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해군 함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구축함 | <colbgcolor=white,#191919>구축함 1934, 구축함 1936, TA16급, | ||
잠수함 | 1형, 2형, 7형, 9형, 10형, 14형, 17형, 21형, 23형, | |||
경순양함 | 엠덴급, 쾨니히스베르크급, 라이프치히급, | |||
중순양함 | 아트미랄 히퍼급, 도이칠란트급, | |||
항공모함 | ||||
항공순양함 | ||||
전함 | 전노급 도이칠란트급노급 샤른호르스트급, 비스마르크급, 순양전함 | |||
어뢰함 | 어뢰함 1923, 어뢰함 1924, 어뢰함 1935, 어뢰함 1937, 어뢰함 1939, | |||
어뢰정 | 슈넬보트 | |||
훈련함 | 브렘제 | |||
노획함 | 항공모함: 순양함: 구축함: ZH1, | |||
기타 | 보르크바르트,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나치 독일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독일 잠수함의 계보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e5e5e5 | 제2차 세계대전 독일의 주력 잠수함 |
→ → → → → → → → | |
전후 독일의 잠수함 계보 | |
→ → → → → → → → → → → → 수출용 전투함 다카르급 잠수함 → | |
}}}}}}}}}}}} |
1. 개요
14형 유보트는 9D형 유보트의 개량형이다. 역시 역할은 해상에서 다른 유보트들에게 보급을 해주는 것이었다. 그래서 크릭스마리네에서 이 함종의 별명은 밀시퀴헤(Milchkühe)이다. 독일어로 젖소에 해당하는 단어이다.큰 크기 덕분에 이 14형 유보트는 다른 유보트에게 432톤의 연료, 4발의 어뢰, 그리고 냉장보관해둔 신선한 음식들을 보급해 줄 수 있었다. 게다가 함내에 무려 빵집을 탑재해서 재보급 받는 유보트 승무원들에게 신선한 빵을 제공할 수 있었다.[1]
최대한 많이 적재하기 위해 본 함종은 어뢰발사관이나 덱건은 없었고 방어용으로 대공포만 총 3문 탑재했다.
1942년 작은 잠수함인 7C형 유보트들이 미국 동해안을 휘저을수 있도록 한 장본인이 바로 14형 유보트들이었다. 이 '젖소'들은 그래서 연합국 해군의 주요 타겟이 되었다. Type XIV 1척만 격침시켜도 다른 공격용 U보트들의 활동을 크게 축소시킬테니까 말이다. 연합국은 유보트 암호 해독으로 얻은 위치 및 항로 정보와 점점 발전되어가는 레이더, 그리고 압도적인 해상 제공권을 규합하여 이들을 찾아내어 격침했고 1943년경에는 대부분의 함선이 제거되었다. 종전 시에는 건조된 10척 중 한척도 남아있지 않았다. 이 함종이 맡은 보급 임무는 사실상 이렇게 적들을 피해 은밀히 항해하는 위험한 임무였고 그런고로 이 함급에 탑승한 승조원 전체의 절반은 모두 사망했다.[2]
2. 제원
함종 | 대양형 보급 잠수함 |
수상 배수량 | 1,688톤 |
수중 배수량 | 1,932톤 |
전장 | 67.1m |
전폭 | 9.35m |
높이 | 11.7m |
흘수 | 6.51m |
추진 방식 | 디젤-전기 추진 |
추진 체계 | GW F46 과급 6기통 디젤엔진 2기(2,800~3,200마력) SSW GU 343/38-8 이중작동 전동모터 2기(740마력) 구동축 2기 프로펠러 2기 |
속력 | 수상 최고속도 14.4~14.9노트 수중 최고속도 6.2노트 |
항속거리 | 부상상태 10노트로 12,350해리(22,870km) 잠항상태 4노트로 55해리(102km) |
최대잠항심도 | 240m |
승조원 | 장교 6명, 승조원 47명 |
무장 | 37mm 대공포 2문 20mm 대공포 1문 |
3. 함정 목록
총 10척이 취역했다.함번 | 취역일 | 비고 |
U-459 | 1941년 11월 15일 취역 | 1943년 7월 24일 자침 |
U-460 | 1941년 12월 24일 취역 | 1943년 10월 4일 격침 |
U-461 | 1942년 1월 30일 취역 | 1943년 7월 30일 격침 |
U-462 | 1942년 3월 5일 취역 | 1943년 7월 30일 격침 |
U-463 | 1942년 4월 2일 취역 | 1943년 5월 15일 격침 |
U-464 | 1942년 4월 30일 취역 | 1942년 8월 20일 자침 |
U-487 | 1942년 12월 21일 취역 | 1943년 7월 13일 격침 |
U-488 | 1943년 2월 1일 취역 | 1944년 4월 26일 격침 |
U-489 | 1943년 3월 8일 취역 | 1943년 8월 4일 격침 |
U-490 | 1943년 3월 27일 취역 | 1944년 6월 12일 격침 |
4. 관련 문서
[1] 잠수함이라는 병종은 환경이 열악한데다가 승조원의 피로도가 전투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함종이므로 여러 국가의 잠수함대는 승조원에게 최대한 잘해준다. U보트 1척이 아까웠던 제2차 세계 대전시의 독일 크릭스마리네 잠수함대 사령관 카를 되니츠도 급박한 상황임에도 승조원들의 휴가만큼은 꼭 챙겨주었다고 한다.[2] 전투를 수행하는 공격 잠수함 승조원의 전사비율이 훨씬 높기는 했지만 보급함 승조원이 절반 넘게 죽은 것과 쉽사리 비교하기는 어렵다. 애초에 연합국은 독일 유보트라면 기가 질려서 보이는 대로 다 격침시켰을 것이다.[3] 한국 해군에서는 대개 무장 장착까지 모두 마치고 진수식을 치르는 게 일반적이지만 유럽권에서는 선체만 만들어지면 진수식하고 무장 및 기타 장비를 탑재하는 경우가 많다. 일례로 이번 영국 해군의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이 선체 건조 후 진수, 이후 장비 탑재를 진행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