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www.ontargetalignment.com/322012_15_38256_147223748623059_100000063054672_461706_3678594_n.jpg |
오토멜라라 76mm 함포 |
1. 개요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에서 발사하는 모습 |
2. 제원
제원 | ||
구분 | 컴팩트 (Compact) | 슈퍼 레피드 (Super Rapid) |
운용기간 | 1964년~현재 | |
제작사 | 오토멜라라 | |
개발완료 | 컴팩트(Compact): 1963년 슈퍼 래피드(Super Rapid): 1985년 스트랄레스(Strales): 2004년 | |
생산개시 | 컴팩트(Compact): 1964년 슈퍼 래피드(Super Rapid): 1988년 스트랄레스(Strales): 2008년 | |
포신길이 | 4,724.4mm(62구경장) | |
포신중량 | 765kg | |
탄약 | 76 x 636mm 일체형 포탄 | |
구경 | 76.2mm(3인치) | |
포신부앙각도 | -15°~+85° | |
포신부앙속도 | 초당 35° | 초당 72° |
포탑회전각도 | 360°무제한 회전가능(슬립링 사용) | |
포탑회전속도 | 초당 60° | 초당 72° |
포탑구조 | 단장 밀폐형 포탑 | |
포탑중량 | 7,439kg | 7,620kg |
연사속도 | 분당 85발 | 분당 120발 |
포구속도 | 초속 925m | |
약실압력 | 3,400kg/c㎡ | |
운용인원 | 없음(원격조정식 무인포탑) 포대장 1명과 탄약수 3명(하부탄창 재장전 임무) |
3. 개발
오토멜라라사의 76mm 함포의 시작은 76mm/62 M.M.I. 함포부터 시작한다. 1958년부터 개발에 돌입해서 1963년부터 양산을 시작한 해당 함포는 이전의 연구를 통해 시제품만 만들어진 SMP3 Sovrapposto라는 2연장 함포를 기반으로 해서 스웨덴의 보포스 40mm 포를 참고하여 오토멜라라사의 기술력을 합친 결과물이었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이탈리아 해군의 함포로 채용되었으나 수출실적은 없고 생산량도 84문에 불과했지만 당대의 미제 대공포인 Mk.33 3인치(76.2mm) 50구경장 함포와 탄약 호환성을 갖추었으며 연사속도가 55발에서 60발에 도달할 정도로 빨랐고 76mm라는 구경, 62구경장의 포신, 76 x 636mm 일체형 포탄같은 중요 구조는 이 때 이미 완성되었거나 기반을 잡아놓았다.76mm/62 M.M.I. 함포 다음으로 오토멜라라사의 2세대 76mm 62구경장 함포로 개발된 것이 오토멜라라 76mm 함포의 기본형인 컴팩트(Compact)다.출처 개발 시작은 76mm/62 M.M.I. 함포와 거의 동시에 시작되었기에 의외로 길었으므로 실제로 개발에 돌입해서 설계가 완성된 시기는 1963년이며 시제품이 생산된 시기는 1964년이다. 그러나 초기불량 때문에 실질적인 설계완료는 1967년이며 실제로 양산이 시작된 시기는 1969년으로 잡는다.
컴펙트가 나온 초기에는 함포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복잡하고 정밀하며 신뢰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아서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나 이스라엘 해군이 사르 2급 미사일 고속정을 건조한 후 함포 화력 확대의 필요성을 느껴서 기존의 함포인 보포스 40mm 포 대신 76mm 컴팩트를 채용한 사르 3급 미사일 고속정을 구상해본 후 기존의 사르 2급 미사일 고속정의 1966년에 발주한 후기 건조분에 임시적으로 76mm 컴팩트를 장착해서 시험해보았다. 그 결과 100개소에 도달하는 개선항목이 발견되었으나 효용성을 인정받았기에 개선품이 샤르 3급 미사일 고속정에 탑재되었으며 제4차 중동전쟁에서 해당 고속정이 활약함에 따라서 기존의 부정적 평가가 무너지고 본격적으로 범서방 해군의 주력 함포로 널리 수출하게 된다.
4. 성능
기본적으로 어떤 종류이건 간에 초계함이나 고속정 등에 비교적 소형 함선에서 탑재할 수 있을 만큼 무게가 가볍고 체적도 적다. 연사속도는 기본형인 컴팩트가 분당 86발로, 76mm라는 구경을 생각하면 사실상 기관포 수준으로 정말 빠르다.함포의 구조 자체는 속사포(速射砲, Quick-Firing Gun)'로 분류된다. 기관포(機關砲, Autocannon)에 뒤지지 않는 연사력을 지녔지만, 자동화기로서의 구조가 아닌 별도의 자동장전장치에 의존하여 자동 사격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함포의 동작은 모두 전동식으로 440V 60Hz 3상의 전기로 동력의 주요 부분을 충당하며 115V 400Hz 단상의 전기로 보조 동력 및 동기 신호회로등을 담당한다. 그리고 군함의 레이더와 사격통제장치와 연동하여 자동화된 화기제어 시스템을 달성하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과 명중률을 달성했다. 그리고 높은 속사능력에 힘입어 대공능력도 높다. 따라서 개함방공, 대공, 대수상, 지상타격 등 여러 임무에 적합하다.
포탄은 포탑 하부에 위치한 드럼식 탄창을 사용한다. 복열 형태의 회전식 탄창으로 수직으로 1층에서 3층까지 쌓을 수 있으며 탑재 가능한 포탄의 수량은 장전 호이스트등의 자동장전장치 내부에 있는 포탄을 합쳐서 1층 탄창만 있으면 44발, 2층 탄창까지 있으면 80발, 3층 탄창까지 있으면 115발의 포탄을 넣을 수 있으나 여기서 자동장전장치로 즉시 장전이 가능한 즉응탄은 2층 탄창분량까지이므로 80발로 제한된다.
80발의 즉응탄을 미리 장전해놓으며 함포가 작동하면 자동으로 장전된다. 포탑 자체는 무인포탑으로 원격조종으로 움직이지만 유사시에 문제 해결을 위해서 잠시동안 동기화를 멈춘 후에 포탑 후부의 해치로 작업원이 투입되어 수동으로 점검 및 몇 발 정도의 수동 장전식 사격을 진행할 수 있는 장비가 부설된다. 불발탄이 발생하면 수동으로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해당 설비는 필수적으로 장착된다.
포신은 2조각으로 나누어진 부품을 결합한 2피스 방식이며 포구에는 소염기 역할이 강조된 포구제퇴기가 장착되었으며 포신 중앙에는 배연기가 추가되었다. 그리고 포신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바닷물을 냉각수로 사용하는 수랭식 냉각방식의 재킷이 추가된다. 아래 사격 영상을 보면 포구에서 물이 흐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한두 발 사격 후에는 포신이 가열되어 증기만 나온다. 수랭식 냉각방식을 사용하고 냉각수도 쉽게 구할 수 있는 바닷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연사지속시간이 크게 늘어나고 포신 수명도 높아진다. 냉각계통의 세척은 소금기가 없는 담수를 사용한다.
포탑은 오토멜라라사 특유의 원통형과 구체형을 조합한 둥근 형태의 단장 밀폐식 포탑이다. 포탑의 재질은 유리섬유가 주요 재료이며 주요 목적은 함포와 내부 시설을 바닷물과 습기 및 파도같은 것에서 보호하는 데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방어력 자체는 포탄 파편을 방어하는 수준으로 보인다. 포탑 후부에는 점검용으로 둥근 해치가 달려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함포로는 가장 널리 퍼진 함포로 2014년 시점에서 56개국의 171개 함급의 군함이 오토멜라라 76mm 함포를 장착하고 있으며 생산량도 라이선스 생산분까지 합치면 약 1,100문에 도달할 정도로 많다.
그리고 확장성도 높은 편이라서 함포 외에도 해안포나 육상용 화포로도 충분하게 개조가 가능하다. 이탈리아 육군은 이 포를 기갑차량에 얹은 지상용 자주대공포인 오토마틱, 드라코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오토멜라라 76mm 함포는 아니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루이캇트 장갑차의 76mm 주포도 오토멜라라 76mm 함포와 탄약호환성이 존재하므로 전기신관에서 충격신관으로 변경하면 탄약호환이 가능하다. 자세한 것은 해당 항목 참조.
그러나 완벽한 무기는 아니라서 초기형에는 발사시 반동이 제대로 흡수 및 분산되지 않아서 최대 속도로 연사시에는 신뢰성이 저하하고 명중률이 떨어지며 연사가 지속될 경우에는 아예 포탑을 설치한 구조물 자체가 충격을 이기지 못해서 금이 가며 포탑 마운트 자체가 붕괴되는 현상이 관측되었다. 실제로 미국에서 76mm/62 Mk. 75로 컴팩트 함포를 채택하려고 할 때의 초기 시험에서 460m 떨어진 6m x 6m 크기의 표적을 대상으로 20발 이상의 최대 속도 연사를 수행하지 못했다고 한다. 이런 문제는 피드백을 통해 개선형에서 해결되기 시작했고 슈퍼 레피드에서 완전히 해결된다.
5. 탄약
기본형인 컴팩트(Compact)는 Mk.33 3인치(76.2mm) 50구경장 함포와 탄약 호환성을 가진 고폭탄같은 기본 탄약을 운용했으나 슈퍼 래피드(Super Rapid)부터는 해당 함포에 여러가지 임무를 추가로 부여하기 위해서 오토멜라라사가 여러가지 특수탄약을 개발했다. 해당 탄약들은 컴팩트에도 부가설비를 갖추면 사격이 가능하기는 하나 어지간하면 슈퍼 래피드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오토멜라라 76mm 함포의 탄약 종류 | ||||
탄종 | 무게 | 사거리 | 유효사거리 | 비고 |
기본 고폭탄(HE) | 6.296kg | 16km | 대수상: 8km 대공: 4km | 기본탄약 컴팩트와 슈퍼 레피트 및 이후 파생형들이 모두 사용가능하다 |
오토멜라라 다목적탄(MOM) (Multirole OTO Munition) | ? | ? | ? | |
대함미사일 요격탄(PFF) | ? | 16km | 4km | 근접신관과 텅스텐 자탄 탑재 |
반철갑탄(SAPOM) (Semi-Armour Piercing OTO Melara) | 6.35kg | 16km 사거리 연장형 SAPOM-ER: 20km | ? | 고폭탄/철갑탄 복합형[1] |
다트(DART) | ? | ? | ? | 대공표적 요격을 위한 유도포탄 |
불카노(Vulcano) | 5kg | 40km | ? | 대지상타격용 유도포탄 |
6. 사격 통제
사격 통제 체계 또한 발전에 발전을 거듭했다. 초창기 컴팩트 버전의 사격통제는 구 셀레니아사(현 셀렉스)의 RTN-10X 오리온 사격통제 레이더를 사용했다. 1980년대 초반에는 더 발전된 RTN-30X를 장착했다. 이탈리아 해군 내에서는 SPG-73으로 불렸다. 이 RTN-30X는 오토멜라라 40mm 2연장포, 76mm 함포, 127mm 함포에 대한 사격통제가 가능했으며 RIM-7 시 스패로우 함대공 미사일의 유도 또한 가능했다. 이 외에 해당 함포는 무려 60개국에서 사간 탓에, 전 세계의 온갖 사격통제레이더와 인연을 맺었다. 그런고로 해당 함포를 사격통제하는 체계는 무수히 많다.7. 사격 영상
기본 사양인 오토멜라라 76mm 함포의 발사영상 |
8. 역사
데뷔는 제4차 중동전쟁에서 치러졌다. 1967년 10월 21일 이집트군이 이스라엘 구축함 에일랏(Eilat)를 스틱스 대함 미사일로 격침시킨 에일랏 쇼크 이후, 이스라엘 해군 역시 가브리엘 Mk.1이라는 시선지령유도식 대함미사일을 개발하여 배치했다. 허나 대함 미사일만으로 해전을 치르기엔 가격 문제도 있었다. 근접전에서는 이 오토멜라라 76mm 함포를 사용했는데, 가브리엘 미사일 못지 않게 전과를 올렸다.(스틱스 대함 미사일 참조) 분당 85발의 발사속도에 레이더로 사격통제가 이뤄지는 혁신적인 조준방식으로 이름을 널리 떨쳤다.오토멜라라 76mm 함포는 전 세계에 널리 수출되었으며, 21세기의 시점에서도 60개국의 해군에서 운용 중이다. 프랑스-이탈리아 합작인 호라이즌급과 FREMM급 호위함에 장착될 함포로 프랑스 100mm 함포를 밀어내고 당당히 탑재되었다.
대한민국 해군은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이후로 호위함급 이상 수상전투함에는 127mm Mk.45 5인치 함포를 탑재하는 추세다. 광개토대왕급은 오토멜라라 127mm 함포탑재. 그 이전 건조된 울산급 호위함이나 포항급 초계함에는 이 함포를 장착하였으며, 현재는 이 함포를 윤영하급 고속함이나 신형 참수리급 고속정의 주력 함포로 애용한다.
오토멜라라 76mm 함포는 일반적으로는 범서방 해군만 운용하며 동구권이나 제3세계는 AK-176 76mm 함포같은 비슷한 구경의 함포를 사용한다. 그러나 2006년 9월, 이란 해군은 Fajr-27이라는 제식명의 오토멜라라 76mm 함포 역설계품을 공개했다. 이는 북한 해군에도 수출되어 당시 우리 해군에게 큰 걱정거리로 떠올랐었다.[2]
9. 파생형
9.1. 슈퍼 래피드(Super Rapid)
|
오토멜라라 76mm 슈퍼 래피드 |
기존 76mm 컴팩트포에 당시 발전된 기술을 더해서 연사속도를 분당 120발로 증가시켰다. 이는 발전되고 더 빠른 급탄 체계를 개발하고 포신과 약실을 강화해서 과압력과 빠른 연사 및 연사지속시간이 길어지는 악조건에도 견딜 수 있도록 만들었으며 포 자체를 구성하는 구조물도 강화하며 작동하는 부품의 중량을 줄여서 진동을 억제하는 등 사실상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것을 바꾸고 개선한 결과였다. 그래서 시험사격시에는 분당 139발의 속사기록을 달성했으며 최대연사속도로 10발 사격시에도 1,000m 거리의 표적에 명중시 표준편차값이 0.017도 미만으로 줄어들었다.
그래서 기존의 컴팩트(Compact)를 슈퍼 래피드(Super Rapid)로 개조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컴팩트 함포용으로 연사속도를 증가시키는 개량용 킷트가 나왔다. 해당 킷트를 적용하면 연사속도가 분당 100발까지 증가한다. 하지만 증가한 부품으로 인해 공간이 협소해져서 수동장전이나 탄종변환이 불가능해진다.
슈퍼 래피드도 기본적으로는 컴팩트의 둥근 포탑을 사용가능하지만 보통은 스텔스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RCS 감소가 적용된 상자형 포탑을 사용한다. 그리고 포탑의 재질도 개선해서 기존의 포탑이 0.5kg/c㎡의 압력까지만 버틸 수 있지마 슈퍼 래피드의 포탑은 모양에 관계없이 1.0kg/c㎡의 압력까지 버틸 수 있다. 그래서 기존의 컴팩트 함포에도 약간의 개조를 거치면 슈퍼 래피드용 포탑을 적용가능하며 스텔스 성능 향상용 포탑도 적용가능하다.
9.2. 스트랄레스(Strales)
|
오토멜라라 76mm 스트랄레스 |
스트랄레스가 DART 포탄을 시험사격하는 영상 |
9.3. 소브라폰테(Sovraponte)
스트랄레스 시스템을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기 위한 개량형. 하부 급탄부를 포탑 내부로 옮기고 포탑 우측의 레이더를 포신 아래에 장착 하였다. 스트랄레스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트랄레스 시스템 탑재를 하지 않고도 소브라폰테 방식으로 오토멜라라 76mm 함포를 탑재가능하다.포탑 구동부를 제외하고는 하부 공간이 필요 없고 전체 중량도 기존의 슈퍼 래피드와 비교해서 30%~40% 정도 줄어들기 때문에 협소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고 갑판을 관통하는 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지만 즉응탄이 포탑 내부에 있는 40발로 크게 제한되며 전투중 재장전은 사실상 불가능한 수준이 된다. 그래서 추가적인 킷트를 장착가능한 경우에는 포탑 형상 변화를 포함한 약간의 개조를 거쳐서 포탄 적재량을 76발까지 늘릴 수 있다.
타온 디 레벨급 원양초계함의 헬기 격납고 위에 소브라폰테를 설치한 모습을 볼 수 있다.
9.4. KP-76L/62 76mm 함포
|
KP-76L/62[3] |
분당 100발의 발사속도에 스텔스 커버를 장착하였고 부품 상당수가 국산화되었다. 윤영하급 유도탄고속함[5]과 남포급 기뢰부설함, 한산도급 훈련함에 장착됐다.
윤영하급 유도탄고속함에 장착된 76mm 함포의 고장이 다발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대한민국 해군에서는 전수조사를 할 예정이라고 한다.# 윤영하급 12번함까지는 기존에 퇴역한 포항급 초계함, 울산급 호위함의 76mm 함포를 재생하여 탑재했는데, 그 76mm 함포에 대만산 복제 부품을 사용했으며 해당 부품이 군용 스펙을 전혀 달성하지 못하는 저질 불량 부품이라 문제가 발생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9.5. MKE 76mm 함포
|
시험발사중인 MKE 76mm 함포 |
대수상 목표와 대공 목표를 동시에 교전할 수 있으며 포탑은 슬립링을 채용해서 360° 연속 회전이 가능하며, 포탑선회속도는 초당 60-65°, 포신부앙각도는 -15°/+85°, 포신부앙속도는 초당 35-40°다. 자금을 더 많이 투입해서 부가장치를 부착하면 이탈리아의 슈퍼 래피드처럼 포탑선회속도와 포신부앙속도를 모두 초당 72°까지 올릴 수 있다. 기본적으로 오토멜라라 76mm 함포 중 후기형과 제원이 유사하다.
육상 시험과 자격 인증 완료 후, 2021년 11월 첫 단발 사격이 이루어졌으며, 2022년 7월에는 부라크급 초계함 4번함 베이코즈 (Beykoz)에 설치 및 화력통제시스템에 통합되었다. 8월에는 항만 및 수용 시험 범위 내에서 육상 포격, 수상 및 대공 사격을 포함한 첫 실사격 시험을 성공적으로 통과했다.#1
9.6. Mk.75 76mm 함포
오토멜라라 76mm 컴팩트 함포의 미국 라이선스 생산형이다. 라이선스 생산 개시 당시에는 기존 오토멜라라제 원본보다는 연사 속도가 약간 느렸다.미국에서는 슈퍼 레피드 함포가 나온 후에도 컴팩트 함포를 개량해서 사용하고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9.7. 파즈르(Fajr)-27
이란이 팔라비 왕조 시절 얻었던 오토멜라라제 76mm 함포를 역설계, 복제한 물건이다. 전문가들은 오토멜라라 76mm 함포가 1960년대에 만들어진 물건인 만큼 21세기의 현대 기술력으로는 복제에 큰 어려움이 있지 않으며, 따라서 성능 또한 기존 컴팩트 버전과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본 함포는 북한에도 수출되어 농어급 고속정에 탑재, 당시 한국 해군에게 상당한 충격을 안겨준 적이 있었다. 이 덕분에 인천급 호위함의 127mm 함포 탑재가 신의 한수였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지만, 문제는 대구경 함포를 단 만큼 부작용도 무시 못할 수준으로 커져서 본의 아니게 추가로 악영향을 주었다.
9.8. 북한판 파즈르(Fajr)-27
|
자위-2021에 등장한 북한판 Fajr-27 |
9.9. 오토마틱 자주대공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토마틱#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토마틱#|]]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10. 드라코 자주대공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첸타우로#s-4.2|4.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첸타우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 운용국
다수 국가가 라이선스 생산, 복제하여 운용한다.10.1. 아시아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말레이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말레이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말레이시아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방글라데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방글라데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방글라데시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리랑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리랑카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스리랑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스리랑카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난디미트라급 미사일 고속정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싱가포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싱가포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싱가포르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오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오만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오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오만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카리프급 초계함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란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이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이란 해군 (Fajr-27 포함됨)#!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스라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이스라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이스라엘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인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인도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인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인도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인도네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인도네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인도네시아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중화민국군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튀르키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튀르키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튀르키예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태국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태국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파타니급 원양초계함
- 라따나꼬신급 초계함
- 랏차릿트급 미사일 고속정
- 촌보리급 고속함
- 따삐급 초계함
- 캄론신급 초계함
- 푸미폰 아둔야뎃급 호위함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필리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필리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필리핀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랍에미리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아랍에미리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UAE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0.2. 아프리카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남아프리카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남아프리카 공화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남아프리카 공화국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모로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모로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모로코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알제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알제리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알제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알제리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집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이집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이집트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튀니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튀니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튀니지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0.3. 유럽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그리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그리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그리스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네덜란드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노르웨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노르웨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노르웨이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덴마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덴마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덴마크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독일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루마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루마니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루마니아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기에|{{{#!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벨기에}}}{{{#!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벨기에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스페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스페인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일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아일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아일랜드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피콕급 초계함
- 로신급 원양초계함
- 사뮈엘 베케트급 원양초계함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이탈리아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스파르비에로급 미사일정
- 오리존테급 구축함
- 카를로 베르가미니급 호위함
- 알피노급 호위함
- 뒤랑 드 라펜급 구축함
- 미네르바급 초계함
- 시리오급 원양초계함
- 코만단티급 원양초계함
- 안드레아 도리아급 헬기순양함
- 비토리오 베네토급 헬기순양함
- 카보우르급 항공모함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이탈리아 육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포르투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포르투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포르투갈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폴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폴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폴란드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프랑스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0.4. 오세아니아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호주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0.5. 북아메리카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멕시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멕시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멕시코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캐나다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0.6. 남아메리카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베네수엘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베네수엘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베네수엘라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과이퀘리급 원양초계함
- 과이카마쿠토급 원양초계함
- 컨스티튜션급 원양초계함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르헨티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아르헨티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아르헨티나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에콰도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에콰도르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에콰도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에콰도르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에스메랄다스급 초계함
- 콰이토급 미사일 고속정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칠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칠레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칠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칠레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콜롬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콜롬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콜롬비아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페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페루 국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페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페루 해군#!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3]]}}}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1. 관련 문서
12. 같이보기
현대 함포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구경 | 명칭 | |
30mm 미만 | <colbgcolor=#FFF,#121212>시벌컨(20mm, 한국) · 25mm Mk.38 기관포(25mm, 미국) · MLG-27 기관포(27mm, 독일) | ||
30mm | Mk.46 Mod.2 부시마스터-II 함포(미국) · 에머슨 30mm 쌍열포(미국) · CRN 91 함포(인도) · DS30B 기관포(영국) | ||
40mm | 보포스 40mm 함포(스웨덴) · 노봉(한국) | ||
57mm | 보포스 57mm 함포(스웨덴) · AK-257 57mm 2연장 함포(소련) | ||
76mm | 오토멜라라 76mm 함포(이탈리아) · KP-76L/62 76mm 함포(한국) · AK-176 76mm 함포(러시아) · H/PJ-26 76mm 함포(중국) | ||
100mm | 79A식 100mm 2연장 함포(중국) · 210식 100mm 함포(중국) · 프랑스 100mm 함포(프랑스) · AK-100 100mm 함포(러시아) | ||
113mm | Mk.8 4.5인치 함포(영국) | ||
120mm | AMOS 지상 지원용 2연장 박격 함포(스웨덴) · 보포스 120mm 함포(스웨덴) | ||
127mm | Mk.45 5인치 함포(미국) · 오토멜라라 127mm 컴팩트 함포(이탈리아) · 오토멜라라 127mm 라이트웨잇 함포(이탈리아) | ||
130mm | H/PJ-38 130mm 함포(중국) · AK-130 130mm 2연장 함포(러시아) | ||
152mm | 칼리챠-F(러시아) · 보포스 152mm 2연장 함포(스웨덴) | ||
155mm | AGS 155mm 함포(미국) · MONARC(독일)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틀 : 근접 방어 무기 체계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곡사포 | <colbgcolor=#ffffff,#191919>M101A1S, M102, M119A1, M119A2, M119A3, M198R, M284, M777, M777A1, M777A2, M777ER, XM907, | |||
박격포 | M120, M120A1, M121, M224, M224A1, M252, M252A1, M252A2, M327R, Mk.2 Mod.0, Mk.2 Mod.1R, Mk.4 Mod.0R, RMS6L, XM905, | ||||
무반동포 | M3, M3A1, M3E1, M67R, M136, M136A1 | ||||
함포 | Mk.7R, Mk.12R, Mk.38 Mod.0, Mk.38 Mod.2, Mk.38 Mod.3, Mk.45 Mod.2, Mk.45 Mod.4, Mk.46 Mod.2, Mk.75 Mod.0, Mk.110 Mod.0, | ||||
전차포 | M35, M68A1, M68A2, M81E1, M81E1, M162, M256, | ||||
기관포 | 다포신 | GAU-8/A, GAU-12/U, GAU-22/A, M61A1, M61A2, M197, | |||
단일포신 | Mk.12R, GAU-23/A, L/60R, M39, M39A1, M39A2, M39A3, M230, M230A1, M230LF, M242, XM813, | ||||
※ 윗첨자S: 비축 또는 예포로 운용 ※ 윗첨자R: 퇴역 상태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화포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34292d> 제2차 세계 대전 | 연합군 | |
추축군 | |||
냉전 | |||
현대전 | }}}}}}}}} |
세계의 근접 방어 무기 체계(CIWS)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개발 국가 | 기관포 | 대공 유도탄 |
| <colbgcolor=#c3d2ea,#15243c> 팰렁스 | <colbgcolor=#c3d2ea,#15243c> | |
| SGE-30 골키퍼 | ||
| 하이첸-1 | ||
| 노봉 | CIWS-II | 해궁 | |
| RIM-116 RAM | ||
| RAPIDFire | VL-MICA | 사드랄 | 크로탈 | |
| CAMM | 시울프 | 시캣 | ||
| 메로카 | ||
| 밀레니엄 | 시 제니스 | ||
| DARDO | 오토멜라라 76mm 함포 | ||
| 바락 1 | ||
| 괴크데니즈 | ||
| 데넬 35mm 양용포 | 움콘토-IR | |
<colbgcolor=#954f4f> | AK-230 | AK-630 | AK-630M1-2 | 카쉬탄 | 팔마/팔라시 | 판치르-ME | 3K95 킨잘 | 4K33 오사-M | 9K32 스트렐라-2 | |
| H/PJ-12 730식 CIWS | H/PJ-11 1130식 CIWS | HHQ-10 | FL-3000N | HHQ-7 | HQ-61 | }}}}}}}}} |
[1] 고폭탄의 구조를 강화해서 장갑관통력을 약간 추가한 것에 가깝다.[2] 이 때문에 당시 과무장이라 비판받던 인천급 호위함의 127mm Mk.45 5인치 함포가 신의 한 수로 재평가 받았다. 현재는 상기한 것처럼 인천급 이후 함급인 대구급 호위함에도 역시 127mm 함포가 장착되었다.[3] 사진은 윤영하급 유도탄고속함 11번함인 홍시욱함(PKG-723)에 탑재된 함포이다.[4] 말이 대여지 사실상 역설계 하라고 준 것이다.[5] 1번함인 윤영하함은 오토멜라라제 76mm 함포 탑재[6] 1번함: 오토멜라라제 2번함 ~: 현대 위아[7] 이란제 Fajr-27을 장착, 이하 함급들도 동일한것으로 추정됨.[8] 마지막함 Gary함의 퇴역을 끝으로 현역에선 물러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