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해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navy> 동아시아 | 대한민국 | 북한 | 중국 | 대만 | 일본(준군사조직) |
동남아시아 | 인도네시아 | 태국 | 베트남 | 말레이시아 | 필리핀 | 싱가포르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스리랑카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사우디아라비아 | 이란 | 카타르 | |
중앙아시아 | 투르크메니스탄 | |
유럽 | 프랑스 | 영국 | 이탈리아 | 스페인 | 그리스 | 독일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스웨덴 | 핀란드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포르투갈 | 폴란드 | 루마니아 | 튀르키예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벨기에 | 슬로베니아 | 몬테네그로 | |
아메리카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페루 | 볼리비아 | 칠레 | |
북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동아프리카 | 소말리아 | |
서아프리카 | 나이지리아 | |
남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앙골라 | |
오세아니아 | 호주 | 뉴질랜드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현존하는 국가의 해군만 링크. 그 외 각국 해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
Вооружённые сил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러시아 연방군 | ||
육군 | 해군 | 항공우주군 |
공수군 | 전략로켓군 | 특수작전군 |
<colbgcolor=#fff><colcolor=#000080> 러시아 연방 해군 Военно-морско́й Флот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1] Military-Maritime Fleet of the Russian Federation | ||
해군기 | 문장 | |
창설일 | 1992년 1월 | |
소속 | 러시아 연방군 | |
모토 | 신과 안드레이의 깃발이 우리와 함께한다! "С на́ми Бог и Андре́евский флаг!" | |
병력 | 160,000명 (2020년) | |
참전 | 제1차 체첸 전쟁 제2차 체첸 전쟁 남오세티야 전쟁 소말리아 해적단속 시리아 내전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
총사령관 | 알렉산드르 모이세예프 상장 | |
제1부사령관 및 참모장 | 알렉산드르 노사토프 중장 | |
위치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 |
링크 |
[clearfix]
1. 개요
러시아 연방의 해군이다.현재 러시아 연방군의 일원이자 러시아 제국 해군 시절부터 현재까지의 아주 긴 역사를 이어 나가고 있는 해군이다.[2] 다만 실질적으로는 전신인 소련 해군의 함선과 전략을 계승하는 해군이다.
2. 역사와 현황
러시아의 지정학적인 특성상 북극해, 발트해, 흑해, 카스피해, 태평양으로 이루어 지는 바다는 많이 가지고 있지만 북극해의 얼음으로 거의 막혀 있는지라 각 함대 간 연계성이 매우 떨어진다.[3] 이는 내해인 카스피해는 말할 것도 없고 러일전쟁 때 세계일주를 했던 발트 함대의 발자취만 생각해봐도 알 수 있다. 그래서 초음속미사일등을 초계함 이하에도 탑재하는 등 러시아 해군 고유의 우수한 ISR 체계로 유도하는 장거리 탄도/순항 미사일의 타격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다.러시아 해군은 발트해의 발트함대[4], 북극해의 북방함대[5], 흑해의 흑해함대[6], 태평양(동해)의 태평양함대[7], 카스피해의 카스피해 전단[8] 등 4개의 함대와 1개의 전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세기 초에 결성된 북방 함대를 제외한 나머지는 역사가 18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전통있는 함대들이다.
각각 함대의 전력은 커버하는 바다의 범위나 중요성에 따른다. 러시아의 중심부인 유럽 러시아 쪽에서 대서양으로 그나마 넓게 트여있는 북극해의 북방함대가 가장 강하고, 동쪽 전체를 책임지는 태평양함대가 2번째, 좁고 전략적 제약이 심한[9] 바다를 관할하는 발트함대와 흑해함대가 그 다음이다.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과 키로프급 순양전함등이 참여한 함대 훈련 및 근대화 개수 사업 현황 |
러시아 해군은 현재 다양한 군함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근대화 개수 사업으로는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 키로프급 핵추진 순양함등이 진행되고 있으며 신규 건조 사업으로는 그리먀시급 초계함, 이반 로고프급 강습상륙함, 야센급 잠수함, 보레이급 잠수함, 리데르급 구축함 등이 진행되고 있다.
항시 게양하는 함미의 해군기(Ensign) | 정박시 함수에 게양하는 해군기(Jack) |
현 러시아 해군은 제국 해군의 정체성과 상징, 역사를 모두 승계하고 있으며, 이는 제국 해군의 상징이던 성 안드레이 십자기와 로마노프 왕조의 상징인 쌍두독수리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러시아 내전 이후 소련의 건국 인해 러시아 제국과 현대 러시아 연방이 단절된 기간이 꽤 길어서 주력으로 굴리는 병기들은 모두 구 소련군에서 넘어왔으며, 여전히 소련 시대의 상징물을 함께 찾아볼 수 있다.
즉 육군, 항공우주군 등 다른 군종들처럼 해군 역시 제국 시대와 소련 시대의 상징, 역사, 전통 등이 모두 계승되어 합쳐진, 다른 나라에서 보기에는 물과 기름같은 이질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다.
3. 해군 총사령관
러시아 연방해군 총사령관 (Главнокома́ндующий Военно-Морски́м Фло́том Росси́и) | |
성명 | 알렉산드르 알렉세예비치 모이세예프(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е́евич Моисе́ев) |
생년월일 | 1962년 4월 16일 |
출생지 | 소련 러시아 SFSR 칼리닌그라드 |
정치이념 | |
국적 | 소련 → 러시아 |
군복무 | |
국가 | 소련 → 러시아 |
근무 | 1981년 ~ 현재 |
근무 | 소련 해군 → 러시아 해군 |
최종계급 | 상장 |
소속 | 제31잠수함대 사령관 러시아군 부참모장 흑해함대 사령관 북방함대 사령관 |
참전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3.1. 역대 총사령관
러시아 연방 해군 총사령관 Главнокома́ндующие ВМФ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 ||||
<colbgcolor=#ffffff><colcolor=#222> | <rowcolor=#222> 성명 | 생년월일 | 임기 | |
제1대 | 펠릭스 니콜라에비치 그로모프 (Фе́ликс Никола́евич Гро́мов) | 1937년 8월 29일 | 1992년 8월 19일 ~ 1997년 11월 7일 | |
제2대 | 블라디미르 이바노비치 쿠로예도프 (Влади́мир Ива́нович Курое́дов) | 1944년 9월 5일 | 1997년 11월 7일 ~ 2005년 9월 5일 | |
제3대 | 블라디미르 바실리에비치 마소린 (Влади́мир Васи́льевич Масори́н) | 1947년 8월 24일 | 2005년 9월 4일 ~ 2007년 9월 13일 | |
제4대 | 블라디미르 세르게에비치 비소츠키 (Влади́мир Серге́евич Высо́цкий) | 1954년 8월 18일 | 2007년 9월 12일 ~ 2012년 5월 6일 | |
제5대 | 빅토르 빅토르비치 치르코프 (Ви́ктор Ви́кторович Чирко́в) | 1959년 9월 8일 | 2012년 5월 5일 ~ 2016년 4월 7일 | |
제6대 | 블라디미르 이바노비치 코롤료프 (Влади́мир Ива́нович Королёв) | 1955년 2월 1일 | 2016년 4월 7일 ~ 2019년 5월 2일 | |
제7대 | 니콜라이 아나톨리예비치 예브메노프 (Никола́й Анато́льевич Евме́нов) | 1962년 4월 2일 | 2019년 5월 2일 ~ 2024년 3월 19일 | |
제8대 | 알렉산드르 알렉세예비치 모이세예프 (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е́евич Моисе́ев) | 1962년 4월 16일 | 2024년 3월 19일~ 현재 |
4. 편제
각 함대별 기함과 주요 전 모음.[10] |
러시아 연방 해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20%, #fff 80%, #fff); color: #0000cd;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00cd> 본토해군 | ||||||
북방함대 (북극해) | 발트함대 (발트해) | 흑해함대 (흑해) | 태평양함대 (태평양) | ||||
카스피해 전단 (카스피해)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해군 항공대 | 해군 보병대 | ||||
<rowcolor=#0000cd> 해외해군 | |||||||
지중해 작전편대 (지중해) | }}}}}}}}} |
- 러시아 북방 함대 (Се́верный флот; СФ)
- 러시아 태평양함대 (Тихоокеа́нский флот; ТОФ)
- 러시아 흑해 함대 (Черномо́рский флот; ЧФ)
- 러시아 발트 함대 (Балти́йский флот; Бф)
- 러시아 카스피해 전단 (Каспи́йская флоти́лия)
- 러시아 드네프르강 전단 (Днепро́вская речна́я флоти́лия)
- 러시아 지중해 작전편대 (Постоя́нное операти́вное соедине́ние ВМФ РФ в Средизе́мном мо́ре)[11]
- 러시아 해군 항공대 (Морска́я авиа́ция)
- 러시아 해군 보병대 (Морска́я пехо́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5. 해군력
종류 | 운용 | 개수중 | 건조 중 | 계획 |
잠수함 | ||||
SSBN | 12 | 3 | 4 | |
SSGN | 10 | 5 | 1 | |
SSN | 13 | |||
재래식 잠수함 | 20 | 5 | 2 | |
특수 목적 잠수함 | 5 | |||
합계 | 60 | 13 | 7 | |
핵심 수상함 | ||||
항공모함 | 1 | |||
순양함 | 3[12] | 1 | ||
구축함 | 10 | |||
호위함 | 10 | 5 | 2 | |
합계 | 23 | 2 | 5 | 2 |
연안 수상함 | ||||
대형 초계함 | 12 | 8 | ||
초계함 | 50 | 13 | ||
미사일 고속정 | 19 | |||
미사일 호버크래프트 | 2 | |||
합계 | 83 | 21 | ||
상륙함 | ||||
LHD | 2 | |||
LST | 16 | 2 | ||
수송형 호버크래프트 | 7 | |||
합계 | 23 | 4 |
5.1. 함정
자세한 내용은 러시아 해군/함정 보유 수량 문서 참고하십시오.5.2. 해군 항공대 항공기
5.3. 해안포
- A-222 해안포
6. 해군 보병대
자세한 내용은 러시아 해군 보병대 문서 참고하십시오.7. 신형함
7.1. 신형 수상함 건조와 계약
- 수상 전투함 : 부얀-M급 초계함, 그리먀시급 초계함,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호위함, 스테레구시급 초계함 등의 다양한 수상 전투함이 건조되고 있다.
- 전투 지원함 : 이반 로고프급 강습상륙함, 이반 그렌급 상륙함, 유리 이바노프급 정보함 등의 다양한 보조 전력이 건조되고 있다.
- 현대화 개보수 : 키로프급 핵추진 순양함 3번함 아드미랄 나히모브(Адмира́л Нахи́мов),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 1번함 어드미럴 쿠즈네초프(Адмира́л Фло́т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Кузнецо́в), 소브레멘니급 구축함 16번함 나스또이치브(Насто́йчивый), 우달로이 I급 구축함 8번함 마샬 샤포쉬니코프(Ма́ршал Ша́пошников), 콤무나(Комму́на) 등의 다양한 수상함이 현대화 개장과 수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7.2. 신형 잠수함 건조와 계약
보레이급(Борей) 제원[13] | |
수상 배수량 | 14,720톤 (14,488 long tons) |
수중 배수량 | 24,000톤 (23,621 long tons) |
길이 | 170m (557ft 9in) |
폭 | 13.5m (44ft 3in) |
높이 | 10m (32ft 10in) |
추진체 | 1 × ОК-650В 원자로 |
1 × AEU steam turbine | |
1 × shaft and propeller (pump-jet) | |
속도 | 수중: 29knots (33mph; 54km/h) |
수상: 15knots (17mph; 28km/h) | |
무장 | 16 × RSM-56 블라바 SLBM with 6-10 MIRVed 탄두 |
6 × 533mm 어뢰 발사관 | |
RPK-2 Viyuga 순항 미사일 |
- 신형 잠수함 계획 : 라다급 잠수함의 후속 잠수함인 칼리나급 잠수함, 특수전 목적의 하바로프스크급 잠수함, 야센급 잠수함의 후속 잠수함인 허스키급 잠수함 등을 계획하고 있다.
8. 군항
- 태평양함대
- 블라디보스토크 (모항)
- 나홋카
- 마가단
-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 Vilyuchinsk 인근 소재 Rybachiy 원자력잠수함기지
9. 기타
10. 매체에서
- 영화 쿠르스크에선 쿠르스크 함 침몰사건 당시의 러시아 해군을 잘 재현했다,
- 미-러 전쟁을 다룬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에서는 미국에 대한 복수심으로 너무 깊게 진격했다가[16], 미군의 반격으로 뉴욕 시내에 고립되어 버린 러시아 육군과 공수군을 지원해주는 역할로 등장. 그러나 네이비 씰과 델타 포스의 합동 작전으로 전략 미사일이 탑재된 핵잠수함 한 척을 빼앗기고, 아군이었던 잠수함의 미사일 세례에 격퇴당한다.
- 영화 헌터 킬러에선 국수주의 반군의 계략에 이용되어, 미-러 전쟁에 최전선에 서게 되었다. 다행히 미군 잠수함에 구조된 명망있는 함장, 세르게이 안드로포프의 호소로 함을 돌려 국수주의 반군을 진압한다.
- 메트로 시리즈의 소설 세계관에서는 핵전쟁 이후에도 일부 러시아 해군이 생존해 활동하고 있다. 다만 말만 해군이지, 여전히 존재하는 러시아 정부의 말을 무시하고는 타국의 생존 해군[17]들과 어울려 해적질에 전념하고 있다고. 소설과 다르게 게임 세계관에서는 딱히 언급되지 않다가, 메트로: 엑소더스의 DLC인 '샘의 이야기'에서 타이푼급 핵잠수함[18]과 전 승무원들이 등장한다.
- 매드 맥스 세계관의 부족, 버자드들은 러시아 해군 생존자들의 후손이다. 핵전쟁 이후, 살아남은 태평양 함대 소속 수병들이 사막이 되어버린 태평양을 떠돌다가 호주에 정착하게 된 것이 그 시초라고.
11. 외부 링크
12. 관련 문서
13. 둘러보기
[1] 바옌나-마르스코이 플롯 라시이스코이 피지라치이.[2] 러시아 제국 시기부터 이어지는 로마노프 왕조의 쌍두독수리 문양과 흰 바탕의 파란색 X자가 그려진 해군기 등등 러시아 제국 해군의 상징들을 모두 이어 받았으며, 표트르 대제 시절부터 계산한다면 무려 3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물론 어디까지나 현 러시아 연방은 소련 해체 이후 탄생한 국가이니 만큼 공식적으로는 1992년부터다.[3] 북극해의 경우 잠수함이나 잠수정에 탑승하면 얼음 밑의 물 속으로 들어갈 수 있으니 괜찮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결국 잠수함과 잠수정도 평상시에 항구에 정박할 땐 위쪽이 물 밖으로 드러나 있기 마련이다. 잠수함이나 잠수정을 정박시킬 곳까지 얼음으로 막혀 있으면 다른 군용 선박들뿐만 아니라 잠수함과 잠수정조차도 무용지물이 되어버린다.[4] 본부는 칼리닌그라드. 러일전쟁 당시 일본 제국연합함대에게 쓰시마 해전에서 격멸된 그 함대이다.[5] 본부는 무르만스크 근처에 있는 세베로모르스크.[6] 본부는 남부 연방관구의 세바스토폴.[7] 본부는 블라디보스토크에 있다. 동아시아 정세에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8] 본부는 아스트라한. 규모는 작지만 카스피해 연안 나머지 4개국(이란,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아제르바이잔)의 해군력은 압도한다.[9] 발트해는 독일,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등의 견제를 받고 이를 넘어서더라도 대서양까지는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가 버티고 있다. 흑해는 터키가 유일한 통로인 보스포루스 해협을 차지하고 있어 이들이 못 지나가게 막으면 큰 바다로 나갈 수가 없는 지형이다.[10] 과거 자료라 업데이트되지 않은 점이 몇가지 있음을 유의하자. 일단 2022년 4월 모스크바함이 격침됨에 따라 2022년 현재 흑해 함대의 기함은 모스크바가 아니라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어드미럴 마카예프이며, 대형 상륙함 전력(Large Landing craft)도 전쟁 중 1척을 손실한데다가 그 외 전력 재배치 등으로 5척까지 줄었다.[11] 흑해함대 예하;[12] 키로프급 3번함 개장 공사 중이며 2023년 이후 복귀 예정, 슬라바급 모스크바함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격침. 현 가용전력 키로프급 1척, 슬라바급 2척.[13] Borei class submarine[14] 야센급은 1번함인 세베로드빈스크함이 건조되여 해상시험 중이고 2번함이 건조 중이다.(2번함부터는 설계가 한층 현대화되여 야센-M급이라고 불리운다.) 또한 국방부가 세브마쉬 조선소와 체결한 계약에 따라 2012년에 5척의 야센-M급을 건조하기 시작하였다. 2020년까지 총 6척을 건조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15] 이 잠수함은 SLBM을 20기까지 발사할 수 있으며, SLBM 블라바는 사거리가 10,000km이며 10개의 개별 조종이 가능한 핵탄두를 가지는 MIRV이다.#[16] 일개 공수군 부대가 뒷일 생각 안 하고, 전쟁 발발 하루 만에 워싱턴 DC까지 무작정 치고 들어갔다. 때문에 당황한 미군은 민간인 대피는 커녕, 대통령만 겨우 탈출시켰을 정도. 물론 대책 없이 들어간 공수부대는 잔존 미군에게 각개 격파당한다.[17] 심지어 자국을 초토화한 미 해군들과도(...)[18] 작중에선 미국인이었던 톰에게 점거되어, USS 메이플라워호로 이름 붙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