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해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navy> 동아시아 | |
동남아시아 | ||
남아시아 | ||
서아시아 | ||
중앙아시아 | ||
유럽 | ||
아메리카 | ||
북아프리카 | ||
동아프리카 | ||
서아프리카 | ||
남아프리카 | ||
오세아니아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현존하는 국가의 해군만 링크. 그 외 각국 해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0038b8>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올리브 · 다윗의 별 · 이스라엘/국기 |
역사 | 역사 전반 · 출애굽 · 12지파 · 이스라엘 왕국 · 유다 왕국 · 바빌론 유수 · 디아스포라 · 홀로코스트 · 중동전쟁 | |
정치 | 정치 전반 · 이스라엘/행정구역 · 시오니즘 · 리쿠드 · 예쉬 아티드 · 청백동맹 · 야미나 · 이스라엘 노동당 · 이스라엘 베이테이누 · 새로운 희망(정당) · 메레츠 · 연합 아랍 명단 · 샤스 · 유대교 토라 연합 · 종교 시온주의당 · 공동 명단 | |
외교 | 외교 전반 · JUSCANZ ·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관계 · 영국 방안 · 일국 방안 · 양국 방안 · 삼국 방안 | |
경제 | 경제 전반 · 이스라엘 신 셰켈 | |
교통 | 철도 환경 · 이스라엘 철도 | |
사회 | 사회 전반 · 대입능력 계량시험 ·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 · 테크니온-이스라엘 공과대학교 | |
국방 | 이스라엘군 · 이스라엘 해군 · 이스라엘 육군 · 이스라엘 공군 · 징병제/이스라엘 | |
치안·사법 | 이스라엘 경찰 | |
문화 | 문화 전반(키파) · 유대교 · 요리 · 후무스 · 할라(빵)· 이스라엘/스포츠 · 이스라엘/관광 · 이스라엘 영화 ·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 히브리어 | |
인물 | 다비드 벤구리온 · 골다 메이어 · 아리엘 샤론 · 이츠하크 라빈 · 베냐민 네타냐후 | |
지리 | 갈릴래아호 · 사해 · 골란 고원 | |
사회 | 이스라엘 마피아 | |
민족 | 이스라엘인(아르메니아계) · 이스라엘 아랍인 · 이스라엘계 미국인 · 러시아계 이스라엘인 | |
기타 | 이스라엘 무슬림 · 이스라엘/논란 및 사건 사고 |
| 파일:이스라엘 해군 엠블럼.png | | |
[ruby(이스라엘 육군,ruby=זרוע היבשה)] | [ruby(이스라엘 해군,ruby=חיל הים)] | [ruby(이스라엘 공군,ruby=חיל האוויר הישראלי)] |
이스라엘 해군 חיל הים Israeli Navy |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16px; margin-bottom: -16px" | 파일:이스라엘 해군 엠블럼.png | |||
<rowcolor=#fff> 군기 | 엠블럼 | }}} | ||
창설년도 | 1948년 ~ 현재 | |||
국가 | ||||
명령체계 | 이스라엘 국방부 해군본부 | |||
주임무 | 해상전, 영해방위 | |||
소속 | ||||
군종 | 해군 | |||
전력 | 9,500명 / 예비 10,000명 / 함선 67척 | |||
전신 | ||||
참전 | 중동전쟁 | |||
지휘 | ||||
해군사령관 | 소장 다비드 살라마 |
[clearfix]
1. 개요
이스라엘의 해군이다. 주변 적국의 해군으로부터 이스라엘의 영해인 지중해와 홍해를 보호하고 해상 천연가스전을 보호하는 주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이스라엘군 3군 중 가장 존재감도 없고 규모도 작은 찬밥 신세이지만, 제4차 중동전쟁부터 3군 중 가장 적은 피해로 맡은 바 임무를 완수하며 가장 밥값을 하는 군종이 되었다. 4차 중동전 때는 육공군이 우습게 보던 아랍군에 박살나며 밀리고 있을 때 시리아와 이집트 해군을 단 1척의 함정과 1명의 승조원도 잃지 않고 전멸시켰으며, 2023년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 때도 경계에 실패한 육공군과 다르게 해상으로 침투하던 하마스 세력을 모두 포착, 전멸시켰다. 전임 국방장관 요아브 갈란트도 해군 소장 출신이다.
2. 편제
해군 항공대도 없이 해상 작전 회전익기들도 전부 이스라엘 공군 소속으로 두고 있는데, 이는 이스라엘군이 모든 항공기를 공군에 두는 방침에 따른 것이다. AH-64 아파치 등 육군을 지원하는 항공기들도 별도의 육군 항공대를 두지 않고 전부 공군에서 운용한다. 아무래도 국토가 넓은 편이 아닌지라 지휘권을 한 곳에 몰아주는 게 효율적이라 판단한 것이다.3. 함정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colbgcolor=#0038b8> 잠수함 | S급, T급, 갈급, 돌핀급 Batch-I, 돌핀급 Batch-II, {다카르급} | ||
경비정 | 네츠급, 야투시급, 베르트람급, 사르 1급, 다부르급, 드보라급, 샬다그급 | |||
고속정 | 사르 2급, 사르 3급, 사르 4급, 사르 4.5급 | |||
초계함 | 플라워급, 사르 5급, 사르 6급 | |||
호위함 | 리버급 | |||
구축함 | 헌트급, 에일라트급 | |||
상륙함 | LSM-1급, 키숀급, 아슈도드급 | |||
※ 황색 글자: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3.1. 수상함
이름 | 만재배수량 | 척수 |
Saar 4.5급(Hetz급) | 490톤 | 8척 |
Saar 5급 | 1,200톤 | 3척 |
Saar 6급 | 1,900톤 | 4척 |
또한, 영국 해군에게 공여받았던 구축함 '에일라트' 함이 스틱스에 피격되어 격침된 뒤, 대형함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 미사일 고속정 위주로 개편한 뒤 치른 1973년 10월의 제4차 중동전쟁에서 육/공군과 달리 아랍 해군들을 피해없이 제압한 전례가 있었던 것도 소형함을 선호하는 기조[1]에 힘을 실었다.[2] 대신 적 특히 이집트 해군의 대형 수상함대에 대한 견제는 잠수함과 이스라엘 공군의 전술기들이 맡고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대형에 속하는 MEKO 80 도입을 결정하는 등 대형함 불신론이 조금씩 깨지고 있다. 해안 초계중이던 경비함이 하마스의 공격에 중파되고, 헤즈볼라의 미사일에 파괴되는 등 피해를 입으며 생각이 바뀌고 있는 듯하다. 여기에 이스라엘이 2010년대 이후 지중해에서 천연가스전을 본격적으로 개발하기 시작하면서, 이를 효과적으로 관할하기 위해서도 수상 전력을 조금 더 대형화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독일의 방위산업체인 티센크루프와 브라운슈바이크급 초계함을 원형으로, AESA 레이더와 해상형 바락 8 대공미사일등으로 무장한 사르 6급 초계함이 2020년 12월에 정식 취역했다.
3.2. 잠수함
이름 | 수중배수량 | 척수 |
돌핀급 | 1,900톤 | 3척 |
돌핀 2급 | 2,400톤 | 2척 |
4. 특수부대
|
Shayetet 13 |
5. 출신 인물
- 요시 베나윤 - 해군 체육 지도자로 대체복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