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6 00:39:16

NATO군/편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NATO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E3D90, #42A0D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2e3d90><colcolor=#fff> 문서 <colcolor=#000,#fff>북대서양 조약 · 북대서양 조약 기구 사무총장 · NATO 표준화 사무소 · 표준화 협정
군사 NATO군(NATO군/계급 · NATO군/편제) · NATO 보고명 · NATO 합동 군사 기호 · NATO 공용 3색 · NATO군 vs 러시아군 · NATO 표준 음성 기호 · ESSI
사건사고 냉전 · 유고슬라비아 전쟁 · 신냉전 }}}}}}}}}}}}

1. 개요2. 냉전
2.1. 유럽연합군사령부 / Allied Command Europe
3. 현재
3.1. 연합작전사령부 / Allied Command Operations3.2. 연합변혁사령부 / Allied Command Transformation3.3. 코소보군 / Kosovo Force

1. 개요

NATO군냉전 당시 소련바르샤바 조약군를 맞상대할 수 있을 정도로 방대한 규모를 가지고 있었다. 이 중 유럽연합군 최고사령부는 당시 바르샤바 조약기구 가맹국 합동군과 직접적으로 대치하고 있었기에 최신 및 정예 전력이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었다. 특히 서독 최전방 지역에는 전부 군단급 부대들이 촘촘하게 자리잡고 있었다.[1] 하지만 냉전이 종전된 이후, 회원국 대다수가 군축을 하면서 규모가 축소되었다. 이 중 독일이 가장 군축을 심하게 했는데, 분단 시절의 군비 경쟁에 대한 반동이 세게 왔던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NATO에 가입한 前 바르샤바 조약군 최전방이었다가 후방이 된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알바니아, 불가리아도 군축이 많이 진행되었고, 폴란드와 루마니아는 역으로 후방이었다가 최전방이 된 케이스라 규모는 인민군 시절에서 살짝만 줄어든 정도이고, 기존의 기계화도 NATO표준으로 대체되어서 사실상 예전과 다를 바가 없다.

역대 사령부 목록

2. 냉전

80~90년대 기준으로, 프랑스는 통합군 구조에 불만을 가져 회원국들과 마찰을 빚은 탓에 1966년에 탈퇴해버려서 평시 편성에서는 빠져있다. 대신 전시에 다시 통합군에 합류하는 식으로 NATO의 아군이자 준회원국으로써 입지를 다졌으며 2009년에 완전히 복귀하였다. 스페인은 가입을 늦게 한 탓에 이 통합군에 본격적으로 합류하기도 전에 냉전이 끝나버려서 스페인군도 빠져있다.[2]

2.1. 유럽연합군사령부 / Allied Command Europ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럽연합군 최고사령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대서양연합군사령부 / Allied Command Atlantic #===
===# 해협연합군사령부 / Allied Command Channel #===

3. 현재

3.1. 연합작전사령부 / Allied Command Operation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럽연합군 최고사령부 문서
4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연합변혁사령부 / Allied Command Transformation

3.3. 코소보군 / Kosovo Forc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FOR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북쪽부터 서독-덴마크 군단, 네덜란드 1군단, 서독 1군단, 영국 1군단, 벨기에 1군단, 서독 3군단, 미국 5군단, 미국 7군단, 서독 2군단 #[2] NATO군 편제 출처, 해군 편제[3] 영국 함대사령관이 겸임했다.[F-15] F-15 운용 부대.[5] 미국 대서양함대사령관이 겸임했다.[6] 포르투갈 해군 중장이 임명됐다.[7] 미국 2함대사령관이 겸임했다.[8] 미합중국 함대전력사령부 잠수함군사령관이 겸임했다.[9] 네덜란드 본토해군사령관이 겸임했다.[Alkmaar] 알크마르급 기뢰구축함[Alkmaar] [Alkmaar] [Dokkum] 도쿰급 기뢰부설함[Dokkum] [Dokkum] [Alkmaar] [Alkmaar] [Dokkum] [Dokkum] [Dokkum] [Dokkum] [22] 전시에는 네덜란드 해군사령부의 지휘를 받는다.[Godetia] 고데티아급 군수지원함[Zinnia] 지니아급 군수지원함[Agile] 아질급 기롸부설함[Agile] [Agile] [Agile] [Agile] [Agile] [Wielingen] 빌링겐급 호위함[Wielingen] [Wielingen] [Wielingen] [Adjutant] 어드주턴트급 기뢰부설함[Adjutant] [Adjutant] [Adjutant] [Adjutant] [Adjutant] [Tripartite] 트라이파타이트급 소해함[Tripartite] [Tripartite] [Tripartite] [Tripartite] [Tripartite] [Tripartite] [Tripartite] [Herstal] 에르스탈급 기뢰부설함[Herstal] [Herstal] [Herstal] [Herstal] [Herstal] [Herstal] [Herstal] [Herstal] [Herstal] [59] 영국 제18비행단장이 겸임했다.[Nimrod] 님로드 MR.2[Nimrod] [Nimrod] [Buccaneer] 버캐니어 S.2B[Buccaneer] [Buccaneer] [Jaguar] 재규어 GR.1A[Buccaneer] [Rapier] 레이피어[Nimrod] [Nimrod] [P-3] P-3 오라이언[P-3] [P-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5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5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