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7-03 17:49:12

해밀턴급 경비함

파일:미합중국 해안경비대 인장.svg 현대의 미합중국 해안경비대 함정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 1px -11px""
<colbgcolor=#ffffff>경비함 대형함 고성능 경비함(WHEC) 카스코급R, 오와스코급R, 트레져리급R, 해밀턴급
대형 경비함(WMSL) 레전드급
중형함 중간 성능 경비함(WMEC) 스토리스R, 아쿠쉬넷M,R, 타마로아M,R, 페이머스급, 릴라이언스급, 알렉스 헤일리M
중형 경비함(WMSM) 헤리티지급
소형함 순찰함(WPC) 센티넬급
지원함정 쇄빙선 매키노, 폴라급, 힐리급, 스토리스, {PSC}
훈련함(WIX) 이글
경비정 순찰정(WPB) 마린 프로텍터급
.
.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정
※ 윗첨자L: 리스한 함정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해안경비대의 경비함 계보 파일:1920px-Ensign_of_the_United_States_Coast_Guard.svg.pn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3px"
트레저리급


 

 
}}}}}}}}}
파일:uscgc-hamilton-with-harpoon.png
Hamilton-class cutter
1. 개요2. 제원3. 특징4. 동형함 목록5. 대중매체6. 둘러보기

1. 개요

미국 해안경비대경비함.

2. 제원

만재 배수량 3,250톤
전장 115미터
전폭 13미터
흘수 4.6미터
발전기 2 × 디젤식 제너럴 모터스 8-645
1 × 가스식 솔라 모델 101506-2001
추진 장치 2 × 페어뱅크스 - 모스 38TD8-1/8-12 디젤 엔진(7,000마력)
2 × 프랫 & 휘트니 FT4A-6 가스 터빈(36,000마력)
최고 속력 29노트(약 54km/h)
최장 항해일 45일
탑승 인원 167~186명
전자 장비 AN/SPS-40E 대공 수색 레이더
AN/SPS-78 대함 수색 레이더
AN/WLR-1H 전자전 지원 장비
Mk.56/92 사격 통제 장치
전자전 장비 2 × Mk.36 SRBOC[1] 채프 발사기
무장 1 × 76mm 오토멜라라 Mk.75 함포
2 × 4연장 하푼 경사발사대[2][3]
2 × 25mm 부시마스터 Mk.38 체인건
1 × 20mm Mk.15 Block I CIWS
6 × 12.7m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함재기 유로콥터 MH-65 돌핀
격납고
헬리데크

3. 특징

해밀턴급은 레전드급이 등장하기 전까지 미국 해안경비대에서 가장 큰 배였다. 해안경비대의 전신조직중 하나인 revenue cutter service를 최초로 창설한 재무장관의 이름으로 명명했기 때문에 세크러테리급(Secretary-class)으로 불리기도 한다. 2022년 기준 미국에서는 다 퇴역하였고, 스리랑카 해군이나 필리핀 해군 등 여러나라에서 원양초계함으로 운용한다.

냉전 당시에 개발된 해밀턴급은 CODOG 방식을 채택한 최초의 미국 함선이다. 수색 및 구조, 연구 등의 임무를 맡지만 보통 항모전단과 함께 움직였다. 상부 구조물은 강철과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졌으며, 내구성과 설계가 우수해 피격당하더라도 부상할 수 있다. 한창 소련 해군원자력 잠수함이 판을 칠 때 나온 배라 해안경비대의 경비함치고는 무장이 좀 지나친 면이 있다.

4. 동형함 목록

WHEC-722 Morgenthau WHEC-726 John Midgett WHEC-720 Sherman WHEC-724 Douglas Munro
WHEC-716 Dallas WHEC-719 Boutwell WHEC-715 Hamilton WHEC-725 Jarvis
WHEC-723 Rush WHEC-718 Chase WHEC-721 Gallatin WHEC-717 Mellon

5. 대중매체

6. 둘러보기

파일:필리핀 함수기.svg 현대 필리핀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필리핀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필리핀 해군|
필리핀 해군 (1946~현재)
Hukbong Dagat ng Pilipinas | Philippine Navy
]]'''
<colbgcolor=#FFF><colcolor=#FCD106> '''[[잠수함|
잠수함
]]'''
<colbgcolor=#FFF><colcolor=#FCD106> '''
SSK
'''
{호라이즌 P3 잠수함 사업}
구잠정 (PC) 카가얀급 | 카마린스 수르급
'''[[초계정|
초계정
]]'''
PB 알베르토 나바레테급 | MPAC Mk.(1~3) | 966Y형D | 드 해빌랜드 9209급 | 얀가급
PG PGM-39급 | PGM-33급 | PGM-9급 | 제너럴 에밀리오 아기날도급 | 타를라크급(1948)
'''[[고속정|
고속정
]]'''
'''
PCH
'''
본톡급 | 카미긴급
PK 아체로급 | 토마스 바틸로급D | 카기팅안급 | 콘라도 얍급(1993)D
'''
PCF
'''
마리아노 알바레즈급D | 호세 안드라다급 | 스위프트 Mk.3급 | 아브라급 | 스위프트 Mk.1 & 2급
원양초계함 (OPV) {라자 술라이만급} | 델 필라급D | 하신토급
'''[[초계함|
초계함
]]'''
'''
PCE
'''
미겔 말바르급(1948) | 리잘급
'''
PCG
'''
콘라도 얍급(2019)D
[[호위구축함|'''
호위구축함 (DE)
''']]
다투 칼란티아우급 | 라자 라칸둘라 | 라자 솔리만 | {아부쿠마급}
'''[[호위함|
호위함
]]'''
PF 안드레스 보니파시오급
'''
FFG
'''
미겔 말바르급(2025) | 호세 리잘급
'''[[상륙함|
상륙함
]]'''
'''[[상륙수송선거함|
LPD
]]'''
{LPD 추가사업} | 타를라크급(2016)
'''
LST
'''
바콜로드 시티급 | 다바오 오리엔탈급 | LST-542급 | LST-491급 | LST-1급
'''
LSM
'''
바타네스급
'''
상륙정
'''
'''
LCH
'''
타그바누아급 | 이바탄급
'''
LCU
'''
마노보급 | 마만와급 | LCU Mk.6급
'''
LSSL
'''
LCS(L) Mk.3급
'''
LCI
'''
LC-601급
'''[[소해함|
소해함
]]'''
'''
MSO
'''
다바오 델 노르테급
'''
MSC
'''
잠발레스급
'''
지원함
'''
'''
급유함
'''
레이크 칼리라야급
'''
수리함
'''
아클란급
'''
정보 수집함
'''
포트 산 안토니오급
'''
병원선
'''
베네와급
'''
해저 조사선
'''
그레고리오 벨라스케스 | 만자니타급
'''
해상 크레인
'''
YU-206급
지원정 망얀 (AS, 화물정) | 레이크 부히급 (AF, 급유정) | 레이크 라나오급 (AW, 청수정) | 이고로트급 (YT, 예인정) | 레이크 마이닛급 (YO, 급유 바지)
갈색 글자: 퇴역 함정
※ 윗첨자D: 공여받은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현대 방글라데시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방글라데시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방글라데시 해군 (1971~현재)
বাংলাদেশ নৌবাহিনী|Bangladesh Navy
<colbgcolor=#006A4E><colcolor=#F42A41> '''[[잠수함|
잠수함
]]'''
<colbgcolor=#006A4E><colcolor=#F42A41> '''
SSK
'''
나바자트라급
강상 경비정 (PBR) 파브나급R
구잠정 (PC) 바르카트급 | 두르조이급R(초대/1982) | 카르나풀리급
어뢰정 (PT) TB 35급R | TB 1급R
'''[[초계정|
초계정
]]'''
PB 파드마급 (2대/2013) | 메그나급
'''[[고속정|
고속정
]]'''
'''
PCF
'''
티타시급 | 샤히드 다울라트급R
[[미사일 고속정|'''
미사일 고속정 (FACG)
''']]
두르드하르샤급 | 두르바르급R
원양초계함 (OPV) 산구급 | 파드마급R(초대/1973) | 비슈칼리R
'''[[초계함|
초계함
]]'''
'''
PCE
'''
마두마티
'''
PCG
'''
샤드히노타급 | 두르조이급 (2대/2013) | 비조이급
'''[[호위함|
호위함
]]'''
FF 소무드라 조이급 | 아부 바크르급R(초대/1982) | 우마르 파루크R(초대/1976)
'''
FFG
'''
우마르 파루크급 (2대/2020) | 아부 바크르급 (2대/2014) | 방가반두 | 오스만R
'''[[상륙정|
상륙정
]]'''
'''
LCU
'''
돌핀급 | 사완드위프급 | 샤 포란급 | 샤 아마나트급
'''
LCT
'''
LCT 103급
'''
LCM
'''
LCM 101급
'''
LCVP
'''
L1011급
'''[[소해함|
소해함
]]'''
'''
MSO
'''
샤플라급
'''
MSC
'''
사가르급
'''
지원함
'''
'''
급유함 (AOR)
'''
칸 자한 알리급 | 이맘 가잘리급
'''
수리함 (ARL)
'''
사하약
'''
원양 예인선 (ATF)
'''
카뎀
지원정 샤 잘랄급 (잠수지원정) | 세박 (YT) | 룹샤급 (YT) | 할다급 (YT)
연구함 아누샨단 | 다르샥급 | 아그라둣급
훈련함 샤히드 루훌 아민R
※ 윗첨자R: 퇴역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현대의 스리랑카 해군 함정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00534E> 고속정 미히카따급, 아비따 2세 / 라나자야급 / 프라따파급, P440급, P470급, 세드릭급, 콜롬보급, 웨이브 라이더급, 트리니티 마린급
미사일 고속정 난디미뜨라급
초계함 사유랄라급, 가자바후급
원양초계함 사무두라급, 사유라, 사가라급
호위함 파라크라마바후급
상륙정 L820급, 라나비자야급
상륙함 <colbgcolor=#00534E> LSM 샤크티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나이지리아 해군기.svg 현대의 나이지리아 해군 함정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008751><colcolor=#fff> 초계정 샬다그 Mk.2급, 만타급, 디펜더급, 세드릭급, {투즐라급}
원양초계함 썬더급, 센테너리급, 키안와급
호위함 오부마R, 아라두급
상륙함 <colbgcolor=#008751><colcolor=#fff> LST 암베급R, 카다급, {LST 100}
소해함 나이지리아R, 오후에급
예비함 루완 야로R, 아마리야급, 아겅구급, 마쿠르디급, 프로스페리티급, 오크포쿠급, 라나급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해상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차
세계대전
파일:미국 해군 함수기.sv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War_Ensign_of_Germany_1903-1918.svg.png
독일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정부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제2차
세계대전
파일:미국 해군 함수기.svg
미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82px-Naval_Ensign_of_Poland_%28normative%29.svg.png
폴란드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0px-Military_Flag_of_Finland.svg.png
핀란드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중화민국
파일:만주군기.svg
만주국
파일:19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네덜란드 선수기.svg
네덜란드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제2세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해군기.svg
동독
파일:Naval_Ensign_of_Poland_(1980-1993,_normative).svg
폴란드
제3세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685050>북미 파일:미국 해군 함수기.sv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
중미/카리브
'''
파일:쿠바 함수기.svg
쿠바
남미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해군기.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해군 표준기.png
콜롬비아
서유럽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Jack_of_the_Netherlands.svg.png
네덜란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Belgium.svg.png
벨기에
중부유럽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폴란드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군함기.pn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선수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해군 선수기.pn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해군기.svg
불가리아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파일:크로아티아 해군기.svg
크로아티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해군기.png
핀란드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동유럽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대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nsign_of_Vietnam_People%27s_Navy.png
베트남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함수기.svg
필리핀
파일:Naval_Ensign_of_Singapore.pn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해군기.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해군기.svg
미얀마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기(신형).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파일:Naval_Ensign_of_Israel.svg.png
이스라엘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파일:아랍에미리트 해군기.png
{{{#!wiki style="margin: -0px -9px"]]
파일:640px-Flag_of_the_Royal_Bahrain_Naval_Force.svg.pn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오세아니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아프리카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이집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경비함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전함 | 잠수함
}}}}}}}}}}}}



[1] Super Rapid Bloom Offboard Countermeasures[2] 초도함 및 일부 함정 90년대까지 장비.[3] 아마 하푼의 원 목적인 수면부상한 소련 잠수함을 때려잡기 위해 장비한듯 하다.[4] 알프레드 함즈(Alfred Harms), 로버트 서튼(Robert Sutton). 둘 다 중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