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해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navy> 동아시아 | |
동남아시아 | ||
남아시아 | ||
서아시아 | ||
중앙아시아 | ||
유럽 | ||
아메리카 | ||
북아프리카 | ||
동아프리카 | ||
서아프리카 | ||
남아프리카 | ||
오세아니아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현존하는 국가의 해군만 링크. 그 외 각국 해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f00><colbgcolor=#da251d> 상징 | 국가 · 금성홍기 · |
역사 | 역사 전반 · 응오 왕조 · 리 왕조 · 쩐 왕조 · 후 레 왕조 · 떠이선 왕조 · 응우옌 왕조 · 남베트남 | |
정치 | 정치 전반 · 베트남 공산당 · | |
외교 | 외교 전반 · ASEAN · TPP · IPEF · 남중국해 분쟁 | |
경제 | 경제 전반 · 도이머이 · ASEAN-5 · 넥스트 일레븐 | |
교통 | 철도 환경 | |
국방 | 베트남 인민군 · | |
문화 | 관광 정보 · 베트남 요리(퍼, 고이꾸온) · 베트남 영화 · 베트남어 · 쯔꾸옥응으 · 단 보우 · 떠릉 · 단 짜인 · 한자(쯔놈, 베트남식 한자어) · 베트남 만화 | |
인물 | 호찌민 · 응오딘지엠 · 쩐흥다오 | |
지리 | 인도차이나 반도 · 통킹 만 | |
사법·치안 | 베트남 공안부 | |
사회 | 베트남 마피아 | |
민족 | 베트남인 · 베트남계 미국인 · 베트남계 프랑스인 · 재러 베트남인 |
베트남 인민군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 | ||
| | 파일:베트남 인민공군기.svg |
베트남 인민육군 | 베트남 인민해군 | 베트남 인민공군 |
베트남 인민해군 Quân chủng Hải quân Vietnam People's Navy | ||
| | |
<rowcolor=#ffff00><colbgcolor=#ee1c25><colcolor=#ffff00> 베트남 인민군 해군기[1] | 베트남 인민해군 휘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다른 상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함수기 | ||
| ||
로고 | }}}}}}}}} | |
소속 | 베트남 인민군 | |
상비군 | 약 4만 명 (2022년) | |
해군력 | ||
잠수함 | 9척 | |
호위함 | 9척 | |
초계함 | 16척 | |
원해경비함[2] | 35척 | |
상륙함 | 10척 | |
기뢰함 | 8척 | |
소해함 | 8척 | |
수상함 구조함 | 1척 | |
잠수함 구조함 | 1척 |
[clearfix]
1. 개요
베트남 인민군의 해군. 베트남어 명칭(약칭)으로 'Quân chủng Hải quân', 영어 명칭으로 'Vietnam People's Navy'를 사용하고 있다. 베트남어 명칭(약칭)에는 '국가명'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오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약칭에 '베트남 인민군'을 붙여서 Quân chủng Hải quân,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베트남 인민군 해군)을 정식 명칭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공산권 군대에서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는 경향이 강한데, 조선인민군 해군과 비교하면 이해하기 쉽다.
2. 상세
베트남 인민해군은 베트남 인민군 병력의 8% 가량을 차지한다. 베트남 인민해군의 주요 병과로 함정, 항공, 공병, 해병, 포병(해안포 및 지대함 미사일 운용) 등이 있다. 베트남은 중국과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으로 해군력 증강에 나서고 있다.3. 지휘관
2025년 기준, 베트남 인민해군 지휘관은 다음과 같다.- 사령관 : Trần Thanh Nghiêm
- 정치위원 : Nguyễn Văn Bổng
- 참모총장 : Nguyễn Văn Bách
4. 편제
베트남 인민해군은 5개 해구(naval district)를 갖추고 있고, 5개 전단으로 편제되어 있다. 베트남 인민군 해구는 제1해구(하이퐁시), 제2해구(붕따우), 제3해구(다낭시)[3], 제4해구(냐짱)[4], 제5해구(푸꾸옥)로 구성되어 있다. 5개 해구 가운데, 중국 하이난 섬과 인접하고 통킹만을 관할하는 제1해구와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겪고 있는 스프래틀리 군도가 포함된 제4해구가 가장 중요시 되고 있다.- 베트남 인민군 국방부 산하
- 제189잠수함여단
- 제954항공여단
- 제83공병여단
- 제131공병여단
- 제126해군특수부대여단
- 제196잠수함특공대대
- 제1해구
- 제170군함여단
- 제169수송여단
- 제679해안포·미사일여단
- 제147해병여단
- 제151레이더대대
- 제158대대
- 제703대대
- 제2해구
- 제171군함여단
- 제125수송여단
- 제167해안포·미사일여단
- 제681해안포·미사일여단
- 제251레이더대대
- 제2어업감시대대
- 제3해구
- 제172군함여단
- 제161군함여단
- 제680해안포·미사일여단
- 제353방공대대
- 제351레이더대대
- 제3어업감시대대
- 제4해구
- 제136쯔엉사방어여단
- 제162군함여단
- 제955군함여단
- 제682해안포·미사일여단
- 제685해안포·미사일여단
- 제957방공여단
- 제101해병여단
- 제872방공대대
- 제455통신대대
- 제451레이더대대
- 제458경비대대
- 제1공병대대
- 제4어업감시대대
- 제5해구
- 제127군함여단
- 제175군함여단
- 제553방공대대
- 제551레이더대대
- 제565보병대대
- 제563해병대대
- 제556공병대대
5. 보유장비
베트남 인민군 장비 목록(베트남어판)5.1. 잠수함
- 킬로급 잠수함 6척 : 베트남은 2009년 러시아와 26억 달러 규모의 킬로급 잠수함(636형) 6척 구매 계약을 체결하였다. 2014년 1월 첫 인도를 시작으로 2017년 3월 마지막 인도를 받고 킬로급 잠수함 6척 도입 사업을 순조롭게 완료하였다.
5.2. 호위함
'Trần Hưng Đạo'(Tàu-15) 게파르트급 호위함 | 'Quang Trung'(Tàu-16) 게파르트급 호위함 |
5.3. 초계함
- 포항급 초계함 2척 : 2017년 5월 28일 포항급 김천함, 2018년 10월 8일 포항급 여수함이 베트남 인민해군에 무상 양여되었다. 김천함은 Tàu-18, 여수함은 Tàu-20이라는 함명을 받고 제2해구[5]에 배치되었다.
- 쿠크리급 초계함 1척 : 2023년 6월, 인도 해군은 퇴역한 'Kirpan(키르판)' 초계함을 베트남 인민해군에 무상 공여하였다.
5.4. 원해경비함
- TT-400TP급 고속정 6척
- 몰니야급 초계함 8척 : 2009년 베트남은 러시아와 타란툴급 초계함의 현지 라이센스 생산 계약을 맺고 총 8척을 건조했다. 2014년에 첫 인도가 이뤄졌고, 2017년에 마지막 인도가 완료되었다.
- 타란툴급 초계함 4척
- BPS-500급 초계함 1척
- 스베틀야크급 고속정 6척
- 오사급 고속정 8척
5.5. 상륙함
5.6. 기뢰함
5.7. 소해함
- 유르카급 소해함 2척
- 소냐급 소해함 4척
- 예브게니야급 소해함 2척
5.8. 수상함 구조함
- HSV-6613급 수상함 구조함[7] 1척
5.9. 잠수함 구조함
- RGS-9316급 잠수함 구조함[8] 1척
5.10. 해안포
5.11. 지대함 미사일
6. 기타
- 2011년 베트남은 네덜란드로부터 시그마급 초계함을 도입하기 위해 협상을 벌였지만, 공산권 국가에 대한 금수조치로 불발되었다. 만약 계약이 성사되어 베트남이 시그마급 초계함을 도입했다면, 베트남 인민해군은 최초로 서방 세계 전투함을 도입하는 것이었고, 최초로 수직발사장치(VLS)가 장착된 군함을 운용하는 것이었다. 당초 계약 내용으로, 시그마급 초계함의 척당 가격은 2,500~2,800억으로 알려졌으며, 첫 2척은 네덜란드 블리싱겐(Vlissingen)에서 건조하고 나머지 2척은 베트남 현지에서 건조하는 것으로 알려졌었다.
- 2017년 12월, 미국 해안경비대는 퇴역한 해밀턴급 경비함 1척을 베트남 해안경비대에 무상 공여하였다. 이 함선은 1969년 말 건조돼 1970년 미 해군에 실전 배치된 후 베트남 전쟁에서도 활약한 전적이 있다.[9] 해밀턴급 경비함은 만재배수량이 3,250톤으로 베트남 인민군이 보유한 전투함 중 가장 큰 함선이 되었다.#
7. 관련 문서
- 편제
8.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베트남 인민군| 베트남 인민군 (1944~현재) ]]'''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 | |||
<colbgcolor=#DA251D><colcolor=#FFFF00> 개 인 화 기 | <colcolor=#FFFF00><colbgcolor=#DA251D> '''[[소총| 소총 ]]''' | <colcolor=#FFFF00><colbgcolor=#DA251D> '''[[돌격소총| 돌격소총 ]]''' | STV | 갈릴 ACE (31/32) | AKM | AKMS | 56식 | 56-1식 | AK-47 | AKS-47 | M16A1 | |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 SVD | |||
산탄총 | 레밍턴 M870 | |||
권총 | SN19 | 제리코 941 | K59 | 59식 | CZ82 | K54 | K14-VN | SN7(M/N/TD) | |||
지 원 화 기 | '''[[기관총| 기관총 ]]''' | '''[[경기관총| 경기관총 ]]''' | 네게브 | RPK | RPD | |
'''[[다목적 기관총| 다목적 기관총 ]]''' | 네게브 7.62 | PKM | |||
'''[[중기관총| 중기관총 ]]''' | NSV | KPV | |||
유탄발사기 | SPL40 | T-40 | IWI GL 40 | M79 | AGS-17 | AGS-30 | |||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 '''[[무반동총| 무반동포 ]]''' | RPO-A | SPG-9-T2 | B-10 | ||
로켓 | RPG-30 | RPG-29 | RPG-7V | M72 LAW | MATADOR | |||
미사일 | 참고: 틀:현대전/베트남 유도무기 | |||
맨패즈 | ||||
박격포 | STA-50 | 82-PM-41 | M1938 | PM-43 | |||
'''[[특수부대| 특 ]]''' 수 전 화 기 | '''[[소총| 소총 ]]''' | '''[[돌격소총| 돌격소총 ]]''' | TAR-21 | STL-M24 | 타라 TM4 | FNC | M18 | |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 PSR-90 | 갈라츠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KSVK | OSV-96 | WKW 빌크 | T-5000 | CZ 750 S1M2 | |||
''' 특수소총 ''' | APS | |||
기관단총 | SN9P | 우지 프로 | TL-K12 | CZ 스콜피온 EVO 3 | P90 | MP5 | PM-63 | |||
산탄총 | 암셀 스트라이커 | |||
권총 | CZ P-07 듀티 | 글록 19 · 34 | |||
기관총 | 미니미 Mk.3 | M240B | M60 | |||
유탄발사기 | MGL-VN1 | |||
'''[[폭발물| 폭 ]]''' 발 물 | '''[[수류탄| 수류탄 ]]''' | 살상탄 | F1 | |
지뢰 | ''' 대인 ''' | MBV-78A1 | ||
''' 대전차 ''' | TM-46 | TM-57 | |||
의장용 화기 | SKS | |||
※ 윗첨자S: 비축 화기 | ||||
※둘러보기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베트남 인민군 (1944~현재)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 | ||||
기타전차 | <colbgcolor=#fefefe,#393b42>T-34-85CZ, T-34-85M, T-34-85M1 | ||||
MBT | 1세대 | 59식 전차, T-54, T-55(MV/M3), M48A3C/R | |||
2세대 | T-62, T-72M1 | ||||
3세대 | T-90(S/SK) | ||||
경전차 | M24 채피C/R, PT-76, 62식 전차, 63식 전차, M41 워커 불독C/R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M8 그레이하운드C/R, BTR-152, BTR-60, BTR-70, BTR-80, BRDM-1, BRDM-2, V-150C/R | |||
궤도장갑차 | M113C, 63식 장갑차, BMP-1, BMP-2, BTR-50(P/PK) | ||||
차량 | 소형 | UAZ-469, UAZ-452, M151C, 둥펑 EQ-2050 | |||
트럭 | ZiL-130 · 157 · 485, KrAZ-214B · 255B, KamAZ-43253, M35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2S1, 2S3 아카치야, M110C/R, M107C/R | |||
대전차 자주포 | SU-76MR, SU-100, ASU-85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Phòng không SU-76MR, Phòng không T-34R, ZSU-57-2, ZSU-23-4 쉴카 | |||
다연장로켓 | BM-14, BM-21, BM-24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베트남 인민해군 (1955~현재) Hải Quân nhân dân Việt Nam | ||
<colbgcolor=#DA251D> '''[[잠수함| 잠수함 ]]''' | <colbgcolor=#DA251D> '''[[잠수정| SSM ]]''' | 유고급 | |
'''[[재래식 잠수함| SSK ]]''' | 프로옉트 636.1 하노이급 | ||
어뢰정 (PT) | 프로옉트 206M HQ-331급 | 프로옉트 206 셰르셴급 | 프로옉트 183 T-333급 | ||
'''[[고속정| 고속정 ]]''' | PG | 프로옉트 10412 HQ-261급 | TT-400TP급 | 샨터우급 | |
'''[[미사일 고속정| 미사일 고속정 (FACG) ]]''' | BPS-500 | 프로옉트 205U HQ-354급 | 프로옉트 183R 코마르급 | ||
'''[[초계함| 초계함 ]]''' | ''' PCE ''' | HQ-01 팜 응우 라오C | |
''' PCG ''' | {쿠크리급}D | HQ-18급D | 프로옉트 1241.8 HQ-375급 | 프로옉트 1241.RE HQ-371급 | ||
호위구축함(DE) | HQ-03 다이 끼C | ||
'''[[호위함| 호위함 ]]''' | FF | 프로옉트 159(A/AE) HQ-09급 | |
''' FFG ''' | 프로옉트 11661E 딘 티엔 황급 | ||
'''[[상륙함| 상륙함 ]]''' | '''[[전차상륙함| LST ]]''' | 쩐 칸 두급C | 프로옉트 771 HQ-511급 | |
'''[[상륙정| 상륙정 ]]''' | ''' LCH ''' | HQ-526급 | |
''' LCU ''' | HQ-551급C | ||
''' LCM ''' | LCM-8급C | ||
'''[[소해함| 소해함 ]]''' | ''' MSC ''' | 프로옉트 1265 HQ-861급 | 프로옉트 266 HQ-851급 | |
''' MSI ''' | 프로옉트 1258E HQ-861급 | ||
''' 지원함 ''' | ''' 수송함 (AP) ''' | HQ-996급 | 쯔엉사급 | 훙 브엉급 | |
''' 정찰함 (AGOS) ''' | 쩐 다이 응히아 | ||
'''[[구조함| 잠수함 구조함 (ASR) ]]''' | 옛 키에우 | HQ-924 | ||
''' 병원선 (AH) ''' | K-122급 | ||
지원정 | 예인정 YT | ||
훈련함 | 레 꾸이 돈 | ||
※ 황색 글자: 퇴역 함정 ※ 윗첨자C: 나포/노획 함정 ※ 윗첨자D: 공여받은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
※둘러보기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0px;" | '''[[베트남 인민군| 베트남 인민군 (1944~현재) ]]'''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 | ||
회전익기 | '''[[무장헬기| 경헬기 ]]''' | <colbgcolor=#fefefe,#393b42>AS350 B3 에큐워이 | Mi-1 | |
''' 다목적 헬기 ''' | Ka-32S | Mi-17(-1V) | Mi-8(P/T) | AS332 L2 슈퍼 퓨마 | SA.330J 퓨마 | EC225LP 슈퍼 퓨마 Mk.2+■ | AS365 N2 도팽■ | UH-1H 휴이C | Mi-4 | ||
수송헬기 | CH-47A 치누크C | Mi-6 | ||
공격헬기 | Mi-24A | ||
대잠헬기 | Ka-28■ | Ka-25BSh■ | ||
'''[[전투기| 전투기 ]]''' | 프롭 | Ki-43 하야부사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MiG-17(A/F/PF) · 선양 F-5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MiG-19S | 선양 F-6 | MiG-21(F-13/PFM/PFL) | F-5C 스코시 타이거C | F-5(A/B) 프리덤 파이터C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MiG-21(MF/bis) | F-5(E/F) 타이거 IIC | ||
4(.5)세대 | Su-27(SK/UBK) | Su-30MK2V | ||
공격기 | Su-22(M3/M4) | A-37(A/B) 드래곤플라이C | A-1 스카이레이더C | ||
폭격기 | Il-28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An-30 | RF-5AC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C-295M | An-26 | NC-212i | An-24 | Il-14 | C-123K 프로바이더C | An-2TD | DHC-4 카리부C | C-47 스카이트레인C | Li-2 | |
''' 전술 ''' | Il-18 | C-130(B/E) 허큘리스C | C-119K 플라잉 박스카C | ||
수상기 | VNS-41 | Be-12 | ||
다목적기 | O-1A 버드 도그C | O-2A 스카이마스터C | U-17(A/B) 스카이왜건C | DHC-2 오터C | Ae-45 | ||
''' 지원기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DHC-6 트윈 오터■ | PZL M28B-1R 브리자 | |
'''[[무인기|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극소형 VT-스위프트■ | 시크라■클래스 1 - 초소형 ADS 오비터 2■ |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VUA-SC-3G■ | VT-피전■ | |
''' UAV ''' | 클래스 3 - MALE급 IAI 헤론■ |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T-6C 텍산 II | Yak-52 | T-28A 트로젼C | Z 226MS 트레너 | T-41D 메스칼레로C | | |
제트 | L-39NG | Yak-130 | L-39C 알바트로스 | Su-22UM3K | L-29 델핀 | MiG-21(US/UM) | T-37 트윗C | MiG-15UTI | ||
VIP 탑승기 | Mi-172 | Yak-40K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C: 노획 기종 ※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베트남 인민군 (1945~현재)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 | ||
<colbgcolor=#DA251D><colcolor=#FFFF00> | <colbgcolor=#DA251D><colcolor=#FFFF00> | 9K113 콘쿠르스 | 9K111 파곳 | 9K11 말륫카 | |
포발사 | 9K120 스비리 | ||
공대지 | 고정익기 Kh-29(T/TE) | ||
공대지 (ALCM) | Kh-59 | ||
스커드-(C/D) | |||
함대함 | Kh-35 우란 | P-21 테르밋 | ||
잠대함 | 3M-54E1 클럽-S | ||
공대함 | Kh-31A | ||
지대함 | P-800 오닉스 (바스티온-P) | P-35 퍄툐르카 (4K22 레두트) | P-21 테르밋 (4K51 루베즈) | ||
어뢰 | 경어뢰 | APR-2 오를란-M | |
중어뢰 | TEST-96 | TEST-71ME | ||
9K338 이글라-S | 9K38 이글라 | 9K32 스트렐라-2 | |||
단거리 | 9K35M 스트렐라-10M | ||
중거리 | SPYDER-SR | S-125 네바/페초라 | ||
장거리 | S-300PMU | S-75R | ||
''' CIWS ''' | 9M337 (팔마) | ||
단거리 | R-73(M1) | R-60 | R-13M · R-3S | ||
''' 중장거리 ''' | R-77 | R-27(ER1/R1) | ||
유도폭탄 | KAB-500Kr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대표 발사 플랫폼 | |||
※둘러보기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