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00:32:51

트라이파타이트급 소해함

파일:트라이파타이트급.png
Tripartite-class Minehunter[1]

1. 개요2. 제원3. 상세4. 동형함 목록5. 둘러보기


1. 개요

트라이파타이트급은 네덜란드, 벨기에, 프랑스가 협력해서 개발한 소해함이다.

2. 제원

트라이파타이트급 기뢰탐색함
Tripartite-Class Minehunter
파일:벨기에 트라이파타이트급 1.jpg
<colbgcolor=#eee> 함종 <colbgcolor=#FFF>기뢰탐색함
이전급 도컴급 소해함 (네덜란드)
블루버드급 소해함 (벨기에)
시르세급 기뢰탐색함 (프랑스)
다음급 시티급 기뢰대응함 (네덜란드, 벨기에)
기준배수량 571톤
만재배수량 605톤
전장 51.6m
전폭 8.9m
흘수선 3.8m
동력 <colbgcolor=#eee> 방식 디젤 엔진
기관 브론스-베르크스포르 RUB215 V12 디젤엔진 1기
(1,900SHP)
아스타주 IVB 가스터빈 발전기 3기
(각 88kW | 총 264kW)
추진 5엽 가변 피치 프로펠러 1기
ACEC[2] 선수 추진기 2기
속도 15노트(28km/h)
항속거리 12노트 순항시 5,600km
승무원 승조원 55명
전투체계 SEWACO-M 전투관리체계
스쿠버모르 III 기뢰소해체계
'''
레이더
'''
항법 데카 TM-1229C I밴드 탐색 레이더 1기
소나 함수 톰슨-신트라 DUBM-21B 기뢰 탐지용 소나
무장 '''
기관포
'''
GIAT F2 20mm 90구경장 기관포 1문
기타 M2HB 12.7mm 중기관총 3정
소해 장비 OD-3 오로페사형 계류 소해장비 1조
피스카스 F.82 자기 소해장비 1조
SA 마린 AS.203 음향 소해장비 1조
탑재 무인정 소해용 무인잠수정 2대
• PAP-104 Mk.5 ROV (기존)
• 더블 이글 ROV (2000년대 이후)
• 시 폭스-I ROV (네덜란드)

3. 상세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자성 기뢰가 등장한 후, 비자성 소해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해 전후의 1세대 소해함들은 모두 목재로 건조되었다. 그러나 목재 가격 상승과 목조선 엔지니어들의 은퇴로 인해 FRP로 건조한 소해함 설계가 고려되었다.

이후 1972년에 영국 해군의 윌튼급이 세계 최초의 FRP 소해함으로서 진수되었고, 욤 키푸르 전쟁 동안 기뢰로 막힌 수에즈 운하를 성공적으로 소해 해내어 FRP 소해함의 유용성을 강하게 각인시켰다.

당시 유럽 국가들은 1950년대 목조 소해함들의 대량 생산 이후 목조선에 대한 수요가 거의 없었고, 대규모 소해함 건함 사업으로부터 15~20년의 공백이 있었기 때문에 차세대 소해함 건조 체계를 밑바닥부터 구축해야 했다. 따라서 목조선으로 제작할 필요성이 크지 않아 트라이파타이트급 역시 윌튼급과 마찬가지로 FRP로 제작하기로 결정되었다.

이후 3국은 협정에 따라 표준 설계에 따라 자체 FRP 선체를 제작했다. 프랑스는 기뢰 탐지 시스템과 전자장비를 담당했고, 네덜란드는 주 추진 시스템을 담당했으며, 벨기에는 기뢰 탐지 추진 시스템과 전기 발전기를 담당했다. 당초 세 나라는 각각 15척씩 건조할 계획이었으나, 나중에 예산 문제로 인해 프랑스는 11척, 네덜란드는 12척, 벨기에는 10척으로 줄어들었다.

상부 구조물 내부에 위치한 기뢰 탐지 통제 센터에는 EVEC20 소해 정보처리장치 테이블과 첨단 관성 항법 장비가 설치되어 있고, 데카 Hi-Fix와 실레디스(Syledis) 무선 정밀 항법 장비가 장착되어 있다. 5톤급 컨테이너를 연구, 정찰, 장시간 잠수, 드론 조종 등 다양한 임무를 위해 탑재 할 수 있다.

DUBM-21 소나는 프랑스의 시르세급에 탑재되었던 DUBM-20A의 개량형으로, 0.17도의 분해능을 가진다. 최대 600m 거리에서 100±10k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기뢰를 탐지하며, 기뢰를 찾은 후에는 420±30k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기뢰 종류를 식별한다. 기뢰를 탐지/식별한 후에는 폭약 27발을 탑재한 ROV를 출격시켜 원거리에서 안전하게 기뢰를 폭파시킨다.

4. 동형함 목록

||<-5><tablebordercolor=#CCC><bgcolor=#008080><tablealign=left>
프랑스 해군
Marine Nationale
||
함번 함명 함생 건조사 비고
M641 에리당
FS Éridan
기공: 1977년 12월 20일
진수: 1979년 2월 2일
취역: 1984년 4월 16일
퇴역: 2018년 6월 13일
DCN 퇴역
M642 카시오페
FS Cassiopée
기공: 1979년 3월 26일
진수: 1981년 9월 26일
취역: 1984년 5월 5일
퇴역: 2022년 7월 1일
DCN 퇴역
M643 앙드로메드
FS Andromède
기공: 1980년 3월 6일
진수: 1982년 5월 22일
취역: 1984년 10월 18일
퇴역: —
DCN 현역
M644 페가즈
FS Pégase
기공: 1980년 12월 22일
진수: 1983년 4월 23일
취역: 1985년 5월 30일
퇴역: —
DCN 현역
M645 오리옹
FS Orion
기공: 1981년 8월 17일
진수: 1985년 2월 6일
취역: 1986년 1월 14일
퇴역: —
DCN 현역
M646 크루아 뒤 쉬드
FS Croix du Sud
기공: 1982년 4월 22일
진수: 1985년 2월 6일
취역: 1986년 11월 14일
퇴역: —
DCN 현역
M647 에글
FS Aigle
기공: 1982년 12월 2일
진수: 1986년 3월 8일
취역: 1987년 7월 1일
퇴역: —
DCN 현역
M648 리르
FS Lyre
기공: 1983년 10월 13일
진수: 1986년 11월 14일
취역: 1987년 12월 16일
퇴역: —
DCN 현역
M649 페르세
FS Persée
기공: 1984년 10월 30일
진수: 1988년 4월 19일
취역: 1988년 11월 4일
퇴역: 2009년 7월 8일
DCN 퇴역
M650 사지테르 (1988)
FS Sagittaire
기공: 1985년 11월 13일
진수: 1988년 11월 9일
취역: 1989년 7월 28일
매각: 1992년
DCN 매각[3]
M650 사지테르 (1995)[4]
FS Sagittaire
기공: 1993년 2월 1일
진수: 1995년 1월 14일
취역: 1996년 4월 2일
퇴역: —
DCN 현역
M651 베르소
FS Verseau
획득: 1997년
취역: 불명
퇴역: 2010년 2월 12일
벨리아르 조선소 퇴역
M652 세피
FS Céphée
획득: 1997년
취역: 불명
퇴역: —
벨리아르 조선소 현역
M653 카프리코르느
FS Capricorne
획득: 1997년
취역: 불명
퇴역: —
벨리아르 조선소 현역
네덜란드 왕립 해군
Koninklijke Marine
함번 함명 함생 건조사 비고
M850 Hr.Ms. 알크마르
HNLMS Alkmaar
기공: 1979년 1월 30일
진수: 1982년 5월 2일
취역: 1983년 5월 28일
퇴역: 2000년 5월 15일
GNM[5] 매각[6]
M851 Hr.Ms. 델프질
HNLMS Delfzijl
기공: 1980년 5월 29일
진수: 1982년 10월 30일
취역: 1983년 8월 17일
퇴역: 2000년 6월 19일
GNM 매각[7]
M852 Hr.Ms. 도르드레흐트
HNLMS Dordrecht
기공: 1981년 1월 5일
진수: 1983년 2월 18일
취역: 1983년 11월 16일
퇴역: 2000년 7월 5일
GNM 매각[8]
M853 Hr.Ms. 하를럼
HNLMS Haarlem
기공: 1981년 6월 16일
진수: 1983년 5월 6일
취역: 1984년 6월 12일
퇴역: 2011년 10월
GNM 매각[9]
M854 Hr.Ms. 하를링언
HNLMS Harlingen
기공: 1981년 11월 30일
진수: 1983년 7월 9일
취역: 1984년 4월 12일
퇴역: 2003년 1월 1일
GNM 매각[10]
M855 Hr.Ms. 스헤베닝언
HNLMS Scheveningen
기공: 1982년 5월 24일
진수: 1983년 12월 2일
취역: 1984년 7월 18일
퇴역: 2003년 1월 1일
GNM 매각[11]
M856 Hr.Ms. 마슬라위스
HNLMS Maassluis
기공: 1982년 11월 7일
진수: 1984년 5월 5일
취역: 1984년 12월 12일
퇴역: 2011년 5월
GNM 매각[12]
M857 Zr.Ms. 마컴
HNLMS Makkum
기공: 1983년 2월 25일
진수: 1984년 9월 27일
취역: 1985년 5월 13일
퇴역: 2024년 11월 25일
GNM 공여[13]
M858 Hr.Ms. 미델뷔르흐
HNLMS Middelburg
기공: 1983년 7월 11일
진수: 1985년 2월 23일
취역: 1986년 12월 10일
퇴역: 2011년 12월
GNM 매각[14]
M859 Hr.Ms. 헬레푸츠라위스
HNLMS Hellevoetsluis
기공: 1983년 12월 12일
진수: 1985년 7월 18일
취역: 1987년 2월 20일
퇴역: 2011년 12월
GNM 매각[15]
M860 Zr.Ms. 스히담
HNLMS Schiedam
기공: 1984년 5월 6일
진수: 1985년 12월 20일
취역: 1986년 7월 9일
퇴역: —
GNM 현역
M861 Zr.Ms. 위르크
HNLMS Urk
기공: 1984년 10월 1일
진수: 1986년 5월 2일
취역: 1986년 12월 10일
퇴역: 2022년 6월
GNM 퇴역
M862 Zr.Ms. 지리크제
HNLMS Zierikzee
기공: 1985년 2월 25일
진수: 1986년 10월 4일
취역: 1987년 5월 7일
퇴역: —
GNM 현역
M863 Zr.Ms. 플라르딩언
HNLMS Vlaardingen
기공: 1986년 5월 6일
진수: 1988년 8월 4일
취역: 1989년 3월 15일
퇴역: 2024년 3월 27일
GNM 공여[16]
M864 Zr.Ms. 빌렘스타트
HNLMS Willemstad
기공: 1986년 10월 3일
진수: 1989년 1월 27일
취역: 1989년 9월 20일
퇴역: —
GNM 현역
벨기에 해상구성군
Marinecomponent | Composante Marine | Marinekomponente
함번 함명 함생 건조사 비고
M915 아스터
BNS Aster
기공: 1983년 2월 24일
진수: 1985년 6월 6일
취역: 1985년 12월 16일
퇴역: —
벨리아르 조선소 현역
M916 벨리스
BNS Bellis
기공: 1984년 2월 15일
진수: 1986년 2월 14일
취역: 1986년 8월 13일
퇴역: —
벨리아르 조선소 현역
M917 크로커스
BNS Crocus
기공: 1984년 10월 15일
진수: 1986년 9월 5일
취역: 1987년 7월 5일
퇴역: —
벨리아르 조선소 현역
M918 디안투스
BNS Dianthus
기공: 1985년 4월 17일
진수: 1987년 2월 26일
취역: 1987년 8월 14일
퇴역: 1993년 7월
벨리아르 조선소 매각[17]
M919 푸크시아
BNS Fuchsia
기공: 1985년 10월 28일
진수: 1987년 10월 23일
취역: 1988년 2월 18일
퇴역: 1993년 7월
벨리아르 조선소 매각[18]
M920 아이리스
BNS Iris
기공: 1986년 5월 20일
진수: 1987년 6월 21일
취역: 1988년 10월 6일
퇴역: 1993년 7월
벨리아르 조선소 매각[19]
M921 로벨리아
BNS Lobelia
기공: 1986년 11월 27일
진수: 1988년 2월 25일
취역: 1989년 7월 8일
퇴역: —
벨리아르 조선소 현역
M922 미오소티스
BNS Myosotis
기공: 1987년 7월 6일
진수: 1988년 8월 4일
취역: 1989년 12월 14일
퇴역: 2004년 3월
벨리아르 조선소 매각[20]
M923 나르시스
BNS Narcis
기공: 1988년 2월 22일
진수: 1990년 3월 30일
취역: 1990년 9월 27일
퇴역: 2024년
벨리아르 조선소 공여[21]
M924 프리물라
BNS Primula
기공: 1988년 11월 7일
진수: 1990년 12월 17일
취역: 1991년 5월 29일
퇴역: —
벨리아르 조선소 현역
불가리아 해군
Военноморски сили на България
함번 함명 함생 건조사 비고
31 메스타
Места
획득: 불명
취역: 불명
퇴역: —
GNM 현역
32 치바르
Цибър
획득: 2004년 3월
취역: 2009년 2월 9일
퇴역: —
벨리아르 조선소 현역
33 스트루마
Струма
획득: 불명
취역: 불명
퇴역: —
GNM 현역
라트비아 해군
Latvijas Jūras Spēki
함번 함명 함생 건조사 비고
M-04 이만타
LVNS Imanta
획득: 2005년
취역: 2007년 3월 7일
퇴역: —
GNM 현역
M-05 비에스투르스
LVNS Viesturs
획득: 2007년
취역: 2007년 9월 5일
퇴역: —
GNM 현역
M-06 탈리발디스
LVNS Tālivaldis
획득: 2007년
취역: 2008년 4월 4일
퇴역: —
GNM 현역
M-07 비스발디스
LVNS Visvaldis
획득: 2007년
취역: 2008년 10월 24일
퇴역: —
GNM 현역
M-08 루시니슈
LVNS Rūsiņš
획득: 2007년
취역: 2011년 7월 13일
퇴역: —
GNM 현역
우크라이나 해군
Військо́во-морські́ си́ли Збро́йних сил Украї́ни
함번 함명 함생 건조사 비고
불명 마리우폴
Маріуполь
획득: 2024년
취역: 2025년 6월 26일
퇴역: —
벨리아르 조선소 현역
불명 멜리토폴
Меліто́поль
획득: 2024년
취역: 2025년 6월 26일
퇴역: —
GNM 현역
불명 헤니체스크
Генічеськ
획득: 2024년
취역: 2025년 말 예정
퇴역: —
GNM
인도네시아 해군
Tentara Nasional Indonesia Angkatan Laut
함번 함명 함생 건조사 비고
711 KRI 풀라우 렝앗
KRI Pulau Rengat
기공: 1985년 7월 22일
진수: 1987년 7월 23일
취역: 1988년 3월 26일
퇴역: —
GNM 현역
712 KRI 풀라우 루팟
KRI Pulau Rupat
기공: 1985년 12월 15일
진수: 1987년 8월 27일
취역: 1988년 3월 26일
퇴역: —
GNM 현역
파키스탄 해군
پاکستان بحریہ | Pakistan Navy
함번 함명 함생 건조사 비고
M166 PNS 문시프 (منصف)
PNS Munsif
획득: 1992년 9월 24일
취역: 1992년 10월 26일
퇴역: —
DCN 현역
M163 PNS 무하피즈 (محافظ)
PNS Muhafiz
기공: 1992년 9월 24일
진수: 1995년 7월 8일
취역: 1996년 5월 15일
퇴역: —
DCN 현역
M164 PNS 무자히드 (مجاہد)
PNS Mujahid
기공: 1994년 4월 8일
진수: 1997년 1월 28일
취역: 1998년 7월 9일
퇴역: —
카라치 해군공창 현역

5. 둘러보기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현대 프랑스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프랑스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프랑스 해군 (1624~현재)
Marine nationale
<colbgcolor=#002654> 잠수함 <colbgcolor=#002654> 재래식 아레튀즈급R, 다프네급R, 아고스타급R, 스코르펜급E
SSN 루비급, 쉬프랑급
SSBN 랑플렉시블급R, 르 트리옹팡급, {SNLE 3G}
초계정 P400급R
초계함 원양초계함 콩피엉스급, 알바트로스급, 플라망급, 데스티엔 도르브급, 고윈드급R/E, {B2M급}
호위함 경호위함 프로레알급, 라파예트급
대잠호위함 르 코르스급R, 아코니트R, 투르빌급R, 조르쥬 레그급R
방공호위함 쉬프랑급R, 카사드급R, 아키텐급, 포르방급, {아미랄 로나크급}
구축함 쉬르쿠프급R, T53급R, 샤토르노급R
순양함 라 갈리소니에르급R, 드 그라스급R, 콜베르R, 잔 다르크급R
전함 리슐리외급R
항공모함 재래식 아로망쉐R, 클레망소급R, PA2
핵추진 샤를 드골급, {PANG}
상륙정 CDIC-급, EDA-R-급, CTM-급
상륙함 LPH 미스트랄급
LPD 푸드로급R
LST 샹플랭급R
소해함 에리당급, 시르세급R
군수지원함 듀랑스급, 자크 슈발리에급
훈련함 레오파드급, 글리신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E: 수출용 함선
취소선: 계획만 되었거나, 취소된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아비조는 경무장 초계함 정도로 구분될 수도 있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네덜란드 선수기.svg 현대 네덜란드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네덜란드 해군|
네덜란드 왕립 해군 (1945~현재)
Koninklijke Marine
]]'''
'''[[잠수함|
잠수함
]]'''
'''
SSK
'''
{오르카급} | 발루스급 | 즈바르디스급 | 돌페인급 | 발루스급(1953) | 즈바르디스흐급 | O 21급
어뢰정 (PT) 야흐트혼트급 | 스페르베르급
원양초계함 (OPV) 홀란트급(2012)
<colbgcolor=#FFF> '''[[초계함|
초계함
]]'''
<colbgcolor=#FFF> '''
PCE
'''
링스 | 발데르급 | 바찬급
'''[[호위함|
호위함
]]'''
FF 로프디르급 | 판 암스텔급 | 요한 마우리츠 판나사우
'''
FFG
'''
{FuAD} | {ASWF} | 더 제번 프로빈시엔급 | 카렐 도르만급(1991) | 야콥 판헤임스케르크급 | 판 스페이크급 | 코르터네르급 | 트롬프급(1975)
'''[[구축함|
구축함
]]'''
DD 프리슬란트급 | 홀란트급(1954) | 마르닉스 | 피에트 하인급 | 반커르트
'''[[순양함|
순양함
]]'''
CL 더 제번 프로빈시엔급(1953) | 트롬프급(1938)
경항공모함 카렐 도르만(1948)
'''[[상륙함|
상륙함
]]'''
'''[[상륙수송선거함|
LPD
]]'''
로테르담급
'''[[전차상륙함|
LST
]]'''
펠리카안 | LST Mk.3급
'''[[상륙정|
상륙정
]]'''
'''
LCU
'''
LCU Mk.II
'''
LCT
'''
LCT(3)
'''
LCVP
'''
LCVP Mk.Vc
'''
LCI
'''
LCA Mk 시리즈
'''[[소해함|
소해함
]]'''
'''
MCMV
'''
{플리싱언급}
'''
MHC
'''
알크마르급
'''
MSO
'''
온페르사흐트급
'''
MSC
'''
판스트라런급 | 도컴급 | 빌데르판크급 | 베임스터르급 | 보른디프급 | MMS급 | 얀 판암스텔급
'''
지원함
'''
'''
다목적
'''
카렐 도르만급(2015)
'''
급유함
'''
덴헬더르급 | 펠리카안급(2006) | 암스테르담급 | 자위더르크뤼스급 | 폴스테르
'''
잠수함 지원함
'''
메르퀴르
'''
수로 탐사함
'''
스넬리우스급
지원정
잠수지원정
케르베뤼스급 | 숨바
항만경비정
노르더하크스급
예인정
노르트제급 | 링어급 | 볼더르급 | 브레잔트급 | 스헬더급
'''
무인정
'''
'''
UUV
'''
REMUS 100 | 시폭스
훈련함 판 킨스베르헌(1999) | 우라니아
갈색 글자: 퇴역 함정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파일:벨기에 국기.svg 현대 벨기에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벨기에 해상구성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벨기에 해상구성군|
벨기에 해상구성군 (1945~현재)
Marinecomponent | Composante Marine | Marinekomponente
]]'''
강상 경비정 (PBR) 리베라시옹 | 에이저르급
<colbgcolor=#000> '''[[초계정|
초계정
]]'''
<colbgcolor=#000> '''
PB
'''
캐스터급
'''[[호위함|
호위함
]]'''
PF 빅토르 비예
'''
FFG
'''
{ASWF} | 레오폴드 1세급 | 빌링겐급
'''[[소해함|
소해함
]]'''
'''
MCMV
'''
{시티급}
'''
MHC
'''
아스터급
'''
MSO
'''
판 하버르베커급 | 아드리앵 드 게를라슈급
'''
MSC
'''
디스트급 | MMS급
'''
MSI
'''
템스급
'''
지원함
'''
'''
다목적
'''
고데치아
지원정
예인정
YTB
'''
무인정
'''
'''
UUV
'''
PAP-104 Mk.5
갈색 글자: 퇴역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파일:불가리아 선수기.svg 현대 불가리아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불가리아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불가리아 해군|
불가리아 해군 (1952~현재)
Военноморски сили на България
]]'''
<colbgcolor=#FFF><colcolor=#000> '''[[잠수함|
잠수함
]]'''
<colbgcolor=#FFF><colcolor=#000> '''
SSK
'''
포베다급 | 슬라바급
구잠정 (PC) №17급 | №31급
어뢰정 (PT) №25급 | №11급
'''[[미사일 고속정|
미사일 고속정 (FACG)
]]'''
RKA-20급
'''[[초계함|
초계함
]]'''
'''
PCE
'''
레쉬텔니급 | PLK-33급
'''
PCG
'''
{흐라브리급} | 말니야급
'''[[호위함|
호위함
]]'''
FF 스멜리급 | 드루즈키급
'''
FFG
'''
드라즈키급
'''[[상륙함|
상륙함
]]'''
'''
LST
'''
시리우스급
'''
LSM
'''
№604급
'''
상륙정
'''
'''
LCM
'''
비드라급 | №601급
'''[[소해함|
소해함
]]'''
'''
MHC
'''
치바르급
'''
MSO
'''
바프차로프급
'''
MSC
'''
브리즈급 | 이스카르급
'''
MSI
'''
№65급 | №23급
'''
지원함
'''
'''
급유함
'''
발치크급
'''
자성 제거함
'''
디미타르 도브레프
'''
무인정
'''
'''
UUV
'''
더블 이글 Mk.III
훈련함 바프차로프
갈색 글자: 퇴역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파일:라트비아 선수기.svg 현대 라트비아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라트비아 해군|
라트비아 해군 (1991~현재)
Latvijas Jūras Spēki
]]'''
<colbgcolor=#9D2235><colcolor=#FFF> '''[[초계정|
초계정
]]'''
<colbgcolor=#9D2235><colcolor=#FFF> PB 크리스탑스급 | 스크룬다급 | 린가급
'''[[미사일 고속정|
미사일 고속정 (FACG)
]]'''
지벤스급
기뢰부설함 (MLS) 비르사이티스급
'''[[소해함|
소해함
]]'''
'''
MHC
'''
이만타급 | 비에스투어급 | 나메스급
'''
지원함
'''
'''
해저 조사선
'''
바로니스급
※ : 퇴역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현대의 우크라이나 해군 군함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colbgcolor=#005bbb> 항공모함 바랴그
순양함 우크라이나
호위함 오타만 빌리R, 드니프로페트롭스크급 (크리박 I급)R, 세바스토폴 (크리박 II급)R, 헤트만 사하이다크니 (크리박 III급)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원양초계함 볼로디미르 벨리키급, 그리샤급CP/R, {헤트만 이반 마제파급}
초계함 파우크급CP, 타란툴급CP
잠수함 <colbgcolor=#005bbb> SS 자포리자CP
지휘함 슬라부티흐급CP
상륙함 LST 리브네급R, 코스티안틴 올샨스키급CP, 폴노시니급
상륙정 도네츠크급R, 스바토보급, 우이스코급
미사일 고속정 루한스크급, {P-50U}
고속정 프릴루키, 켄타우로스급, 그리쟈-M급, CB90
경비정 슬라뱐스크급, 스카도브스크, 플라밍고급, PB-40, 롤란드급, {마크 VI급}
소해함 헤니체스크R, 체르니히우급CP, 체르카시급, 마리우폴급
구난함 올렉산드르 오흐리멘코, 아무르급R
정보수집함 루하나급, 무나급
수로탐사함 루빈급CP
군수지원함 베레자급, 옐바급, 드라쿤급
USV/UUV 시 베이비, 마구라-5, 마구라-7, 마리치카, TLK-150, 소노봇 5, SeaFox, AM-800, 바라쿠다, 야마하 웨이브러너 FX 개조형
※ 윗첨자R: 퇴역/자침/격침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 윗첨자C: 노획된 함선
※ 윗첨자CP: 나포된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인도네시아 해군기.png 현대 인도네시아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인도네시아 해군 (1945~현재)
Tentera Nasional Indonesia Angkatan Laut
<colbgcolor=#ED1C24> '''[[잠수함|
잠수함
]]'''
<colbgcolor=#ED1C24> '''
SSK
'''
{스코르펜급} | 나가파사급 | 차크라급(2대/1981) | 차크라급R(초대/1959)
구잠정 (PC) 클라방급R | 바라쿠다급R | 히우급R
어뢰정 (PT) 세리갈라급R | 앙인 보호록급R
'''[[초계정|
초계정
]]'''
PB 도랑급 | FPB-57급 | 파리급 | 바다우급 | 시바라우급 | 두리안급R | 방고급R | 알카이급R | 메르바부급R | HDML급R
PG PGM-39급R | 프로옉트 191M급R
'''[[고속정|
고속정
]]'''
'''
PCF
'''
KAL-28m급 | 보아급 | PC-28m급 | 비루엔급 | 시나방급 | CB-18m급
[[미사일 고속정|'''
미사일 고속정 (FACG)
''']]
{KCR-60m급} | 클레왕급 | 삼파리급 | 클루리트급 | 만다우급 | 클라플린타급R
'''[[초계함|
초계함
]]'''
'''
PCE
'''
카피탄 파티무라급 | 파티무라급R | 항 투아급R
'''
PCG
'''
{브라위자야급} | 붕 카르노급 | 디포네고로급 | 붕 토모급 | 파타힐라급 | 데완타라급R
호위구축함 (DE) 사마디쿤급R | 이맘 본졸급R
'''[[호위함|
호위함
]]'''
FF 요스 수다르소급R | 마르타 크리스티나 티아하후급R
'''
FFG
'''
{메라 푸티급} | {이스탄불급} | {카를로 베르가미니급} | {마에스트랄레급} | 마르타디나타급 | 아흐마드 야니급
'''[[구축함|
구축함
]]'''
DD 실리왕이급R | 가자 마다급R
'''[[순양함|
순양함
]]'''
CA 이리안R
'''[[상륙함|
상륙함
]]'''
'''[[상륙수송선거함|
LPD
]]'''
마카사르급
'''[[전차상륙함|
LST
]]'''
뜰룩 빈투니급 | 뜰룩 랑사급 | 뜰룩 세망카급 | 뜰룩 길리마눅급 | 뜰룩 파리기급R
'''[[상륙정|
상륙정
]]'''
'''
LCU
'''
쿠팡급R | 도르급R
'''
LCT
'''
뜰룩 와조급R
'''
LSSL
'''
LCS(L)(3)-1급R
'''
LCI
'''
아마하이급R
'''[[소해함|
소해함
]]'''
'''
MHC
'''
풀라우 파니급 | 풀라우 렝앗급
'''
MSC
'''
풀라우 로테급
'''
지원함
'''
'''
수송함
'''
탄중 캄바니급 | 카랑 필랑급
'''
물류 저장함
'''
뜰룩 믄타와이급
'''
급유함
'''
타라칸급 | 아룬급 | 숭아이 그롱급
'''
지휘함
'''
물타툴리
'''
병원선
'''
닥터 와히딘 수디로후소도급 | 세마랑 | 닥터 수하르소
'''
해저 조사선
'''
리겔급 | 데와 켐바급
'''[[예인선|
예인선
]]'''
'''
ATF
'''
소푸탄급
'''
YTB
'''
갈룽궁급
지원정 YTM
'''[[무인기|
무인정
]]'''
'''
UUV
'''
후긴 AUV | PAP-104 Mk.4
훈련함 비마 수치 | 데와루치 | 아룽 사무데라 | 카데트급
※ 윗첨자R: 퇴역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현대 파키스탄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파키스탄 함수기.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키스탄 해군 (1612~현재)
پاکستان بحریہ
잠수함 한고르급(초대)R, 하쉬마트급, 칼리드급, {한고르급}
잠수정 코스모스급
구축함 바브르R, 바드르급R, 타리크급R
호위함 샴시어급R, 사이프급R, 바드르급R, 알람기르, 줄피카르급, 투그릴급, {진나급}
초계함 야르무크급, {바부르급}, {부얀-M급}
고속정/함 주라트급R, 잘랄라트급R, 아즈마트급
경비정 라르카나급R, 라샤시급R, MRTP-33/35, TM-1226급, 아르항겔급
군수지원함 모아윈급, 나스르, 과다르급, 마다드가르급
연구함 베르 마사흐급, 베르 파이마급, 베르 쿠샤급, 라 쿠샤급
소해함 문시프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차
세계대전
파일:미국 해군 함수기.sv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War_Ensign_of_Germany_1903-1918.svg.png
독일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정부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제2차
세계대전
파일:미국 해군 함수기.svg
미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82px-Naval_Ensign_of_Poland_%28normative%29.svg.png
폴란드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0px-Military_Flag_of_Finland.svg.png
핀란드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중화민국
파일:만주군기.svg
만주국
파일:19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네덜란드 선수기.svg
네덜란드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제2세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해군기.svg
동독
파일:Naval_Ensign_of_Poland_(1980-1993,_normative).svg
폴란드
제3세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685050>북미 파일:미국 해군 함수기.sv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
중미/카리브
'''
파일:쿠바 함수기.svg
쿠바
남미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해군기.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해군 표준기.png
콜롬비아
서유럽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Jack_of_the_Netherlands.svg.png
네덜란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Belgium.svg.png
벨기에
중부유럽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폴란드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군함기.pn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선수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해군 선수기.pn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해군기.svg
불가리아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파일:크로아티아 해군기.svg
크로아티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해군기.png
핀란드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동유럽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대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nsign_of_Vietnam_People%27s_Navy.png
베트남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함수기.svg
필리핀
파일:Naval_Ensign_of_Singapore.pn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해군기.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해군기.svg
미얀마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기(신형).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파일:Naval_Ensign_of_Israel.svg.png
이스라엘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파일:아랍에미리트 해군기.png
{{{#!wiki style="margin: -0px -9px"]]
파일:640px-Flag_of_the_Royal_Bahrain_Naval_Force.svg.pn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오세아니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아프리카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이집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경비함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전함 | 잠수함
}}}}}}}}}}}}



[1] 사진은 프랑스 해군의 M652 세피[2] Ateliers de Constructions Electriques de Charleroi: 샤를루아 전기공사 아틀리에[3] 파키스탄에 M166 문시프 함으로 매각[4] 함명이 같지만 이전 함을 매각했기에 대체용 함선이다.[5] Van der Giessen de Noord Marinebouw: 판 더르 히선 더 노르트 해군조선[6] 라트비아에 M-08 루시니슈 함으로 매각[7] 라트비아에 M-07 비스발디스 함으로 매각[8] 라트비아에 M-06 탈리발디스 함으로 매각[9] 파키스탄에 매각, 아직 함명 미정[10] 라트비아에 M-04 이만타 함으로 매각[11] 라트비아에 M-05 비에스투르스 함으로 매각[12] 불가리아에 메스타 함으로 매각[13] 우크라이나 해군에 헤니체스크 함으로 공여 예정[14] 파키스탄에 매각, 아직 함명 미정[15] 불가리아에 스트루마 함으로 매각[16] 우크라이나 해군에 멜리토폴 함으로 공여[17] 프랑스에 M653 카프리코르느 함으로 매각[18] 프랑스에 M652 세피 함으로 매각[19] 프랑스에 M651 베르소 함으로 매각[20] 불가리아에 치바르 함으로 매각[21] 우크라이나 해군에 마리우폴 함으로 공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