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15:00:44

The Basement Tapes


파일:밥 딜런 서명 화이트.pn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fffff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Bob Dylan.jpg
파일:the freewheelin bob dylan-1963.jpg
파일:tttac-1964.jpg
파일:Another Side of Bob Dylan.jpg
파일:71Dhi4I0AdL._SL1500_.jpg
Bob Dylan

1962

1963

1964
Another Side of Bob Dylan

1964

1965
파일:external/assets.rollingstone.com/1035x1035-dylan65.jpg
파일:81oXh1sQasL._SL1500_.jpg
파일:john wesley harding-1967.jpg
파일:nashville skyline-1969.jpg
파일:Self Portrait.jpg

1965

1966

1967

1969
Self Portrait

1970
파일:new morning-1970.jpg
파일:Pat Garrett & Billy the Kid.jpg
파일:Dylan (1973 album).jpg
파일:Planet Waves.jpg
파일:blood on the tracks-1975.jpg

1970
Pat Garrett & Billy the Kid

1973
Dylan

1973
Planet Waves

1974

1975
파일:The Basement Tapes.jpg
파일:desire.jpg
파일:Street-Legal.jpg
파일:Slow Train Coming.jpg
파일:Saved.jpg

1975

1976
Street-Legal

1978
Slow Train Coming

1979
Saved

1980
파일:Shot of Love.jpg
파일:Infidels.jpg
파일:Empire Burlesque.jpg
파일:Knocked Out Loaded.jpg
파일:Bob_Dylan_-_Down_in_the_Groove.jpg
Shot of Love

1981
Infidels

1983
Empire Burlesque

1985
Knocked Out Loaded

1986
Down in the Grove

1988
파일:Oh Mercy.jpg
파일:Under the Red Sky.jpg
파일:Good as I Been to You.jpg
파일:World Gone Wrong.jpg
파일:time out of mind.jpg
Oh Mercy

1989
Under the Red Sky

1990
Good as I Been to You

1992
World Gone Wrong

1993

1997
파일:Love and Theft.jpg
파일:Modern Times (2006 album).jpg
파일:Together Through Life.jpg
파일:Christmas in the Heart.jpg
파일:Tempest.jpg
Love and Theft

2001
Modern Times

2006
Together Through Life

2009
Christmas in the Heart

2009
Tempest

2012
파일:Shadows in the Night.jpg
파일:Fallen Angels.jpg
파일:Triplicate.jpg
파일:Rough and Rowdy Ways.jpg
파일:Shadow_Kingdom_album_cover (1).jpg
Shadows in the Night

2015
Fallen Angels

2016
Triplicate

2017
Rough and Rowdy Ways

2020
Shadow Kingdom

2023
}}}}}}}}}}}}
{{{#!folding [ The Bootleg Series ]
{{{#!folding [ 관련 문서 ]
||
밥 딜런의 역대 스튜디오 음반
1975년 1월 20일
15집 Blood on the Tracks
1975년 6월 26일
16집 The Basement Tapes
1976년 1월 5일
17집 Desire
수상 내역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000><colcolor=#DAA520> 파일:Grammy.svg
그래미 명예의 전당 헌액작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 작품명 <colcolor=#373a3c,#ddd>
종류
아티스트
헌액 연도 2016년 }}}}}}}}}'''




<colbgcolor=#A17343><colcolor=#120F06> The Basement Tapes
파일:The Basement Tapes.jpg
발매 1975년 6월 26일
녹음 밥 딜런 · 더 밴드 협업: 1967년 6월 ~ 1967년 9월
더 밴드: 1967년 ~ 1968년
오버더빙: 1975년
장르 루츠 록, 아메리카나, 얼터너티브 컨트리
재생 시간 76:41
곡 수 24곡
프로듀서 밥 딜런, 더 밴드
녹음실 밥 딜런 자택
레이블 파일:컬럼비아 레코드 로고.svg
1. 개요2. 상세3. 트랙 리스트

[clearfix]

1. 개요

1975년 6월 26일에 발매된 밥 딜런더 밴드의 음반.

2. 상세

컨트리와 루츠 락으로 유명한 더 밴드와 협엽해서 1966부터 1967년까지 밥 딜런의 개인 집에서 녹음을 거친 앨범인데 발매가 8년 가까이 걸렸다. 안그래도 1975년에 선행 발매된 Blood on the Tracks앨범에서도 포크 락으로 회귀했던 팬들에게선 다시 1967년에 발매했던 John Wesley Harding 앨범의 컨트리 록 스타일로 다시 회귀한 것이라 생각되어 난감했던 앨범이다.

더욱이 8년 가까이 공개를 안했는데 저작권 문제도 있고 여러 가지 문제 (근본적으론 처음부터 공개할 의도가 없었던 노래들로 딜런조차 잊고 살았다.)로 미뤄지다 늦게 나마 밥 딜런이 공개를 허락하며 발매된 앨범이다. [1] 앨범은 그간 더 밴드와 작업한 미공개곡들로 이루어졌는데 레코딩 작업환경이 집에서 이루어졌던 거라 좋지 않았는데 음질이 많이 떨어져서 이걸 보완하기 위해 잔향효과를 많이 넣었다. 그리고 어떤 트렉은 정말 저질스러운 보컬 녹음을 자랑한다. (애초에 공개할 의도가 없었기에...) 무언가를 계획하고 만든 앨범이 아니라 있는대로 데모 곡을 잡아 넣은 잡탕의 앨범이지만 앨범 자체의 가치는 밥 딜런의 컨트리 록의 정수라고 할 정도로 상당한 완성도를 자랑한다.

John Wesley Harding 앨범에 만족했던 팬이라면 이 완성도에 늦은 발매가 이해하기 힘들 것인데 상술해듯 당시엔 이 노래를 공개할 의도가 없이 주변의 평가관계 없이 그냥 자유롭게 만들고 불러보는 의도의 노래들이였다. 녹음이 다 완성되었을뗀 이런 노래들이 있다는 것을 안 밥 딜런의 팬들이 귀신 같이 이 노래들을 구해 해적판 형태로 만들어 감상했었다. 심지어 Million Dollar Bash는 페어포트 컨벤션이 1968년 Unhalfbricking에 녹음 수록해, 원 가수보다 커버 가수가 먼저 녹음 후 앨범 수록한 케이스라는 타이틀을 달게 되었다.

사실 밥 딜런의 노래를 상당히 많은 노래가 미공개 된 것이 많다. 몇 십년에 공개된 I'm Not There가 한예라 할 수 있고 녹음을 못했어도 이미 1967년 같은 시기에 가사등이 완성된 노래를 New The Basement Tapes밴드를 만들어내놓은 Lost On The River 앨범이 그렇다고 할 수 있다.[2] 그나마 The Bootleg Series로 간간히 풀고 있는데, 이 시절의 녹음들은 Vol. 11: The Basement Tapes Complete에 포함되었다. [3]

본 항목의 주가 되는 1975년 발매본은 왈가왈부가 많았던 앨범이다. 주 논쟁 떡밥은 상술한 앨범 구성에 대한 것. [4]다만 부틀렉 시리즈로 발매되면서 해결된 문제다.

명성이 높은 앨범임에도 상당히 늦은 2009년에서야 처음 리마스터되었다. 더 밴드와 함께한 라이브 앨범 Before the Flood와 함께 리마스터 재발매되었다.

앨범 아트블루노트 레코드 앨범 커버 디자이너기도 했던 레이드 마일스가 1975년 로스앤젤레스 YMCA 지하실에서 찍었다고 한다. 디자인은 밥 카토가 담당했다.

3. 트랙 리스트

1975년 발매본을 기준으로 한다.

[1] 더 밴드의 위상이 올라간 것도 한 몫했다. 저 녹음 이후 더 밴드는 데뷔 앨범과 2집을 내면서 평단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2] 이 앨범에 배우 조니 뎁이 기타리스트로 참가했다.[3] 다만 이 경우엔 진짜로 녹음한걸 그대로 푼건지라, 가볍게 듣기엔 트랙 리스트가 다소 난잡한 편이다. 한 곡의 다른 세션이 무수하게 포함되어 있을 정도.[4] 더 밴드의 데모가 실려있는데 이게 더 밴드의 1집 보너스 트랙으로도 실려서 논쟁이 있었다.[A] 버즈가 컨트리 록 앨범 Sweetheart of the Rodeo에 커버 곡으로 실었다.[A] 버즈가 컨트리 록 앨범 Sweetheart of the Rodeo에 커버 곡으로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