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8 23:38:03

필리핀 해군

<colbgcolor=#004a96><colcolor=#fff> 파일:필리핀군 휘장.png
필리핀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필리핀 육군 마크.png 파일:필리핀 해군 마크.png 파일:필리핀 공군 마크.png
필리핀 육군 필리핀 해군
[[필리핀 해병대|
필리핀 해병대
]]
필리핀 공군 }}}}}}}}}

세계의 해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navy>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 파일:조선인민군해군기New.png 북한 |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 파일:대만 해군 깃발.png 대만 |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준군사조직)
동남아시아 파일:인도네시아 해군기.png 인도네시아 | 파일:태국 해군기.svg 태국 | 파일:베트남 인민해군기.svg 베트남 | 파일:1280px-Naval_Ensign_of_Malaysia.png 말레이시아 | 파일:필리핀 해군기.svg 필리핀 | 파일:싱가포르 해군기.svg 싱가포르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기(신형).svg 인도 |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 파일:방글라데시 해군기.svg 방글라데시 |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해군기.svg 이스라엘 | 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해군기.svg 이란 |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중앙아시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해군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유럽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 파일:영국 해군기.svg 영국 | 파일:이탈리아 해군기.svg 이탈리아 |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 파일:그리스해군기.png 그리스 | 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 파일:네덜란드 선수기.svg 네덜란드 |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 파일:핀란드군기.svg 핀란드 |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 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 파일:폴란드 해군기.svg 폴란드 | 파일:루마니아 해군기.svg 루마니아 | 파일:불가리아 해군기.svg 불가리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 파일:리투아니아 함미기.svg 리투아니아 |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 파일:벨기에 해상구성군기.svg 벨기에 | 슬로베니아 | 파일:몬테네그로 해군기.png 몬테네그로
북아메리카 파일:미국 해군기.png 미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남아메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Naval_Jack_of_Argentina.svg.png 아르헨티나 |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Naval_Ensign_of_Bolivia.svg.png 볼리비아 | 파일:콜롬비아 해군 엠블럼.svg 콜롬비아 |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해군기.svg 이집트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동아프리카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서아프리카 파일:나이지리아 해군기.svg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 파일:faa3.png 앙골라
오세아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 파일:뉴질랜드 해군기.svg 뉴질랜드
※ 독립된 문서가 있는 현존하는 국가의 해군만 링크. 그 외 각국 해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colbgcolor=#17348e><colcolor=#fff> 필리핀 해군
Hukbong Dagat ng Pilipinas
Philippine Navy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16px; margin-bottom: -16px" 파일:필리핀 해군기.svg 파일:필리핀 해군 마크.png
<rowcolor=#fff> 해군기 마크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다른 상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필리핀 함수기.svg
함수기
파일:필리핀 해군 삼각기.svg
삼각기
}}}}}}}}}
창설 1898년 5월 20일 ([age(1898-05-20)]주년)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필리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필리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소속 필리핀군
군종 해군
역할 해전
본부 마닐라시 말라테 호세 안드라다
해군사령관 중장 토리비오 아다치 주니어
해군참모총장 소장 호세 마. 암브로시오 Q. 에스펠레타
병력 정규군 - 24,500명
예비군 - 15,000명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편제4. 전력5. 매체에서6. 관련 문서


1. 개요

필리핀의 해군.

2. 상세

필리핀 해군의 주력은 대부분 대함 미사일이 없는 초계함이나 고속정이다. 대함 미사일을 장착한 함선이 아예 없는 건 아니지만 워낙 소수라 현대 해전에는 극히 취약한 해군이다. 필리핀군도 이런 상황을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하고 있으나 필리핀의 경제가 워낙 힘들어서 큰 개선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다만 이러한 예산상 제약에도 불구하고 신규 함선을 계속 발주하고 기존 함선의 개량을 추진함과 동시에 타국의 함선도 공여받는 등 나름대로 현대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이스라엘의 지원과 기술적 도움으로 많은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여러 사업에 한국 정부와 군, 기업이 관여하고 있을 정도로 많은 관계를 맺고 있다. 2020년대를 전후로 제대로 된 함선을 신규 수입하는 등 현대화에 속도를 내는 중이다. 그 이전에는 대함이든 대공이든 미사일을 장비한 함선 자체가 거의 없었기에 확실한 개선이라 할 만하다.

휘하 특수부대로는 NAVSOG가 있다. NAVSOG는 나브소그라고 불리며 네이비 씰 파견대원을 통해 같은 과정으로 운용되고 있는 동남아시아 굴지의 특수부대다. 나브소그 대원이 되기 위해서는 미 해군의 BUD/S과정, 한국 해군의 UDT/SEAL과정에 버금가는 훈련을 받아야 한다. 위 부대와 마찬가지로 서구식 장비, 교육을 지원받는다.

3. 편제

⦿ 해군 본부 - 호세 안드라다 해군기지 (마닐라시 말라테)
* 형식별사령부
Type Commands
* 필리핀 함대 (PF)
Philippine Flee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원해전투군(OCF)
Offshore Combat Force
* 연안전투군 (LCF)
Littoral Combat Force
* 해상수송양륙군 (SAF)
Sealift Amphibious Force
* 함대지원단 (FSG)
Fleet Support Group
* 해군항공단 (NAW)
Naval Air Wing
* 제30해군고정익전대
30th Naval Fixed Wing Air Group
* 제31경량범용초계비행대대
31st Light Utility Patrol Squadron
* 제32해상초계정찰비행대대
32nd Maritime Patrol & Reconnaissance Squadron
* 제40해군헬리콥터전대
40th Naval Helicopter Air Group
* 제41해상타격헬리콥터비행대대
41st Maritime Strike Helicopter Squadron
* 제42대잠헬리콥터비행대대
42nd Anti Submarine Helicopter Squadron
* 제71해상무인항공정찰비행대대
71st Maritime Unmanned Aerial Reconnaissance Squadron
* 제21항공단지원대대
21st Group Support Squadron
* 해군공중전훈련교리센터
Naval Air Warfare Training and Doctrine Center
* 항공기정비검사대대
Aircraft Inspection & Maintenance Squadron
* 제62항공전투체계대대
62nd Air Combat Systems Squadron
* 제63탄약물자보급대대
63rd Ordnance and Material Supply Squadron
* 해군기상학-해양학센터 (NMOC)
Naval Meteorological and Oceanographic Center
* 함대훈련교리센터 (FTDC)
Fleet Training and Doctrines Center }}}
* 필리핀 해병대 (PMC)
Philippine Marine Corps
* 해군특수작전사령부 (NAVSOCOM)
Naval Special Operations Comman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AVSOCOM 본부
Headquarters, NAVSOCOM
* SEAL단
SEAL Group
* 특수주정단 (SBG)
Special Boat Group
* 해군잠수단 (NDG)
Naval Diving Group
* 해군폭발물처리단 (NEODG)
Naval Explosive Ordnance Disposal Group
* 전투복무지원단 (CSSG)
Combat Service Support Group
* 해군특작훈련교리센터 (NSOTDC)
NAVSPECOPS Training and Doctrine Center
* 해군특수작전부대 (NAVSOU)
Naval Special Operations Units
* 특작부대 1~11}}}
* 해군작전사령부
Naval Operational Commands
* 북루손 해군부대 (NAVFORNOL)
Naval Forces Northern Luzon
* 남루손 해군부대 (NAVFORSOL)
Naval Forces Southern Luzon
* 서부 해군부대 (NAVFORWEST)
Naval Forces West
* 중부 해군부대 (NAVFORCEN)
Naval Forces Central
* 서민다나오 해군부대 (NAVFORWESM)
Naval Forces Western Mindanao
* 동민다나오 해군부대 (NAVFOREASTM)
Naval Forces Eastern Mindanao
* 함대해양준비군
Fleet Marine Ready Force
* 해군지원사령부
Naval Support Commands
* 해군해상체계사령부 (NSSC) - 카비테
Naval Sea Systems Command
* 해군교육훈련교리사령부 (NETDC)
Naval Education, Training and Doctrine Command
* 해군예비사령부 (NAVRESCOM)
Naval Reserve Command
* 해군전투공병여단 (NCEBde)
Naval Combat Engineer Brigade
* 해군시설사령부 (NIC)
Naval Installation Command
* 해군지원부대
Naval Support Units
* 보니파시오 해군기지
Bonifacio Naval Station
* 민간군사작전단
Civil Military Operations Group
* 해군정보통신기술센터
Nav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enter
* 함대-해양전투센터
Fleet-Marine Warfare Center
* 해군본부지원단
Headquarters Support Group
* 해군정보보안대
Naval Intelligence and Security Force
* 해군금융센터
Navy Finance Center
* 해군군수센터
Naval Logistics Center
* 해군인사관리센터
Navy Personnel Management Center

4. 전력

파일:필리핀 함수기.svg 현대 필리핀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필리핀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필리핀 해군|
필리핀 해군 (1946~현재)
Hukbong Dagat ng Pilipinas | Philippine Navy
]]'''
<colbgcolor=#FFF><colcolor=#FCD106> '''[[잠수함|
잠수함
]]'''
<colbgcolor=#FFF><colcolor=#FCD106> '''
SSK
'''
{호라이즌 P3 잠수함 사업}
구잠정 (PC) 카가얀급 | 카마린스 수르급
'''[[초계정|
초계정
]]'''
PB 알베르토 나바레테급 | MPAC Mk.(1~3) | 966Y형D | 드 해빌랜드 9209급 | 얀가급
PG PGM-39급 | PGM-33급 | PGM-9급 | 제너럴 에밀리오 아기날도급 | 타를라크급(1948)
'''[[고속정|
고속정
]]'''
'''
PCH
'''
본톡급 | 카미긴급
PK 아체로급 | 토마스 바틸로급D | 카기팅안급 | 콘라도 얍급(1993)D
'''
PCF
'''
마리아노 알바레즈급D | 호세 안드라다급 | 스위프트 Mk.3급 | 아브라급 | 스위프트 Mk.1 & 2급
원양초계함 (OPV) {라자 술라이만급} | 델 필라급D | 하신토급
'''[[초계함|
초계함
]]'''
'''
PCE
'''
미겔 말바르급(1948) | 리잘급
'''
PCG
'''
콘라도 얍급(2019)D
[[호위구축함|'''
호위구축함 (DE)
''']]
다투 칼란티아우급 | 라자 라칸둘라 | 라자 솔리만 | {아부쿠마급}
'''[[호위함|
호위함
]]'''
PF 안드레스 보니파시오급
'''
FFG
'''
미겔 말바르급(2025) | 호세 리잘급
'''[[상륙함|
상륙함
]]'''
'''[[상륙수송선거함|
LPD
]]'''
{LPD 추가사업} | 타를라크급(2016)
'''
LST
'''
바콜로드 시티급 | 다바오 오리엔탈급 | LST-542급 | LST-491급 | LST-1급
'''
LSM
'''
바타네스급
'''
상륙정
'''
'''
LCH
'''
타그바누아급 | 이바탄급
'''
LCU
'''
마노보급 | 마만와급 | LCU Mk.6급
'''
LSSL
'''
LCS(L) Mk.3급
'''
LCI
'''
LC-601급
'''[[소해함|
소해함
]]'''
'''
MSO
'''
다바오 델 노르테급
'''
MSC
'''
잠발레스급
'''
지원함
'''
'''
급유함
'''
레이크 칼리라야급
'''
수리함
'''
아클란급
'''
정보 수집함
'''
포트 산 안토니오급
'''
병원선
'''
베네와급
'''
해저 조사선
'''
그레고리오 벨라스케스 | 만자니타급
'''
해상 크레인
'''
YU-206급
지원정 망얀 (AS, 화물정) | 레이크 부히급 (AF, 급유정) | 레이크 라나오급 (AW, 청수정) | 이고로트급 (YT, 예인정) | 레이크 마이닛급 (YO, 급유 바지)
갈색 글자: 퇴역 함정
※ 윗첨자D: 공여받은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파일:필리핀 해군 마크.png
필리핀 해군의 전투함 전력
호위함
<rowcolor=#FCD116> 이름/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파일:Hanwha Systems.jpg
호세 리잘급
호위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 - -
파일:the-future-of-the-philippine-navy-pn-2x-hdc-3100-corvette-v0-u3ej19gd92x91.jpg
미겔 말바르급
방공 호위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 - 1
초계함
<rowcolor=#FCD116> 이름/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파일:1v1zby3.jpg
콘라도 얍급
미사일 초계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 -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말바르급
소형 초계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 - -
원양초계함
<rowcolor=#FCD116> 이름/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파일:Kongsberg-Maritime-propulsion-systems-Philippine-Navy-offshore-patrol-vessels-360x240.jpg
라자 술라이만급
다목적 원양초계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 - 6
파일:필리핀 해밀턴급1.jpg
델 필라급
대형 원양초계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 - -
파일:BRP_Artemio_Ricarte_PS37.jpg
에밀리오 하신토급
소형 원양초계함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3 - -
고속정
<rowcolor=#FCD116> 이름/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파일:1280px-USS_Hurricane_(PC-3),_USS_Typhoon_(PC-5)_and_USS_Chinook_(PC-9)_underway_in_March_2015.jpg
마리아노 알바레즈급
340t급 고속정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 - -
파일:필리핀 아체로급 1.jpg
아체로급
95t급 고속정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8 - 1
파일:BRP_Juan_Magluyan_PG-392.jpg
호세 안드라다급
50t급 고속정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2 - -
필리핀 해군의 지원함 전력
상륙함
<rowcolor=#FCD116> 이름/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파일:필리핀 타를라크급1.jpg
타를라크급
상륙수송선거함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2 -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바콜로드 시티급
전차상륙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 -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LST-542급
전차상륙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 - -

5. 매체에서

게임 원작 기반 영화인 언차티드(영화)에서 후반부에서 가라앉은 해적선을 인양하러온 군함이 필리핀 해군 소속이다.

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