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근접 방어 무기 체계(CIWS)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개발 국가 | 기관포 | 대공 유도탄 |
<colbgcolor=#c3d2ea,#15243c> 팰렁스 | <colbgcolor=#c3d2ea,#15243c> | ||
SGE-30 골키퍼 | |||
하이첸-1 | |||
노봉 | CIWS-II | 해궁 | ||
RIM-116 RAM | |||
RAPIDFire | VL-MICA | 사드랄 | 크로탈 | ||
CAMM | 시울프 | 시캣 | |||
메로카 | |||
밀레니엄 | 시 제니스 | |||
DARDO | 오토멜라라 76mm 함포 | |||
바락 1 | |||
괴크데니즈 | |||
데넬 35mm 양용포 | 움콘토-IR | ||
<colbgcolor=#954f4f> | AK-230 | AK-630 | AK-630M1-2 | 카쉬탄 | 팔마/팔라시 | 판치르-ME | 3K95 킨잘 | 4K33 오사-M | 9K32 스트렐라-2 | |
H/PJ-12 730식 CIWS | H/PJ-11 1130식 CIWS | HHQ-10 | FL-3000N | HHQ-7 | HQ-61 | }}}}}}}}} |
인민해군 소속 타란툴급 초계함 P6166 히덴제에 탑재된 AK-630M |
[clearfix]
1. 개요
AK-630은 러시아 해군의 구형 CIWS이다. 이 CIWS라는 무기체계의 초기형이라고 할 수 있다. 거의 모든 러시아 구형함에 장비된 대공방어 체계다. 카쉬탄의 등장하기 이전에는 러시아군의 주력 CIWS였다. 카쉬탄이나 팔마/팔라시가 개발된 이유도 서방권의 자동화된 CIWS가 AK-630의 성능을 압도하면서다. 서방권의 팰렁스, SGE-30 골키퍼 등 새로 등장한 서방권의 CIWS는 독립적인 레이더에 의하여 독자적으로 화력관제가 된다. 이에 비해 AK-630은 전투함에 MR-123레이더[1]를 설치해 연동하는 방식으로 레이더 하나가 최대 2개를 제어해 성능이 떨어진다. 레이더를 사용하지않고 광학식 사격도 가능하며 그것도 안되면 별도의 병력이 외부에서 수동 조작을 해야 된다.
의외로 한국도 이 무기의 운용국 중에 하나였다, 그 이유는 무레나급 공기부양정을 러시아에서 도입할 때 이놈을 떼버리지 않고 그대로 들여왔기 때문이다. 지금은 제거하고 시벌컨을 대신 장착했다.
북한 해군은 예산이 부족하고 수입선이 없는 관계로 AK-630을 도입하진 못했고 대신에 AK-230의 포탑에 30mm개틀링포를 탑재한듯한 변종을 사용중이다.
어떤 때는 해적이나 소형 함선도 상대한다.영상 참고.
2. 제원
나토명 | ADMG-630 | |
개발 시기 | 1963년 | |
배치 시기 | 1969년 | |
총열수 | 6열 개틀링 | |
구경장 | 65구경 1950mm) | |
포구초속 | 880~900 m/s | |
탄약 | 30x165mm | |
회전각도 | 360°(좌우로 180°) | |
포탑 회전속도 | 70º/s | |
포탑 부앙속도 | 50º/s | |
발사속도 | 4,000~5,000발/분 | |
중량 | 3718 kg | |
사정거리 | 레이더, 전기광학 관제 | 4,000m |
유효 사거리 | 3,000m | |
최소 사거리 | 400m | |
탄휴대량 | 2,000발 (예비 1,000발) | |
조작 병력 | 1명 (비상시 외부에서 조작) |
3. 형식
- AK-630M : 기존 AK-630의 문제점을 개선한 개량형으로 1973년부터 운용
- AK-306 : 소형함용으로 개발된 버전으로 원판이 수랭식인것과 달리 공랭식이며 전기식으로 작동된다.
4. 실전
소말리아 해적 퇴치에 쓰이는 경우가 있다.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순양함 슬라바급 순양함 모스크바에 달려있었으나 장착부의 피격으로 인한 화재로 폭발이 일어나면서 함이 격침당했다.
5. AK-630을 장착한 해상 병기
국가 | 이름 | 종류 | 만재 배수량 | 장착 수량 |
러시아 | 무레나급 | 공기부양정 | 149톤 | 2 |
주브르급 | 공기부양정 | 555톤 | 2 | |
나누추카급 III/IV | 초계함 | 660톤 | 1 | |
파르킴급 | 초계함 | 950톤 | 1 | |
타란툴급-1 | 초계함 | 540톤 | 2 | |
파우크급 | 초계함 | 580톤 | 1 | |
보라급 | 초계함 | 1,050톤 | 2 | |
부얀급 | 초계함 | 550톤 | 2 | |
카라쿠르트급[2] | 초계함 | 870톤 | 2 | |
게파르트급 | 초계함 | 1,930톤 | 2 | |
스테레구시급 | 초계함 | 1,800톤 | 2 | |
크리박급 | 호위함 | 3,575톤 | 2 | |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 호위함 | 4,000톤 | 2 | |
우달로이급 I | 구축함 | 7,900톤 | 4 | |
소브레멘니급 | 구축함 | 7,940톤 | 4 | |
카라급 | 순양함 | 9,700톤 | 4 | |
슬라바급 | 순양함 | 11,490톤 | 6 | |
키로프급[3] | 원자력 순양함 | 28,000톤 | 8 | |
이반 로고프급 | 상륙함 | 14,060톤 | 4 | |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 중항공순양함 | 67,500톤 | 8 | |
중국 | 022형 | 미사일 고속정 | 224톤 | 1 |
인도 | 비르급 | 초계함 | 455톤 | 2 |
아브하이급 | 초계함 | 440톤 | 2 | |
코라급 | 초계함 | 1,320톤 | 2 | |
쿠크리급 | 초계함 | 1,291톤 | 2 | |
카모르타급 | 초계함 | 3,300톤 | 2 | |
고다바리급 | 호위함 | 3,850톤 | 4 | |
브라마푸트라급 | 호위함 | 3,850톤 | 4 | |
탈와르급 | 호위함 | 4,035톤 | 2 | |
쉬발릭급 | 호위함 | 6,800톤 | 2 | |
닐기리급 | 호위함 | 6,670톤 | 2 | |
델리급 | 구축함 | 6,700톤 | 4 | |
콜카타급 | 구축함 | 7,400톤 | 4 | |
비샤카파트남급 | 구축함 | 8,200톤 | 4 | |
디팍급 | 군수지원함 | 27,500톤 | 4 | |
비크라마디티야 | 항공모함 | 45,500톤 | 4 | |
비크란트급 | 항공모함 | 41,000톤 | 4 | |
폴란드 | 오르칸급 | 고속정 | 369톤 | 1 |
루마니아 | 콘트라아미랄 유스타슈 세바스찬급 | 초계함 | 1,620톤 | 2 |
머러셰슈티급 | 호위함 | 5,790톤 | 4 | |
알제리 | 제벨 체노우아급 | 초계함 | 550톤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