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22:02:07

Texinfo

<colcolor=#fff><bgcolor=#a32d2a> GNU Texinfo
파일:GNU head.svg
<colbgcolor=#a32d2a> 종류 마크업 언어
최초 개발자 리처드 스톨먼
개발 GNU
출시 1986년 2월
언어 C, Pearl
플랫폼 GNU/Linux, BSD
안정 버전 v7.2(2024년 12월 23일)
라이선스 GPLv3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Git
1. 개요2. 역사3. 지원 출력4. 구조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GNU에서 제작된 프로그램의 매뉴얼과 문서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식 문서 형식 및 마크업 언어.

2. 역사

리처드 스톨먼은 더글러스 엥겔바트(Douglas Engelbart)가 개발한 NLS라는 하이퍼텍스트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을 보고 깊은 인상을 받아 몇년후 1975년 Emacs에 자신이 개발한 Info라는 하이퍼텍스트 매뉴얼 시스템을 탑재하게 된다.

이와 별개로, 1970년대 카네기 멜런 대학교 재학생이던 브라이언 리드(Brian Reid)는 Scribe라는 유명한 출판용 문서 포맷을 개발하게 되는데, 이후 Texinfo의 개발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스타일 명령어부터 당시로는 획기적인 조판(typeset)이 아닌 문서 구성에 중점을 둔 마크업 언어였다는 점 등, Texinfo의 핵심 특징이 대부분 Scribe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편, 당시 리처드 스톨먼이 재직하고 있던 MIT는 Bolio라는 인쇄물 출력 형식을 자체적으로 개발하게 된다. 이때 스톨먼은 Bolio 입력을 TeX으로 변환하는 BoTeX이라는 프로세서를 개발하는 일을 작업을 진행해 1984년 10월 31일 최초 버전을 출시하게 된다. 이때 당시의 BoTeX은 결국 TeX으로 변환되었으므로 문서 출력용으로밖에 쓸 수 없었고, 자신이 개발한 Info등 더 더양한 포맷을 지원하기를 원했던 스톨먼은 결국 1986년 2월 Texinfo를 개발하게 된다.

초기 버전은 makeinfo 기능밖에 없었고, 무엇보다 elisp로 작성되었기에 1990년대 초반에 브라이언 폭스(Brian Fox)가 이를 다시 C로 재작성하게 된다.

이후 2012년대 이후 들어서 makeinfotexi2html은 더 발전된 Perl 구현체인 texi2any로 대체되고 있다.

3. 지원 출력

4. 구조

전반적인 내용이 헤더와 섹션, 레퍼런스 등으로 일반적으로 서적이나 출판물에서 흔히 쓰이는 의미 단위로 구분되므로 LaTeX에 익숙하다면 쉽게 익힐 수 있다.

명령어는 @<명령어 이름> 내용 식으로 작성하며, 여러 줄이 들어가는 블록의 경우 @end로 닫기도 한다. 예를 들어, 주석은 다음과 같이 @c 명령어를 사용한다.
@c 이 줄은 주석입니다.

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