {{{#!folding 개최 도시 (클릭)
- 예선 리그: 예카테린부르크, 닝보, 링컨, 바루에리, 토요타, 수원, 마카오, 앙카라, 아펠도른, 크랄레보, 방콕, 홍콩, 로테르담, 장먼, 나콘랏차시마, 비드고슈치, 슈트트가르트, 바우브지흐, 에볼리, 산타페
- 6강전: 난징
}}} - 최종 순위
순위 | 국가 |
1 | |
2 | |
3 | |
4 | |
5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3.2. 2019
- {{{#!folding 개최 도시 (클릭)
- 예선 리그: 오폴레, 루세, 브라질리아, 베오그라드, 코넬리아노, 앙카라, 마카오, 아펠도른, 홍콩, 링컨, 방콕, 코르트레이크, 페루자, 슈트트가르트, 도쿄, 장먼, 앙카라, 닝보, 예카테린부르크, 보령
- 6강전: 난징
}}} - 최종 순위
순위 | 국가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3.3. 2021
순위 | 국가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3.4. 2022
- {{{#!folding 개최 도시 (클릭)
- 예선 리그: 슈리브포트-보셔시티, 앙카라, 브라질리아, 파사이, 캘거리,
우파→소피아[3] - 토너먼트: 앙카라
}}} - 최종 순위
순위 | 국가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3.5. 2023
3.6. 2024
- 최종 순위
순위 | 국가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4. 역대 수상
5. 메달 집계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계 |
1 | 3 | 0 | 0 | 3 | |
2 | 2 | 0 | 0 | 2 | |
3 | 1 | 1 | 1 | 3 | |
4 | 0 | 3 | 0 | 3 | |
5 | 0 | 1 | 2 | 3 | |
6 | 0 | 1 | 0 | 1 | |
7 | 0 | 0 | 2 | 2 | |
8 | 0 | 0 | 1 | 1 | |
합계 | 6 | 6 | 6 | 18 |
6. 관련 틀
{{{#!wiki style="margin: 0 -11px -4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e5e5e5 | <rowcolor=#FFF>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미셸 바취-해클리 | 안드레아 드류스 | [a] | 미셸 바취-해클리 | 파올라 에고누 | ||
<rowcolor=#FFF> 2023년 | 2024년 | |||||
멜리사 바르가스 | 파올라 에고누 | |||||
대회의 전신은 2017년 폐지한 월드그랑프리다. | ||||||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대회 미개최 | ||||||
메이저대회 MVP | 올림픽 · 세계선수권 · 월드컵 · 월드그랑프리 · 네이션스리그 · 그랜드챔피언스컵 · 클럽세계선수권 | ||||||
MVP · 베스트팀 |
{{{#!wiki style="margin: 0 -11px -4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e5e5e5 | OP | OH | MB | S | L | ||
2018 | |||||||
카이세타 | 바취-해클리 | 주팅 | 에르뎀 | 딕슨 | 외즈바이 | 핀루 | |
2019 | |||||||
카라쿠르트 | 가비 | 리우얀한 | 코레아 | 워싱턴 | 마크리스 | 코트니 | |
2021 | |||||||
카이세타 | 바취-해클리 | 가비 | 에르뎀 | 가타즈 | 폴터 | 웡-오란테스 | |
2022 | |||||||
에고누 | C.보세티 | 가비 | 카롤 | 스테바노비치 | 오로 | 데 젠나로 | |
2023 | |||||||
바르가스 | 리잉잉 | 루카시크 | 귀네슈 | 위안신웨 | 다오린위 | 기젬 외르게 | |
2024 | |||||||
에고누 | 사리나 | 실라 | 파르 | 코르넬루크 | 오로 | 코지마 | |
대회의 전신은 2017년 폐지한 월드그랑프리다. | |||||||
MVP · 베스트팀 |
[1]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러시아가 퇴출되어 불가리아에 출전권이 넘어갔으나, 불가리아는 코어 국가가 아니라 챌린저 국가로 출전하게 되므로, 코어 11개국, 챌린저 5개국이 되었다.[2] 코로나 19로 인한 간소화[3]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개최지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