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10:53:03

ISU-152/실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SU-152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ISU-152|
파일:ISU-152(3D,백).png
파일:ISU-152(3D,흑).svg
]]
}}}
파생형 실전 운용국 미디어

1. 제2차 세계 대전

1.1. 독소전쟁

1.1.1. 바그라티온 작전

파일:Romanian_ISU-152_bagration.jpg
바그라티온 작전 당시의 소련 육군 소속 ISU-152 "베를린으로 진격!" "다에시" 322호차[1]
ISU-152가 최초로 실전을 치른 것은 바로 바그라티온 작전이었는데, 선임 자주포였던 SU-152에게서 바통을 건네받고 대전차, 대보병, 대물을 가리지 않고 화끈하게 뭐든지 격파하는 성능 덕에 독일군을 몰아내는 데 큰 공을 세웠다.

1.1.2. 동프로이센 공세

파일:isu-152-guns-east-prussia-april-1945.jpg
동프로이센 공세 당시 진격 중인 소련 육군 소속 ISU-152 자주포 소대
동프로이센 공세 당시 소련군 소속으로 다수가 투입되어 독일군과 전투를 치렀다.
파일:isu-152-d0b7d0b2d0b5d180d0bed0b1d0bed0b8cc86-in-kocc88nigsberg-1945.jpg
쾨니히스베르크 포위전 당시의 소련 육군 소속 ISU-152
쾨니히스베르크 포위전 당시에도 소련군이 사용했는데, 건물 안에 숨어있는 독일군들을 건물 째로 포격해 무너뜨려 그대로 전멸시키는 한편, 벙커와 같은 단단한 구조물도 박살내면서 전투가 승리로 돌아가는데 큰 공을 세웠다.

1.1.3. 베를린 공방전

파일:berlin_ISU-152.jpg
베를린 공방전 당시의 소련 육군 소속 ISU-152 "1161호차"
베를린 공방전 당시에도 다수가 투입되어 일부 개체의 경우 판처파우스트나 대전차포에 의해 격파되었지만, 그럼에도 독일군에게 반격을 가하여 베를린을 함락하는데 공을 세웠다.

1.1.4. 프라하 공방전

파일:isu-152-czechoslovakia-may-1945.jpg
프라하 공방전 당시의 소련 육군 소속 ISU-152
프라하 공방전 당시에도 다수의 차량이 투입되어 잔존 독일군들을 끝장내는 활약을 하였다.

1.2. 소련-일본 전쟁

1.2.1. 만주 전략 공세 작전

파일:ISU-152_manchuria.jpg
만주 전략 공세 작전 당시 늪지를 도하 중인 소련 극동군 소속 ISU-152 "152호차"
만주 전략 공세 작전에도 다수가 투입되어 관동군을 몰아내는 활약을 하였다.

1.3. 계속전쟁

파일:finnish_captured_ISU-152_1212.jpg
핀란드 방위군 노획 소련 육군 소속 ISU-152 "1212호차"
계속전쟁 당시 소련군이 주력 자주포로 사용하였다.

1.3.1. 탈리-이한탈라 전투

파일:Soviet ISU-152 assault gun has been destroyed by a panzerfaust in Ihantala, June 1944.jpg
탈리-이한탈라 전투 당시 판처파우스트에 격파된 소련 육군 소속 ISU-152[2]
탈리-이한탈라 전투 당시 ISU-152 여러 문이 투입되었으나, 핀란드 방위군의 매복 공격으로 대다수가 격파되었으며, 이 중 2문은 1944년 6월 25일 핀란드 방위군에게 노획되었다.
파일:finnish_ISU-152_destroyed.jpg
격파된 핀란드 방위군 소속 ISU-152[3]
핀란드군의 경우 전투 당시 소련군으로부터 ISU-152 2문을 노획했으나 1문은 1944년 6월 29일에 소련군의 T-34-85에 의해 격파당했으며, 다른 1문인 "1212호차"는 계속전쟁 종전 이후 냉전 초기까지 핀란드군 소속으로 사용되었다.

2. 냉전

2.1. 헝가리 혁명

파일:ISU-152_176_Abondoned.jpg
헝가리 혁명 당시 화염병 공격으로 인해 격파된 소련 육군 소속 ISU-152K "176호차"
헝가리 혁명을 진압하기 위해 소련군 소속으로 다수가 투입되었으나 화염병 공격에 의해(...) 격파되거나, 혹은 유기되는 등의 상당한 손실을 입었다.

2.2. 중동전쟁

2.2.1. 6일 전쟁

파일:6_day_war_egyptian_isu-152_and_T-34-85.jpg
6일 전쟁 당시 시나이 반도에서 격파된 이집트 육군 소속 ISU-152와 T-34-85CZ
소련에게 구매한 차량들을 배치하여 일정 지점에서 자주포로 사용했으며, 비단 ISU-152 뿐만 아니라 ISU-T나, BTT-1도 시나이 반도를 방어하는 지점에 투입되었으나 결국 패퇴하였다.

2.2.2. 욤 키푸르 전쟁

파일:ISU-152-egypt-1973-2.jpg
욤 키푸르 전쟁 당시의 이집트 육군 소속 ISU-152
6일 전쟁 시기와 마찬가지로 잔존개체를 사용하였으나 전황이 불리해지며 후퇴하던 도중, 한 문을 유실하였는데 이 유실된 단차는 이스라엘 방위군이 노획해 잠시간 사용하였다.

2.3.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파일:crush1.jpg
사고 지역 내의 농가를 철거 중인 소련 육군 제22근위전차사단 소속 ISU-152 "129호차"
1983년 소련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발생한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에 투입되었다.

당시 사고를 수습하기 위해 중장비란 중장비는 모두 긁어모아 투입했는데, 전자장비가 탑재되지 않은 구형 차량 중에서도 장갑이 두꺼워 어느 정도 방호력을 기대할 수 있고[4] 무포탑 차체라 납 코팅을 바르기 용이했던 ISU-152은 최적의 선택이었던 것.
체르노빌 발전소는 노심 용융으로 인해 방사성 물질이 지하수를 오염시킬 가능성을 우려해 노심 용융을 늦추는 냉각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었는데, 당시까지도 접근 불가능 수준의 방사능을 뿜어내고 있던 노심에 접근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ISU-152 자주포가 동원되었다.

ISU-152가 대구경 직사포로 발전소 외벽을 사격하여 구멍을 뚫으면 그 구멍으로 액체질소 파이프를 삽입하는 방법이 고려되었으나 테스트 사격 결과 한 발 정도로는 충분히 큰 구멍을 뚫을 수 없고, 여러 발을 집중 사격하기에는 붕괴의 위험이 너무 커서 대신 소련 전역에서 광부들을 소집하여 원자로 밑의 땅을 파고 들어가 냉각시설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동원된 10여 문 남짓의 ISU-152는 실사격 대신 체르노빌 소개 지역의 제독 작업에 투입되어 가옥과 같은 구조물을 파괴하고 땅을 갈아엎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ISU-152 뿐만 아니라 소련군이 운용하던 다양한 장비들이 프리피야트에 투입되어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들은 작업이 끝난 이후 방사능에 오염된 채로 제한 구역 내에 방치되어 있다.

2.4. 걸프 전쟁

파일:crushed_IRAQI_ISU-152.jpg
걸프 전쟁 당시 다국적군에 의해 격파당한 이라크 국경수비대 소속 TSD-152
걸프 전쟁 당시 이라크 국경수비대 소속으로 ISU-152가 투입되었으나 시대가 시대인 만큼 대전차전을 치르는 것이 아닌 자주포로 사용되었으며, 몇몇 차량은 항공 지원에 의해 격파되기도 하였다.

[1] 시기 불명, 루마니아에서 촬영된 사진이다.[2] 다른 각도에서 찍힌 사진. 해당 차량은 판처파우스트에 의해 탄약고가 유폭되어 궤도 및 전투실 일부분이 사라졌다.[3] 1944년 6월 29일 촬영된 사진. 해당 ISU-152는 T-34-85에게 격파되었다. 출처 격파된 ISU-152 앞의 트럭은, 소련군에 의해 격파된 목탄차 트럭이다.[4] 콘크리트 만큼은 아니지만 철판이 두꺼우면 두꺼울 수록 방사능 보호 능력이 강화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68
, 8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6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