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7 08:51:46

이스라엘 해군

세계의 해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navy>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 파일:조선인민군해군기New.png 북한 |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 파일:대만 해군 깃발.png 대만 |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준군사조직)
동남아시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0px-Naval_Jack_of_Indonesia.svg.png 인도네시아 | 파일:태국 해군기.svg 태국 | 파일:베트남 인민해군기.svg 베트남 | 파일:1280px-Naval_Ensign_of_Malaysia.png 말레이시아 | 파일:필리핀 해군기.svg 필리핀 | 파일:싱가포르 해군기.svg 싱가포르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기(신형).svg 인도 |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 파일:방글라데시 해군기.svg 방글라데시 |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해군기.svg 이스라엘 | 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사우디아라비아 |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중앙아시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해군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유럽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 파일:영국 해군기.svg 영국 | 파일:이탈리아 해군기.svg 이탈리아 |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 파일:그리스해군기.png 그리스 | 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 파일:네덜란드 선수기.svg 네덜란드 |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 파일:핀란드군기.svg 핀란드 |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 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 파일:폴란드 해군기.svg 폴란드 | 파일:루마니아 해군기.svg 루마니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 파일:리투아니아 함미기.svg 리투아니아 |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 파일:벨기에 해군기.svg 벨기에 | 슬로베니아
아메리카 파일:미국 해군기.png 미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Naval_Jack_of_Argentina.svg.png 아르헨티나 | 파일:페루 국기.svg페루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Naval_Ensign_of_Bolivia.svg.png 볼리비아 |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해군기.svg 이집트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동아프리카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서아프리카 파일:나이지리아 해군기.svg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 파일:faa3.png 앙골라
오세아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 파일:뉴질랜드 해군기.svg 뉴질랜드
※ 독립된 문서가 있는 현존하는 국가의 해군만 링크. 그 외 각국 해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038b8>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올리브 · 다윗의 별 · 이스라엘/국기
역사 역사 전반 · 출애굽 · 12지파 · 이스라엘 왕국 · 유다 왕국 · 바빌론 유수 · 디아스포라 · 홀로코스트 · 중동전쟁
정치 정치 전반 · 이스라엘/행정구역 · 시오니즘 · 리쿠드 · 예쉬 아티드 · 청백동맹 · 야미나 · 이스라엘 노동당 · 이스라엘 베이테이누 · 새로운 희망(정당) · 메레츠 · 연합 아랍 명단 · 샤스 · 유대교 토라 연합 · 종교 시온주의당 · 공동 명단
외교 외교 전반 · JUSCANZ ·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관계 · 영국 방안 · 일국 방안 · 양국 방안 · 삼국 방안
경제 경제 전반 · 이스라엘 신 셰켈
교통 철도 환경 · 이스라엘 철도
사회 사회 전반 · 대입능력 계량시험 ·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 · 테크니온-이스라엘 공과대학교
국방 이스라엘군 · 이스라엘 해군 · 이스라엘 육군 · 이스라엘 공군 · 징병제/이스라엘
치안·사법 이스라엘 경찰
문화 문화 전반(키파) · 유대교 · 요리 · 후무스 · 할라(빵)· 이스라엘/스포츠 · 이스라엘/관광 · 이스라엘 영화 ·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 히브리어
인물 다비드 벤구리온 · 골다 메이어 · 아리엘 샤론 · 이츠하크 라빈 · 베냐민 네타냐후
지리 갈릴래아호 · 사해 · 골란 고원
사회 이스라엘 마피아
민족 이스라엘인(아르메니아계) · 이스라엘 아랍인 · 이스라엘계 미국인 · 러시아계 이스라엘인
기타 이스라엘 무슬림 · 이스라엘/논란 및 사건 사고
}}}}}}}}} ||

파일:이스라엘군 상징.svg파일:투명.png
파일:이스라엘 육군 엠블럼.png 파일:이스라엘 해군 엠블럼.png 파일:이스라엘 공군 엠블럼.svg
[ruby(이스라엘 육군,ruby=זרוע היבשה)] [ruby(이스라엘 해군,ruby=חיל הים)] [ruby(이스라엘 공군,ruby=חיל האוויר הישראלי)]
이스라엘 해군
חיל הים
Israeli Navy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16px; margin-bottom: -16px"파일:이스라엘 해군기.svg 파일:이스라엘 해군 엠블럼.png
<rowcolor=#fff> 군기 엠블럼 }}}
창설년도 1948년 ~ 현재
국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명령체계 이스라엘 국방부
해군본부
주임무 해상전, 영해방위
소속 파일:이스라엘군기.svg 이스라엘군
군종 해군
전력 9,500명 / 예비 10,000명 / 함선 67척
전신 파일: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기.svg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팔마크 팔얌
참전 중동전쟁
지휘
해군사령관 소장 다비드 살라마

1. 개요2. 편제3. 함정
3.1. 수상함3.2. 잠수함
4. 특수부대5.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이스라엘해군이다. 주변 적국의 해군으로부터 이스라엘의 영해인 지중해홍해를 보호하고 해상 천연가스전을 보호하는 주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스라엘군 3군 중 가장 존재감도 없고 규모도 작은 찬밥 신세이지만, 제4차 중동전쟁부터 3군 중 가장 적은 피해로 맡은 바 임무를 완수하며 가장 밥값을 하는 군종이 되었다. 4차 중동전 때는 육공군이 우습게 보던 아랍군에 박살나며 밀리고 있을 때 시리아와 이집트 해군을 단 1척의 함정과 1명의 승조원도 잃지 않고 전멸시켰으며, 2023년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 때도 경계에 실패한 육공군과 다르게 해상으로 침투하던 하마스 세력을 모두 포착, 전멸시켰다. 현 국방장관 요아브 갈란트도 해군 소장 출신이다.

2. 편제

해군 항공대도 없이 해상 작전 회전익기들도 전부 이스라엘 공군 소속으로 두고 있는데, 이는 이스라엘군이 모든 항공기를 공군에 두는 방침에 따른 것이다. AH-64 아파치육군을 지원하는 항공기들도 별도의 육군 항공대를 두지 않고 전부 공군에서 운용한다. 아무래도 국토가 넓은 편이 아닌지라 지휘권을 한 곳에 몰아주는 게 효율적이라 판단한 것이다.

3. 함정

파일:이스라엘 해군기.svg 현대의 이스라엘 해군 함정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colbgcolor=#0038b8> 잠수함 S급R, T급R, 갈급, 돌핀급 Batch-I, 돌핀급 Batch-II, {다카르급}
경비정 네츠급R, 야투시급R, 베르트람급R, 사르 1급R, 다부르급R, 드보라급, 샬다그급
고속정 사르 2급R, 사르 3급R, 사르 4급R, 사르 4.5급
초계함 플라워급R, 사르 5급, 사르 6급
호위함 리버급R
구축함 헌트급R, 에일라트급R
상륙함 LSM-1급R, 키숀급R, 아슈도드급R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3.1. 수상함

이름 만재배수량 척수
Saar 4.5급(Hetz급) 490톤 8척
Saar 5급 1,200톤 3척
Saar 6급 1,900톤 4척
보다시피 3,000톤급~5,000톤급의 호위함, 구축함급의 전투함이 한 척도 없다. 이것은 지리적으로 바다와 접하는 면적이 적은 이스라엘에게 해상에서의 전투에 대비할 필요성이 낮기 때문에 해군력 대부분을 사실상 감시 전력 위주로 운용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적대국가인 시리아, 요르단, 레바논, 팔레스타인 등은 사실상 해군력이 전무한 상태이다. 그러나, 가장 큰 호적수인 이집트 해군이 이스라엘 해군을 압도하고 있어 이를 경계하고 있다.

또한, 영국 해군에게 공여받았던 구축함 '에일라트' 함이 스틱스에 피격되어 격침된 뒤, 대형함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 미사일 고속정 위주로 개편한 뒤 치른 1973년 10월의 제4차 중동전쟁에서 육/공군과 달리 아랍 해군들을 피해없이 제압한 전례가 있었던 것도 소형함을 선호하는 기조[1]에 힘을 실었다.[2] 대신 적 특히 이집트 해군의 대형 수상함대에 대한 견제는 잠수함이스라엘 공군의 전술기들이 맡고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대형에 속하는 MEKO 80 도입을 결정하는 등 대형함 불신론이 조금씩 깨지고 있다. 해안 초계중이던 경비함이 하마스의 공격에 중파되고, 헤즈볼라미사일에 파괴되는 등 피해를 입으며 생각이 바뀌고 있는 듯하다. 여기에 이스라엘이 2010년대 이후 지중해에서 천연가스전을 본격적으로 개발하기 시작하면서, 이를 효과적으로 관할하기 위해서도 수상 전력을 조금 더 대형화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독일의 방위산업체인 티센크루프브라운슈바이크급 초계함을 원형으로, AESA 레이더와 해상형 바락 8 대공미사일등으로 무장한 사르 6급 초계함이 2020년 12월에 정식 취역했다.

3.2. 잠수함

이름 수중배수량 척수
돌핀급 1,900톤 3척
돌핀 2급 2,400톤 2척

파일:60c37cad23393a00188e2a6e.jpg

4. 특수부대

파일:Shayetet 13.jpg
Shayetet 13

5. 출신 인물




[1] 반대로 제4차 중동전쟁에서 미사일 고속정만 믿었다가 개털렸던 이집트 해군은 이후 대형함들을 선호하게 됐다.[2] 대표적 사례로 라타키아 해전에서 소련제 대함 미사일로 무장한 시리아 전투함정들을 한척의 손실도 없이 격침시킨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