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6 02:46:36

포미더블급 호위함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포미더블급'''{{{#!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해군의 전함}}}에 대한 내용은 [[포미더블급 전함]]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포미더블급 전함#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포미더블급 전함#|]]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해군의 전함: }}}[[포미더블급 전함]]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포미더블급 전함#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포미더블급 전함#|]]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현대 싱가포르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Naval_Ensign_of_Singapore.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싱가포르 해군|
싱가포르 해군 (1967~현재)
Republic of Singapore Navy | Angkatan Laut Republik Singapura
]]'''
<colbgcolor=#EE2536> [[잠수함|'''
잠수함
''']]
<colbgcolor=#EE2536> '''
SSK
'''
인빈시블급 | 아처급 | 챌린저급
'''[[초계정|
초계정
]]'''
PB 센티넬급M | 피어리스급 | 팡리마
'''[[고속정|
고속정
]]'''
'''
PCF
'''
스위프트급 | 인디펜던스급(1970)
'''
FIC
'''
FIC 145급 | CCL급 | SMC 2형 | SMC 1형
[[미사일 고속정|'''
미사일 고속정 (FACG)
''']]
시 울프급
원양초계함 (OPV) {포츠담급}
[[초계함|'''
초계함
''']]
'''
PCG
'''
인디펜던스급(2017) | 빅토리급
[[호위함|'''
호위함
''']]
'''
FFG
'''
{MRCV 사업} | 포미더블급
'''[[상륙함|
상륙함
]]'''
'''[[LHD|
LHD
]]'''
{JMMS 사업}
'''[[상륙수송선거함|
LPD
]]'''
인듀어런스급(2000)
'''[[전차상륙함|
LST
]]'''
프리저번스 | 케언 힐급 | 인듀어런스급(1971)
'''[[소해함|
소해함
]]'''
'''
MCMV
'''
베독급
'''
MSC
'''
주피터급
'''
지원함
'''
[[구조함|'''
잠수함 구조함
''']]
스위프트 레스큐
'''
무인정
'''
'''
USV
'''
프로텍터급 | 비너스 16 | 스파르탄 스카웃 | 피라냐
훈련함 멘토
갈색 글자: 퇴역 함정
※윗첨자M: 개장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파일:Formidable_Class_1.jpg
Formidable-Class Frigate

1. 개요2. 제원3. 상세4. 동형함 목록5. 기타6. 둘러보기

1. 개요

싱가포르 해군이 운용 중인 주력 호위함.

2. 제원

포미더블급 호위함
Formidable-Class Frigate
파일:싱가포르 포미더블급 1.jpg
<colbgcolor=#eee> 함종 <colbgcolor=#FFF>방공호위함
이전급 빅토리급 초계함
다음급 미정
기준배수량 2,800톤
만재배수량 3,200톤
전장 114.8m
전폭 16.3m
흘수선 6.0m
동력 <colbgcolor=#eee> 방식 CODAD
기관 MTU 20V8000 M90 디젤엔진 4기
(각 12,200HP | 총 48,800HP)
ISM V1708 디젤 발전기 4기
(각 1,150HP | 총 4,600HP)
추진 고정 피치 프로펠러 2기
속도 27노트 (50km/h)
항속거리 15노트 순항시 7,780km
승무원 승조원 71명
항공요원 19명
전투체계 탈레스 TAVITAC[1] 2000 NT 전투관리체계
'''
레이더
'''
통합 탈레스 헤라클레스 선회식 S밴드 3차원 PESA 레이더
- 동시교전 능력: 10개
- 탐지 및 추적: 500개
- 최대 탐색 거리: 250km
사통 탈레스 STING-EO Mk.2 I/K밴드 표적 조사 레이더 1기
항법 테르마 SCANTER 2001 X밴드 항법 레이더 2기
소나 견인 EDO 모델 980 ALOFTS[2] 저주파 예인소나
광학장치 엘빗 MSIS[3] 광학추적장비
대응장비 '''
디코이
'''
SAGEM NGDS II 8연장 기만체 발사기 2문 (함수)
레오나르도 WASS C310 어뢰 기만체 발사기 2문 (함미)
'''
전자전
'''
라파엘 C-PEARL-M ESM 체계
무장 함포 오토멜라라 슈퍼 래피드 76mm 62구경장 함포 1문
'''
VLS
'''
Sylver A50 VLS 16셀
┗ 아스터-30 16발
Sylver A43 VLS 16셀
┗ 아스터-15 16발
대함 Mk.141 4연장 경사발사대 2문
RGM-84C 하푼 블록 1D 8발
대잠 B515 324mm 3연장 어뢰발사관 2문
A244-S Mod 3 경어뢰 6발
'''
RCWS
'''
라파엘 Mk.38 Mod 2 타이푼 RCWS 2문
M242 부시마스터 25mm 87구경장 기관포
기타 STK 50MG 12.7mm 중기관총 4정
'''
비치사성
'''
디펜쉴드 LRAD500X 음향대포 2문
항공 시설 헬리콥터용 비행갑판
중형 헬리콥터 1대분 격납고
탑재 항공기 중형 헬기 1대
S-70B 시호크

3. 상세


포미더블급은 프랑스의 DCNS사가 싱가포르 해군에 판매한 3,000톤급 호위함이다. 처음의 계획은 수상전투만을 상정한 1,000톤급의 초계함 8척이었다. 하지만 공중, 잠수함 등 다양한 위협과 고강도의 분쟁에 대비하기 위한 무기를 고려하면서 배수량이 늘어나게 되었다.

라파예트급 호위함을 기반으로 설계한 함정으로 2000년 3월, 프랑스의 DCNS사가 수주했다. 1번함은 프랑스에서 건조했으나 2번함 부터는 싱가포르 현지 조선사인 STM에서 건조했다. 총 6척이 건조된 이 호위함은 싱가포르 해군의 주력 전투함이자 핵심 전력이며 위상배열 레이더를 장착했다.[4]

같은 라파예트 계열 함선인 캉딩급 호위함 등 유사한 체급의 호위함들과는 성능에서 매우 큰 차이가 있다. 32발의 아스터 미사일을 장착하고 있기에[5] 이지스 시스템 탑재 소형함과 맞먹는 방공 기능을 보일 수 있다.

국토와 협소하고 인구가 적은 싱가포르군 특성상 자동화 설비에 많은 투자해, 3000톤 수준의 호위함을 86명으로 운용한다. 동시대, 동급 배수량의 군함에는 200여 명이 넘게 타는 것이 일반적이고, 운용인력 줄여보겠다고 한 미해군 연안전투함은 승조원들이 조리하다 뛰쳐나가 헬기 착륙을 돕는 식으로 2명, 3명분의 일을 하다가 나가떨어졌는데, 포미더블급은 딱히 운용에 문제가 있다는 말은 없다.

스텔스 설계를 채용하여 레이더에는 작은 어선 수준으로 탐지된다고 한다. 위키백과에 따르면 1200톤급으로 탐지된다고 한다. 포항급이 1200톤이다. 적은 양의 채프로도 숨을 수 있는 등 상대적으로 생존성이 높아지기에 21세기에 건조되는 전투함들은 스텔스성에 상당히 신경을 쓰는데, 포미더블급의 건조 시기를 생각하면 꽤 선진적이라 할 수 있다.

4. 동형함 목록

||<-5><tablebordercolor=#CCC><tablealign=left><nopad>
싱가포르 해군
Republic of Singapore Navy
||
함번 함명 함생 건조사 비고
68 RSS 포미더블
RSS Formidable
기공: 2002년 11월 14일
진수: 2004년 1월 7일
취역: 2007년 5월 5일
DCNS 현역
69 RSS 인트레피드
RSS Intrepid
기공: 2003년 8월 3일
진수: 2004년 7월 3일
취역: 2008년 2월 5일
STM 현역
70 RSS 스테드패스트
RSS Steadfast
기공: 2003년 11월 15일
진수: 2005년 1월 28일
취역: 2008년 2월 5일
STM 현역
71 RSS 터네이셔스
RSS Tenacious
기공: 2004년 5월 21일
진수: 2005년 7월 15일
취역: 2008년 2월 5일
STM 현역
72 RSS 스톨워트
RSS Stalwart
기공: 2004년 11월 11일
진수: 2005년 12월 9일
취역: 2009년 1월 16일
STM 현역
73 RSS 슈프림
RSS Supreme
기공: 2005년 5월 17일
진수: 2006년 5월 9일
취역: 2009년 1월 16일
STM 현역

5. 기타

2000년대초 한국 해군에서 KDX-2와 KDX-3를 건조할 당시 이러한 거함에 반대하는 입장에서 대안으로 거론되기도 하였다. 당시 한국 해군은 '최대한 저렴하게 SM-2를 운용할 수 있는 헬기탑재 대형 수상함' 으로 KD-2를, '좀 비싸더라도 확실한 이지스함' 인 KD-3를 도입했다. 그러나 이미 울산급과 포항급이 극한으로 노후화된 상황에 화려한 대형함만 늘리면 해군의 허리라 할 수 있는 중간급 함선이 매우 취약새진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KD-2 6척과 KD-3 3척을 건조할 비용으로 포미더블급 수준의 개함방공함 12척을 건조하는 것이 균형잡힌 해군 발전에 적합하다는 것이 요지였다.

그러나 함대방공 뿐 아니라 북한의 탄도탄 위협에 맞서기 위해 탄도탄 감시능력이 필요하기도 했고, 시간이 흘러 노후화된 함선도 인천급과 대구급 등 신형함으로 대부분 대체되었기에 현재는 사장된 주장이다.

6. 둘러보기

⚓️ 해상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차
세계대전
파일:미국 해군 함수기.sv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War_Ensign_of_Germany_1903-1918.svg.png
독일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정부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제2차
세계대전
파일:미국 해군 함수기.svg
미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82px-Naval_Ensign_of_Poland_%28normative%29.svg.png
폴란드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0px-Military_Flag_of_Finland.svg.png
핀란드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중화민국
파일:만주군기.svg
만주국
파일:19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네덜란드 선수기.svg
네덜란드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제2세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해군기.svg
동독
파일:Naval_Ensign_of_Poland_(1980-1993,_normative).svg
폴란드
제3세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685050>북미 파일:미국 해군 함수기.sv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
중미/카리브
'''
파일:쿠바 함수기.svg
쿠바
남미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해군기.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해군 표준기.png
콜롬비아
서유럽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Jack_of_the_Netherlands.svg.png
네덜란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Belgium.svg.png
벨기에
중부유럽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폴란드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군함기.pn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선수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해군 선수기.pn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해군기.svg
불가리아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파일:크로아티아 해군기.svg
크로아티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해군기.png
핀란드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동유럽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대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nsign_of_Vietnam_People%27s_Navy.png
베트남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함수기.svg
필리핀
파일:Naval_Ensign_of_Singapore.pn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해군기.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해군기.svg
미얀마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기(신형).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파일:Naval_Ensign_of_Israel.svg.png
이스라엘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파일:아랍에미리트 해군기.png
{{{#!wiki style="margin: -0px -9px"]]
파일:640px-Flag_of_the_Royal_Bahrain_Naval_Force.svg.pn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오세아니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아프리카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이집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경비함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전함 | 잠수함
}}}}}}}}}}}}



[1] Traitement Automatique et VIsualisation TACtique[2] Active Low Frequency Towed Sonar: 능동 저주파 예인 소나[3] Multi Sensor Integrated System: 다센서 통합 시스템[4] 레이더 형상이 고정형 처럼 보이지만 회전형 레이더이다.[5] 3000톤대 초반에 32셀로 동 체급 대비 과무장이다. 일반적으로 3000톤급은 VLS를 8~16셀 탑재하고, 5천톤쯤 돼야 32셀을 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