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리투아니아 육군| 리투아니아 육군 ]] SP | [[리투아니아 해군| 리투아니아 해군 ]] KJP | [[리투아니아 공군| 리투아니아 공군 ]] KOP | 리투아니아 특수작전군 SOP | |
| 리투아니아 해군 Lietuvos Karinės Jūrų Pajėgos (KJP) | |||
| | |||
| 리투아니아 해군 엠블럼 | |||
| | | ||
| <colbgcolor=#8B0000><rowcolor=#FFC72C> 함수기 | 함미기 | ||
| <colcolor=#FFF> 창설일 | 1992년 7월 4일 ([age(1992-07-04)]주년) | ||
| 국가 | | ||
| 소속 | |||
| 군종 | 해군 | ||
| 지휘체계 | 리투아니아 대통령 | ||
| 리투아니아 국방장관 | |||
| 리투아니아군 총사령관 | |||
| 리투아니아 해군사령관 | |||
| 주임무 | 해상전, 영해 및 EEZ 방어, 해상구난 등 | ||
| 본부 | 리투아니아 클라이페다주 클라이페다 | ||
| 사령관 | 대령 기드리우스 프레메네츠카스 | ||
| 주임원사 | 원사 다리우스 마로자스 | ||
| 병력 | 총 700명 군함 12척 | ||
1. 개요
리투아니아의 해군. 독립한지 2년 후인 1992년 창설되었다.2. 상세
1992년 리투아니아 해군은 러시아로부터 그리샤급 초계함 두 척을 인도받아 훈련에 참여했었다. 이후 2000년대에 리투아니아 해군은 노르웨이로부터 3척의 스토름급 초계정, 독일로부터 2척의 린다우급 기뢰탐색함을 공여받았다.2022년에 핀란드로부터 예후급 상륙정 겸 고속강습정을 도입하기로 발표하였다.
3. 해군력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리투아니아 해군| 리투아니아 해군 (1992~현재) ]]''' Lietuvos Karinės Jūrų Pajėgos | ||
| <colbgcolor=#006A44><colcolor=#FFF> '''[[초계정| 초계정 ]]''' | <colbgcolor=#006A44><colcolor=#FFF> PB | 졔마이티스급(2008) | 주카스급 | |
| [[고속정|''' 고속정 ''']] | ''' PCF ''' | {예후급} | 쟈이비스급 | |
| [[초계함|''' 초계함 ''']] | ''' PCE ''' | 졔마이티스급(1992) | |
| 기뢰부설함 (MLS) | 요트빙기스급 | ||
| '''[[소해함| 소해함 ]]''' | ''' MCMV ''' | 스칼비스급 | |
| ''' MHC ''' | 쿠르시스급 | ||
| ''' 지원함 ''' | [[구조함|''' 구난함 ''']] | PGL 샤키에이 | |
| ''' 지원정 ''' | 예인정 아틀라스 | 빌넬레 | ||
| ※ 갈색 글자: 퇴역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
| ※둘러보기 : | }}}}}}}}} | ||
| | ||||||
| 리투아니아 해군의 전투함 전력 | ||||||
| 초계정 | ||||||
| <rowcolor=#FFC72C> 이름/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
| 덴마크 | 3 | - | - | |||
| 스웨덴 | 1 | - | - | |||
| 핀란드 | - | - | 2 | |||
| 리투아니아 해군의 지원함 전력 | ||||||
| 기뢰전함 | ||||||
| <rowcolor=#FFC72C> 이름/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
| 노르웨이 | 1 | - | - | |||
| 영국 | 3 | - | - | |||
| 구난함 | ||||||
| <rowcolor=#FFC72C> 이름/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
PGL 샤키에이 구난함 | 소련 | 1 | - | - | ||
4. 둘러보기
| 세계의 해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navy> 동아시아 | |
| 동남아시아 | ||
| 남아시아 | ||
| 서아시아 | ||
| 중앙아시아 | ||
| 유럽 | ||
| 북아메리카 | ||
| 남아메리카 | ||
| 북아프리카 | ||
| 동아프리카 | ||
| 서아프리카 | ||
| 남아프리카 | ||
| 오세아니아 |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현존하는 국가의 해군만 링크 문서가 없는 각국 해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