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08:00:54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현대의 프랑스 해군 군함 파일:프랑스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008080> 잠수함 <colbgcolor=#008080> 재래식 아레튀즈급R, 다프네급R, 아고스타급R, 스코르펜급E
SSN 루비급, 쉬프랑급
SSBN 랑 플렉시블급R, 르 트리옹팡급, {SNLE 3G}
초계정 P400급R
초계함 원양초계함 콩피엉스급, 알바트로스급, 플라망급, 데스티엔 도르브급, 고윈드급R/E, {B2M급}
호위함 경호위함 프로레알급, 라파예트급
대잠호위함 르 코르스급R, 아코니트R, 투르빌급R, 조르쥬 레그급R
방공호위함 쉬프랑급R, 카사드급R, 아키텐급, 포르방급, {아미랄 로나크급}
구축함 쉬르쿠프급R, T53급R, 샤토르노급R
순양함 라 갈리소니에르급R, 드 그라스급R, 콜베르R, 잔 다르크급R
전함 리슐리외급R
항공모함 재래식 아로망쉐R, 클레망소급R, PA2
핵추진 샤를 드골급, {PANG}
상륙정 CDIC-급, EDA-R-급, CTM-급
상륙함 LPH 미스트랄급
LPD 푸드로급R
LST 샹플랭급R
소해함 에리단급
군수지원함 듀랑스급, {자크 슈발리에급}
훈련함 레오파드급, 글리신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E: 수출용 함선
취소선: 계획만 되었거나, 취소된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아비조는 경무장 초계함 정도로 구분될 수도 있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mistral_l9013_1.jpg
La classe Mistral
Mistral Class Amphibious Assault Ship

1. 개요2. 제원3. 수출
3.1. 러시아의 도입 무산3.2. 중국의 도입 무산3.3. 이집트의 도입
4. 동형함 목록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프랑스가 개발하여 운용 중인 강습상륙함. 프랑스의 해군 전문 방산업체인 DCNS가 설계하였으며 STX 프랑스가 건조하였다. 지휘 및 통제 기능과 16대의 헬리콥터, 상륙정 등을 수송할 수 있는 뛰어난 성능을 보유한다.

프랑스는 4척을 도입할 예정이였지만 재정 압박으로 인해 3척만을 도입하고 4번함 도입 계획은 2013년에 취소되었다.

2번함 토네흐(Tonnerre)가 2021년 5월, 미스트랄급 상륙함으로서는 처음으로 동아시아에 방문해 일본 해상자위대미 제7함대의 본진인 요코스카에 입항하고 미국ㆍ일본과 함께 연합 상륙훈련을 벌였다.#

2. 제원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
La classe Mistral
Mistral-class amphibious assault ship
경하배수량 16,500톤
만재배수량 21,300톤
전장 199m
전폭 32m
흘수 6.3m
속도 18.8노트 (35km/h)
탑재 항공기 대형헬기 16대 또는 중소형 헬기 35대
탑재 상륙장비 차량 59대[1] 또는 주력전차 40대[2]
웰독 상륙정 LCAC 2척 또는 LCU 2척
상륙병력 450명

3. 수출

3.1. 러시아의 도입 무산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현대의 러시아 해군 군함 파일:러시아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191919> 잠수함 <colbgcolor=#fff,#191919> 재래식(SS) 위스키급R, 줄루급R, 로미오급R, 줄리엣급R, 폭스트로트급R, 골프급R, 탱고급R, 킬로급, 라다급, (칼리나급)
SSN 노벰버급R, 빅터급, 알파급R, 마이크급R, 시에라급, 아쿨라급, (하바로프스크급)
SSGN 에코급R, 찰리급R, 파파급R, 오스카급, 야센급, 머큐리급, (허스키급)
SSBN 호텔급R, 양키급R, 델타급, 타이푼급R, 보레이급
SSA 팔투스급, 로샤릭급, 사로프급
경비정 주크급CG/R, 스베틀야크급CG, 그라초노크급, 랩터급, 스텐카급, 몽구스급, 독스타바벳급, BK-16급, BK-18급, 쉬멜급
경비함 바실리 비코프급, (이반 파파닌급)
초계함 무하급R, 무라베이급R, 그리샤급, 나누추카급, 파르킴급, 타란툴급, 파우크급CG, 보라급, 부얀급, 부얀-M급, 카라쿠르트급, 게파르트급, 스테레구시급, 소브라지텔니급, 그리먀시급, (데르즈키급)
호위함 페트야급, 크리박급CG, 네우스트라시미급,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프로젝트 22350M형)
구축함 카신급R, 우달로이급, 소브레멘니급, 프로젝트 21956형, (리데르급)
순양함 카라급R, 슬라바급, 키로프급
항공순양함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러시아 연방의 항공모함 계획)
상륙정 무레나급R, 아이스트급R, 주브르급, 세르나급, 듀공급, 온다트라급
상륙함 LPH (이반 로고프급), 미스트랄급
LSD 이반 그렌급
LST 이반 로고프급R, 앨리게이터급, 로푸카급
소해함 나탸급, 소냐급, 고랴급, 리다급, 알렉산드리트급
위그선 룬급R
정보수집함 프로젝트 394B형R,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프로젝트 864형,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R, 우랄급R, 유리 이바노프급, 비시냐급
군수지원함 벨랸카급, 삿코급, 루자급, 발라급, 다우가바급, 비테그랄레스급, 무나급, 유니 파티잔급, 암게마급, 프로젝트 323A/323B형
구난함/잠수함구조함 프로젝트 23040형, 프로젝트 05360형, 엘브루스급, 카쉬탄급, 콤무나
잠수함지원함 프로젝트 1886형R
해양연구함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프로젝트 22010형, (프로젝트 22011형)
수로탐사함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훈련함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R
※ 윗첨자R: 퇴역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VSS7FjH.jpg
러시아 해군에 수출하려 했던 미스트랄급의 모습

파일:퍽 유 푸틴! 노 미스트랄스 포 유! .jpg
러시아에 대한 미스트랄급 판매를 반대하는 프랑스 여성들의 토플리스 시위.
엿먹어 푸틴! 네놈을 위한 미스트랄급 따윈 없어!

2011년 1월 25일, 프랑스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이 참관한 가운데 알렌 쥐페 프랑스 국방장관과 이고르 세친 러시아 부총리가 프랑스 생나자르 STX 조선소에서 미스트랄급(Mistral class) 강습상륙함 도입에 관한 협정서에 서명했다. 이로써 러시아는 프랑스로부터 모두 4척의 미스트랄급 상륙함을 도입하게 됐다. 첫 2척은 프랑스에서 건조되어 인도될 예정이고 나머지 2척은 러시아에서 건조할 예정이다. 러시아 통신사 리아 노보스티에 의하면 처음 인도받는 2척은 쿠릴열도 지역의 군사적 재무장의 일환으로 러시아 태평양 함대에 배치하기로 결정했다. 남쿠릴 열도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일본에 대항하기 위함이다.

기존 미스트랄보다 경하 배수량이 1300톤 가량 늘어났고, AK-630등 러시아제 장비가 장착된 것 이 특징이다.

그러나 2014년 들어서 유로마이단크림 위기로 러시아와 서방 국가들간 사이가 급속히 냉각되자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직접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을 만나 미스트랄급을 인도하면 안된다고 주장했다. 올랑드는 16억 달러 규모의 사업을 차마 포기할 수 없었는지 계획대로 판매할 예정임을 분명히 했다. 당시 프랑스 경제와 조선 산업 분야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기 때문에 아무리 우크라이나 위기가 심각해도 미국의 부탁을 들어주기 어려웠다.

2014년 7월, 말레이시아항공 17편 격추 사건으로 프랑스 내에서도 러시아 수출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프랑스 정부는 수출을 강행하고픈 입장이지만 NATO의 눈치도 봐야하는 입장이라 힘든 상황. 결국 프랑스는 미스트랄급 수출을 포기하는 것을 진지하게 고려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프랑스내에서는 인도호주 또는 대한민국에 팔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하지만 STX의 부도와 이에 대한 미묘한 정치 문제가 얽혔다. 한국이 인수할 확률이 높지는 않다고해도, 불가능은 아닌 상황이다.[3]

결국 2015년 7월, 끝내 프랑스와 러시아가 미스트랄급 상륙함 인도 계약을 완전히 파기하기로 합의했다. 프랑스가 러시아에게 지불해야 할 계약 파기 보상금은 약 10억 달러로 1조원이 넘는다.[4]

한편 크림 위기 직후에도 러시아와의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 거래를 강행하려고 했었던 프랑스의 태도는 AUKUS의 출범과 프랑스 NAVAL 그룹이 수주했었던 호주 해군의 어택급 잠수함의 파기와 관련된 외교적 분쟁으로 인해 2021년에 다시 회자되게 된다. 당시 미스트랄급 판매 강행을 변명하기 위해 프랑스 국방장관이었던 장이브 르드리앙은 무장장착을 하지 않았음[5]으로 자신들은 민간 선박용 선체만 파는 것이라는 희대의 망언을 남긴다.

그 뒤 시간이 흘러 2021년, AUKUS 협정 체결로 인해 미국과 영국이 호주에게 원자력 잠수함 기술을 제공하기로 합의하면서 호주의 어택급 잠수함 사업이 파기되자 분노에 찬 프랑스는 외교 채널을 총 동원해 AUKUS 회원국들을 비난하게 되는데, 이때 프랑스 정부의 대표 공격수로 등판하여 언론매체를 통해 미국을 향해 "우방에게 칼을 꽂는 짓"이라고 공개적으로 힐난했던 발언의 당사자는 다름 아닌 이번에는 외무장관으로 재임 중이었던 장이브 르드리앙이었다. 프랑스가 AUKUS에 항의하기 위해 유럽연합 차원의 강경대응과 연대를 요구했음에도 동유럽 국가들은 물론, 심지어 독일까지도 미지근한 반응을 보인 것에는 당시 국방장관이었던 르드리앙 외무장관의 행보와 무관하지 않다고 알려졌다. 유럽 연합 소속은 아닐지라도 엄연히 동유럽의 우방국으로써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었던 우크라이나에 대한 침공에는 눈감고 자국의 무기를 민간선박이라고 칭하며 경제적 실익만 따져 인도하려고 했던 국가와 해당 발언의 당사자가 이번에는 자신들의 사업이 파기되어 국익이 침해당했다며 유럽 차원의 연대를 운운하는 상황에 대해 호의적일 만한 유럽 국가는 거의 없었다.

3.2. 중국의 도입 무산

2015년경에 프랑스는 당시 최신예였던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 2척을 중국에 인도하려다가 미국측 반대로 무산된 적도 있다. 2015년 3월 프랑스 해군은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과 합동 해상 훈련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수의 함선을 중국 해안으로 보냈는데 그 중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 2척은 판매용으로 중국으로 갈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해당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은 원래 러시아측에 인도하려고 건조된 것이나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때문에 러시아가 서방측의 제재를 받아 판매가 불가능해지자 EU차원에서 진행되는 중국에의 무기 금수조치를 어기고 해당 상륙함을 중국측에 팔아넘기려고 한 것이다. 그러다가 미국 국방부로부터 우려를 표명하는 제스처가 나왔고("The Pentagon was said to be concerned about the possible sale to China") 결국 판매는 무산되었다.France Says Will Not Sell Weapons to China (미국의 소리, 2015년 6월 7일자 기사)

3.3. 이집트의 도입

이미 만들어진 2척은 러시아 이외의 나라에 매각하기로 결정되었고, 위에 언급된 국가들 말고도 캐나다, 아랍에미리트,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에 찔러보던 와중에 이집트가 라팔에 이어서 또다시 프랑스의 구원투수로 강림하였다. 2015년 9월 24일, 이집트와 프랑스 정부는 미스트랄급 2척 판매에 합의했다고 발표했으며, 정확한 가격은 밝히지 않았으나 올랑드 대통령은 이번 사태로 인해 프랑스가 돈을 잃지 않았음을 강조했다. 또한 비공식 소식통에 의하면 이집트가 러시아로 가는 보상금 10억 달러를 대납하기로 했고, 프랑스의 허락없이 다른 나라로 파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조항이 계약서에 명시되어 만에 하나 이집트가 러시아에 재판매 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했다고 한다. 이집트의 무기구매가 그래왔듯이, 프랑스가 금융지원하며 북아프리카에 대한 프랑스의 외교자산을 묶어 넘긴 듯. 북아프리카는 상륙함이 필요없을 것 같지만 알제리도 이탈리아제 상륙함을 가지고 있기는 하다.

러시아는 러시아대로 이집트 해군의 미스트랄에 탑재할 Ka-52 20여대와 기타 장비들을 수출하고 있어, 윈윈하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가 당초 목표로 했던 강습상륙함의 극동함대 배치 계획은 이반 로고프급 강습상륙함이 나오는 2026년으로 많이 밀렸다.

4. 동형함 목록

프랑스 해군
함번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모항 상태
1 L9013 미스트랄 (Mistral) 2003년 7월 10일 2004년 10월 6일 2006년 2월 툴롱 현역
2 L9014 토네르 (Tonnerre) 2003년 8월 26일 2005년 7월 26일 2006년 12월
3 L9015 딕스무드 (Dixmude) 2009년 4월 18일 2010년 9월 17일 2012년 12월 27일
이집트 해군
함번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모항 상태
5 L1010 가말 압델 나세르 (Gamal Abdel Nasser)[6] 2013년 6월 18일 2014년 11월 20일 2016년 6월 2일 알렉산드리아 현역
4 L1020 안와르 엘 사다트 (Anwar El Sadat)[7] 2013년 2월 1일 2014년 10월 16일 2016년 6월 2일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파일:이집트 국기.svg 현대의 이집트 해군 군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colcolor=#c09300><colbgcolor=#000> 잠수함 849급, S41급
고속정 601급, 609급, 633급, 라마단급, 아메드 파델급, 에자트급, 옥토버급, 사이클론급
초계함 샤밥 미스르, 알 놀급, 엘 수에즈급, 엘 파테급
호위함 자피르급R, 도미야트급, 샤름 엘세이크급, 타히야 미스르급, 알 갈라라급, 알 아지즈급
구축함 모하마드 알리 엘 케비르급R
상륙함 <colbgcolor=#000> LPH 기말 압델 나세르급
소해함 가르비아급, 기자급, 알 파루크급
군수지원함 샬라틴급R, 할라이브급, 아부 심벨급
훈련함 타릭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War_Ensign_of_Germany_1903-1918.svg.png
독일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정부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제2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82px-Naval_Ensign_of_Poland_%28normative%29.svg.png
폴란드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0px-Military_Flag_of_Finland.svg.png
핀란드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중화민국
파일:만주군기.svg
만주국
파일:19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제2세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해군기.svg
동독
파일:Naval_Ensign_of_Poland_(1980-1993,_normative).svg
폴란드
제3세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685050>북미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
중미/카리브
'''
파일:쿠바 함수기.svg
쿠바
남미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해군기.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해군 표준기.png
콜롬비아
서유럽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Jack_of_the_Netherlands.svg.png
네덜란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Belgium.svg.png
벨기에
중부유럽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폴란드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군함기.pn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선수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해군 선수기.png
루마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Naval_Ensign_of_Bulgaria.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파일:크로아티아 해군기.svg
크로아티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해군기.png
핀란드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동유럽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대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nsign_of_Vietnam_People%27s_Navy.png
베트남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the_Philippines.svg.png
필리핀
파일:Naval_Ensign_of_Singapore.pn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해군기.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해군기.svg
미얀마
남아시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5px-Naval_Ensign_of_India.svg.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파일:Naval_Ensign_of_Israel.svg.png
이스라엘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파일:아랍에미리트 해군기.png
{{{#!wiki style="margin: -0px -9px"]]
파일:640px-Flag_of_the_Royal_Bahrain_Naval_Force.svg.pn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오세아니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아프리카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이집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전함 | 잠수함
}}}}}}}}}}}}



[1] 주력전차 13대 포함[2] 대대급이다.[3] 사실 미스트랄급을 가져온다 해도, 이에 승선할 인력, 각종 적재 장비등을 생각하면 거의 가능성이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거기다 대한민국 해군은 이미 한진중공업을 통해 독도급 강습상륙함 2번함 마라도함의 건조를 시작한 상태였고, 2018년 5월, 진수식을 마치고 해군에 인도하였다.[4] 덤으로 도입 예정인 500여대분 VBL도 취소시켰다.[5] 애초에 이런 강습상륙함의 경우 자위용 CIWS나 단거리 함대공 미사일, 중기관총 외에는 자체 무장이 거의 들어가지 않는다. 애초에 가장 중무장이라고 할 수 있는 CIWS부터가 러시아제 카쉬탄이 들어갈 것으로 보였기에 프랑스제 선체와 내부 시스템 외에 무장에 프랑스제가 채택되어 들어갈 가능성은 거의 전무한 상황이었다.[6] 러시아명:블라디보스톡[7] 러시아명:세바스토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