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0 07:56:31

209급 잠수함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장보고급 잠수함
,
,
,
,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잠수함의 계보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e5e5e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제2차 세계대전 독일의 주력 잠수함
훈련함 → 전투함

Type I 유보트


 
훈련함 / 전투함

Type II 유보트


 

 

 
기뢰부설 / 수송함

Type X 유보트


 

 

 

 

파일:독일 국기.svg 전후 독일의 잠수함 계보
전투함(조기퇴역)

Type 201 잠수함


 

 

 
수출용 전투함

Type 207 잠수함


 
수출용 전투함

Type 209 잠수함


 
수출용 전투함

TR-1700 잠수함


 
수출용 전투함

Type 210 잠수함


 

 
수출용 전투함

돌핀급 잠수함


 
수출용 전투함

Type 214 잠수함


 
수출용 전투함 건조계획

Type 216 잠수함


 
수출용 전투함

Type 218 잠수함


 
수출용 전투함

다카르급 잠수함


 
}}}}}}}}}}}}

파일:external/f74403903fdbbb4894f0a8100792a51bc61f40ee8f1dc3d8be3e538e814027c1.jpg
파일:external/1.bp.blogspot.com/Pijao%2Bclass%2Bsub.jpg

1. 개요2. 상세3. 형식4. 운용국5. 둘러보기6. 관련 문서

1. 개요

독일이 개발한 수출형 재래식 잠수함. 잠수함 세계의 본좌로 군림했던 독일이 옛 실력을 되살려 내놓은 U보트의 후예들이다.

비용 대 효과의 측면에서 유리하여 재정상태가 빠듯한 중소국가들이 선호하는 모델로 1970년대 이후 많은 나라가 구입한 베스트셀러다. 대한민국 해군의 잠수함 전력의 주력이었던 장보고급 잠수함은 본 함종의 한국판 버전이다. 다만 소음방지를 위해 기존설계를 변형, 개량한 부분이 있어 장보고급은 209급의 일부가 아닌 독자적인 함급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2. 상세

실전에 참가한 경력도 있다. 1982년 포클랜드 전쟁에서 아르헨티나 해군 소속 209급이 영국 해군 함대를 상대로 투입되었으나 아르헨티나 해군의 운용 미숙과 고장으로 전과를 올리지는 못하였다. 동형함인 살타는 수리중이라 산 루이스 혼자만 활동할 수밖에 없었는데,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활동 중 화력통제장치가 고장났고 자체수리도 불가능해서 어뢰 동시 유도가 불가능했다. 결국 어뢰 유도는 승무원들이 직접 계산해가며 한 번에 한 발씩 수동 조종을 했다. 그나마 발사된 어뢰 두 발은 모두 유도 와이어가 끊어진 뒤 영국 측의 기만장치에 걸려 표적을 벗어났거나 불발됐다. 어뢰 제조사인 AEG는 +와 -를 착각한 아르헨티나 해군의 전원 케이블 접속 실수라고 언플을 벌였지만 그럴 경우 단락이 발생하여 어뢰 발사 자체가 불가능하다. 결국 책임회피였다는 소리. AEG는 이 사건으로 SST-4의 문제점을 깨닫고 수천번의 발사시험을 통해 문제점을 개선하여 신뢰성을 회복했는데 그게 SUT 중어뢰이다.

영국 해군은 이 산 루이스를 잡으려고 3대의 SH-3 시킹 헬기를 22형 호위함 브로드소드에서 공중급유[1]까지 해가며 10시간이나 띄웠으나 애꿎은 고래 몇 마리 죽인 게 전부였다. 애초에 영국 해군은 살타, 산 루이스 둘 다 활동하는 것으로 판단했으며 나중에는 포클랜드 해안에서 활동 중인 호위함의 닉시 기만기가 피격당하고서야 잠수함의 존재를 깨달은 적도 있다. 운없게 전과는 없지만 이런 활동으로 영국 해군을 가장 애먹인 존재였다. 그리고 그렇게 활약한 산 루이스는 운용비용 문제 등으로 해체, 아르헨티나 해군에는 살타만 남은 상태다.

포클랜드에서의 그저 그런 전적과 달리 림팩에서는 한국 해군장보고급 잠수함들이 대활약을 펼쳤는데, 애초에 도입 시기가 20년이나 차이가 나서 같은 209급에 속해도 크게 다른 잠수함인 점도 있고, 림팩에서 장보고급이 보여준 성과는 사실 장보고급에게는 유리하고 미 해군 함대에게는 불리한 조건에서 거둔 성과인 부분도 있다. 예를 들어 디젤 잠수함은 느린 속력 때문에 함대를 앞질러가거나 추적하는 전술을 쓸 수 없고 오로지 예상 위치에 대한 매복공격에만 쓸 수 있다. 따라서 디젤 잠수함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책 가운데 하나는 수시로 방향을 바꿔가며 순항속도로 매복을 뿌리치는 것이다. 그런데 림팩 훈련에서는 상대적으로 좁은 해역을 훈련구역으로 설정해서 장보고급이 용이하게 매복공격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사실 미군이 제대로 대응했으면 그런 성과는 절대 나올 수가 없었다. 원래 미군이 타국가 군대와 훈련할 때는 림팩에서처럼 미군 자신에게는 불리한, 타국 군대에게는 유리한 전장조건에서 훈련하는 것이 관례처럼 되어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미군이 일방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림팩에서의 장보고함의 실적을 한국 정부와 언론이 의도적으로 띄운 측면도 있다.

참고로 미 해군독일의 209급 잠수함이나 206급 잠수함을 임대하지 못한 이유는 독일 정부가 태클을 걸었기 때문이다. HDW도 그런데 관심이 없기는 했다. 그리고 아무리 우방국이라지만 한국 해군이 몇 안 되는 전략자산을 아무 대책도 없이 빌려줄 이유도 없고...

이렇게나 잘 팔린 잠수함이지만 정작 본가인 독일은 단 한척도 안 쓴다. 독일은 205급 잠수함을 개량한 206급 잠수함212급 잠수함을 도입할 때까지 사용하였다. 이러한 배경은 연합국이 독일에게 1,000t 이상의 잠수함은 가지지 못하도록 했지만 수출하는 것만은 허락해줬기 때문이다. 즉, 205급을 수출용으로 개량한 1,000t급 잠수함이 바로 209급이었던 것이다. 212급은 이런 제한이 풀린 뒤에 개발되었다.

3. 형식

꽤 다양한 파생 버전이 존재하며 같은 209급 안에서도 배수량에 따라 1100, 1200[2], 1300, 1400, 1500 등의 다섯 종류로 나뉜다. 앞서 언급된 장보고급 잠수함처럼 다른 함급으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

4. 운용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9급 잠수함/운용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둘러보기

파일:그리스 선수기.svg 현대의 그리스 해군 함정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colbgcolor=#003f87> 잠수함 포세이돈급, 글라브코스급, 오케아노스급, 파파니콜리스급
어뢰정 에스페로스급R, 에스테렐급
고속정 아이올로스급R, 아이올로스급R, 톨미급, 루센급, 보트시스급, 카발로디스급, 라스코스급, {사펠로급}
초계함 아포스톨리스급R, 오스프리 55급, HSY-55급, HSY-56A급
호위함 에피루스급R, 엘리급, 히드라급, {키몬급(3대)}
구축함 아이가이온R, 니키급R, 미아울리스R, 키몬급R, 키몬급(2대)R, 테미스토클리스급R
상륙정 세리포스급, 케팔로니아급
상륙함 <colbgcolor=#003f87> LST 이아손급
소해함 피레아스급R, 안티오피급R, 에브니키급, 에우로페급
수송함 판도라급, 프톨레마이다급
군수지원함 케르키니급, 제우스급, 프로메테우스급, 악시오스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현대의 튀르키예 해군 함정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e30a17> 잠수함 <colbgcolor=#e30a17> 재래식 피리레이스급R, 구르급, 프레베자급, 아틀라이급, 레이스급, {MİLDEN}
고속정 피르티나급R, 카르탈급R, 이을드름급, 클르츠급, 이을드즈급, 뤼즈가르급, 도안급
초계정 투즐라급, AB-25급
초계함 아다급M, 부라크급
원양초계함 {히사르급}M
호위함 겔리볼루급R, 테페급R, 바르바로스급, 가비아급, 야부즈급, 이스탄불급M
구축함 {TF-2000급}M
상륙함 LST 바이락타르급(1972)R, 오스만 가지급, 바이락타르급
LHD 아나돌루급
항공모함 {튀르키예의 항공모함 계획}
군수지원함 아카르급, {다리야급}
소해함 에르데믈리급R, A급, E급, F급, S급, K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MILGEM 계획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현대의 브라질 해군 군함 파일:브라질 국기.svg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colbgcolor=#009c3b> 잠수함 <colbgcolor=#009c3b> 재래식 투피급, 리아추엘로급
원자력 {알바로 알베르토급}
모니터함 파르나이바
초계정 그라자우급
초계함 인하우마급, 바로소급
원양초계함 임페리얼 마리네이루급R, 아마조네스급, 마카에급
호위함 그린할그급, 니테로이급, {타만다레급}
구축함 파라급초대R, 파라급2대R, 마르실리오 디아스급R, 파라급3대R
순양함 바로소급R, 바이아급R
전함 미나스제라이스급R
항공모함 미나스제라이스R, 상파울로R
상륙함 LPH 아틀란티코급
LPD 바이아급
LSD 세아라급R
LST 마토소 마이아급
LSL 알미란테 사보이아급
소해함 아라투급
군수지원함 알미란테 가스탕 모타급
훈련함 브라실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이집트 국기.svg 현대의 이집트 해군 군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colcolor=#c09300><colbgcolor=#000> 잠수함 849급, S41급
고속정 601급, 609급, 633급, 라마단급, 아메드 파델급, 에자트급, 옥토버급, 사이클론급
초계함 샤밥 미스르, 알 놀급, 엘 수에즈급, 엘 파테급
호위함 자피르급R, 도미야트급, 샤름 엘세이크급, 타히야 미스르급, 알 갈라라급, 알 아지즈급
구축함 모하마드 알리 엘 케비르급R
상륙함 <colbgcolor=#000> LPH 기말 압델 나세르급
소해함 가르비아급, 기자급, 알 파루크급
군수지원함 샬라틴급R, 할라이브급, 아부 심벨급
훈련함 타릭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현대의 아르헨티나 해군 함선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Naval_Jack_of_Argentina.svg.png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colbgcolor=#75aadb> 잠수함 산타페급(1933)R, 산타페급(1960)R, 살타급, 산타 크루즈급
고속정 인트레피다급
초계정 바라데로급
초계함 무라츄르급, 부샤르급, 드러먼드급, 에스포라급
호위함 아조파르도급R
구축함 멘도사급R, 부에노스아이레스급R, 브라운급R, 세귀이급R, 에로콜레스급, 알미란테 브라운급(1983)
순양함 베인티싱코 데 마요급(1929)R, 라 아르헨티나(1937)R, 누에 베 데 훌리오급(1951)R
전함 알미란테 브라운급(1880)R, 리바다비아급R
항공모함 인디펜덴시아R, 베인티싱코 데 마요(1969)R
쇄빙선 알미란테 이리살급
군수지원함 파타고니아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칠레해군기.png 현대의 칠레 해군 함정 파일:칠레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d52b1e> 잠수함 오브라이언급R, 톰슨급, 오히긴스급
고속정 우리베급R, 이키케급R, 카스마급
초계정 그루메테 디아즈급
원양초계함 필로토 파르도급, 타이타오급, 프로텍터급
호위함 알미란테 라토레급(1986)R, 콘델급R, 알미란테 윌리엄스급, 알미란테 코크란급, 알미란테 블랑코 엔칼라다급, 알미란테 라토레급
구축함 블랑코 엔칼라다급R, 알미란테 린치급R, 세라노급R, 알미란테급R, 오렐라급R, 캐피탄 프랫급R
순양함 오히긴스급R, 알미란테 라토레급(1971)R
전함 알미란테 라토레급(1920)R
상륙함 <colbgcolor=#d52b1e> LPD 사젠토 알데아급, {Escotillón IV}
LST 마이포급
LSM 오롬펠로급
군수지원함 아라우카노급, 알미란테 몬트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페루 국기.svg 현대의 페루 해군 함정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d91023> 잠수함 페레급R, R급R, 아브타오급R, 안가모스급
고속정 가디언 리오스R, 두에나스R, 우니온R, 로레토급, 마라뇬급, 클라베로급
초계함 벨라르데급, 페레급
원양초계함 리오 파티빌카급
호위함 테니엔테 갈베즈급R, 카르바할급
호위구축함 아귀레급R
구축함 빌라급R, 팔라시오스급R, 가르시아 이 가르시아R, 콜로넬 볼로그네시급R
순양함 콜로넬 볼로그네시급R, 알미란테 그라우급R
상륙함 <colbgcolor=#d91023> LPD 피스코급
LST 파이타급R, 칼라오급
군수지원함 바요바르R, 조리토스R, 탈라라R, 로비토스R, 칼로예라스급, 노구에라급, 타크나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콜롬비아 해군기.png 현대의 콜롬비아 해군 함정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ffcd00> 잠수함 인트레피도급, 피자오급
고속정호세 엔두리크 마르케즈 두란급R, 테네리페급, 마그달레나급, 딜리전트급, 푼타 아르디타급
초계함나리뇨급, 알미란테 토노급
원양초계함데 훌리오급
호위함알미란테 파디야급R, 알미란테 파디야급, {알미란테 파디야급}
호위구축함보야카R, 알미란테 파디야급R, 알미란테 토노급R
구축함데 훌리오급R, 안티오치아급R, 칼다스급R
상륙정바히아 사프주로급, 골포 데 모로스칠로급
군수지원함블라스 데 레조R, 마모날R, 투마코R, 친디오R, 바히아 솔라노R, 카르타게나 데 인디아스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현대 에콰도르 해군 함정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ffdd00> 잠수함 쉬리급
고속정 키토급
원양초계함 이슬라 란 크리스토발급
초계함 에스메랄다스급
호위함 프레지던트 엘로이 알파로급
구축함 프레지던트 알파로급R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파일:베네수엘라 해군기.png 현대의 베네수엘라 해군 함정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ffd600> 잠수함 사발로급
고속정페트렐급, 가비온급, 파갈로급, 페르난도 고메즈 데 사급
초계함카라보보급R
원양초계함과이퀘리급, 과이카마쿠토급
호위함마리스칼 수크레급
구축함카라보보급R, 알미란테 클레멘테급R, 누에바 에스파르타급R
상륙함 <colbgcolor=#ffd600> LST 카파나급
군수지원함로스 프라일레스급, 푼타 브라바급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해상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War_Ensign_of_Germany_1903-1918.svg.png
독일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정부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제2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82px-Naval_Ensign_of_Poland_%28normative%29.svg.png
폴란드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0px-Military_Flag_of_Finland.svg.png
핀란드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중화민국
파일:만주군기.svg
만주국
파일:19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제2세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해군기.svg
동독
파일:Naval_Ensign_of_Poland_(1980-1993,_normative).svg
폴란드
제3세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685050>북미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
중미/카리브
'''
파일:쿠바 함수기.svg
쿠바
남미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해군기.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해군 표준기.png
콜롬비아
서유럽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Jack_of_the_Netherlands.svg.png
네덜란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Belgium.svg.png
벨기에
중부유럽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폴란드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군함기.pn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선수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해군 선수기.png
루마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Naval_Ensign_of_Bulgaria.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파일:크로아티아 해군기.svg
크로아티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해군기.png
핀란드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동유럽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대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nsign_of_Vietnam_People%27s_Navy.png
베트남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the_Philippines.svg.png
필리핀
파일:Naval_Ensign_of_Singapore.pn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해군기.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해군기.svg
미얀마
남아시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5px-Naval_Ensign_of_India.svg.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파일:Naval_Ensign_of_Israel.svg.png
이스라엘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파일:아랍에미리트 해군기.png
{{{#!wiki style="margin: -0px -9px"]]
파일:640px-Flag_of_the_Royal_Bahrain_Naval_Force.svg.pn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오세아니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아프리카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이집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전함 | 잠수함
}}}}}}}}}}}}


6. 관련 문서



[1]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항공기간 공중급유가 아니라, 시킹 헬기가 브로드소드의 헬기갑판 바로 위에서 호버링하고 있으면 배에서 급유 호스를 가져와 연료를 공급하는 방식이었다. 줄사다리를 내려 헬기 승무원 교대를 하는 건 덤.[2] 209/1200이 장보고급 잠수함의 원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