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0 22:51:37

Con te partirò

Time to Say Goodbye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Time to Say Goodbye'''{{{#!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RWBY의 2기 오프닝}}}에 대한 내용은 [[RWBY/주제가/Volume 2]]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RWBY/주제가/Volume 2#s-1.1|1.1]]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RWBY/주제가/Volume 2#|]]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RWBY의 2기 오프닝: }}}[[RWBY/주제가/Volume 2]]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RWBY/주제가/Volume 2#s-1.1|1.1]]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RWBY/주제가/Volume 2#|]]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안드레아 보첼리 버전
사라 브라이트만과 함께 부른 'Time To Say Goodbye' 버전
폴 포츠 버전


1. 개요2. 상세3. 대중 매체에서의 사용 사례4. 가사5. 바리에이션

1. 개요

이탈리아의 세계적인 테너 가수 안드레아 보첼리의 노래. 1995년 안드레아 보첼리가 낸 첫 앨범《Bocelli》에서 발표된 곡이다. 발표되자마자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2. 상세

1996년에 안드레아 보첼리는 영국소프라노 여가수 사라 브라이트만의 제안으로 곡의 타이틀과, 가사 중 'Con te partirò' 부분만 "Time to Say Goodbye"로 바꾸어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독일의 유명 복서인 헨리 마스케의 은퇴경기 등장곡이자 작별곡으로서 듀엣으로 재녹음하였다. 사라 브라이트만의 앨범 'Timeless'에 수록되었다. 이 경기에 등장곡과 작별곡으로 쓰인 건 비하인드가 있는데, 사실 사라가 다음 곡을 준비하려던 시기에 절친인 마스케가 찾아와 자신의 은퇴경기에 쓰일 곡을 선물해주면 안되냐는 간절한 부탁을 했고 이에 사라는 은퇴를 하는 마스케에게 바칠 고별곡을 찾던 중 머리를 식히기 위해 여행온 이탈리아에서 안드레아가 노래한 Con te partirò를 듣게 되었다. 수소문 끝에 안드레아를 찾아내 자신의 절친을 위한 고별곡이 필요하단 간절함을 설명하고서 듀엣을 제안했고, 사라의 듀엣 제안을 흔쾌히 들어준 안드레아는 사라와 협업해 Time to Say Goodbye라는 곡으로 재녹음을 한 후, 마스케의 경기에서 첫 듀엣 공연을 한다. 경기가 끝나고 마스케가 고별인사를 건넬 때 때맞춰 이 노래가 다시 나왔고 이 노래를 들은 마스케는 3분 동안 감정을 억누르지 못해 주저앉아 통곡을 한 후, 팬들의 응원과 격려를 받으며 퇴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런 드라마틱한 마스케의 은퇴를 장식한 이 싱글은 그야말로 전 세계적으로 공전의 히트를 치며 14주 동안 머물던 독일 차트에서 톱으로 데뷔하고, 3백만 장에 가깝게 팔리면서 초대박을 치게 된다. 그 해 겨울, 안드레아 보첼리는 이 곡의 프랑스어판 "Je vis pour elle"를 프랑스의 가수 엘렌 세가라와 듀엣으로 부르기도 했다. 그러면서 이 곡은 벨기에프랑스에서 차트 1위의 히트곡이 되었으며, 사실상 이 곡은 은퇴를 치르는 선수나 긴 작별을 해야 하는 상대를 위한 고별곡으로 마성의 BGM에 등극한다. 참고로 중요한 사실은 영어로 번역된 "Time to Say Goodbye"이란 타이틀 때문에 제목만 봐서는 누군가와 마지막 작별을 하는 노래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지만, 실제로 이 곡은 이별이나 고별을 의미하는 곡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탈리아어 타이틀인 "Con te partirò"는 "너와 함께 떠나자"라는 의미로 보통 졸업식이나 결혼식 같은 새 출발을 축하하는 의미의 곡이다.[1]

그래서 이탈리아에서는 이혼이 아니라(...) 결혼식때 결혼 행진곡 대신에 자주 사용되는 노래이다. 때문에 번역할 때 Time to say Goodbye를 직역해버리면 뜬금없을 수 있기에 원제인 'Con te partirò'의의를 두어 '작별'과 원 가사의 '새 출발'의 의미를 적절히 섞어 의역되기도 한다. 예시로 '작별을 할 때 그대와 함께 본 적도 가본 적도 없는 나라로, 그대와 함께 떠나요.' 로 번역한 사례. 때문에 '작별할 시간' 이라는 뜻에 제목은 애초부터 잘못된거다볼레로풍의 웅장한 선율과 아름다운 하모니로 오페라라는 생소한 장르를 떠나 전율과 감동을 전해준다.

한국에서는 오히려 "Time to Say Goodbye" 쪽이 훨씬 유명해서, 정작 본제는 모르는 사람이 대다수이다. 심지어는 아예 영어 노래인 줄 아는 사람도 많다. 특히 후술된 오징어 게임(시즌 2) 이후로는... 덤으로 한국에서도 한 가수가 테크노곡으로 편곡해 리믹스하기도 했다.

음악분수에서 연출곡으로 굉장히 많이 나오는 노래이다.

3. 대중 매체에서의 사용 사례

4. 가사[7]

Quando sono solo
혼자일 때면

Sogno all’orizzonte
수평선을 꿈꾸며

E mancan le parole
침묵에 잠겨요

Sì lo so che non c’è luce
네, 그곳엔 빛이 없어요

In una stanza quando manca il sole
햇빛이 들어오지 못하는 곳이에요

Se non ci sei tu con me, con me
그대가 내 곁에, 내 곁에 없다면

Su le finestre
문을 열고

Mostra a tutti il mio cuore
모두에게 나의 마음을 보여줄게요

Che hai accesso
그대는 내게 올 수 있어요

Chiudi dentro me
내 품에 안겨요

La luce che
그대의 빛이 보여요

Hai incontrato per strada
길에서 만나요

Con te partirò
떠나야 할 시간

Paesi che non ho mai
가 본 적 없는 그 나라에서

Veduto e vissuto con te
그대와 함께 살고 싶어요

Adesso si li vivro
그대와 함께 살 거예요

Con te partirò
함께 떠나요

Su navi per mari
배를 타고 바다를 가로지르자

Che io lo so
그동안 내가 알고 있었던

No no non esistono piu
것들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아요

Con te io li vivro
그대와 함께 살 거예요

Quando sei lontana
그대가 멀리 있을 때면

Sogno all’orizzonte
수평선을 꿈꾸며

E mancan le parole
침묵에 잠겨요

E io si lo so
그래요, 나는 알아요

Che sei con me con me
그대가 내 곁에, 내 곁에 있다는 것을요

Tu mia luna tu sei qui con me
나의 달, 그대는 내 곁에 있어요

Mio sole, tu sei qui con me
나의 태양, 그대는 내 곁에 있어요

Con me con me con me
내 곁에, 내 곁에

Con te partirò
떠나야 할 시간

Paesi che non ho mai
가 본 적 없는 그 나라에서

Veduto e vissuto con te
그대와 함께 살고 싶어요

Adesso si li vivro
그대와 함께 살 거예요

Con te partirò
함께 떠나요

Su navi per mari
배를 타고 바다를 가로지르자

Che io lo so
내가 알고 있는 것들은

No no non esistono piu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아요

Con te io li vivro
그대와 함께 살 거예요

Con te partirò
함께 떠나요

Su navi per mari
배를 타고 바다를 가로지르자

Che io lo so
내가 알고 있는 것들은

No no non esistono piu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아요

Con te io li vivro
그대와 함께 살 거예요

Con te partirò
함께 떠나요

Io con te
그대와 함께

5. 바리에이션


카렐 고트(Karel Gott)가 부른 독일어 버전.


대만중국어 버전


프랑스어 버전



[1] 은퇴도 사실 기존 커리어를 마치고 새 출발을 한다는 의미에서 적합하다.[2] 묘한 게 김제혁이 서부구치소에 법정구속된 날 교정방송에서는 나름 김제혁을 환영한다고(?) 이 노래를 틀었는데 김제혁의 입장에선 마치 자신을 반기는 게 아닌 자신을 향해 Time to say goodbye라고 말하는 것처럼 들렸다.[3] 주로 국제선의 경우로 추정.[4] 초반에는 Carry & Ron의 I.O.U였다.[5] 이날 아카데미가 추모한 영화인 중에는 이선균도 포함돼 있었다.[6] 여담으로 시즌 2가 공개된 이후 원곡의 유튜브 댓글에는 하나같이 오징어 게임 관련 드립이 흥했으며 그 곡에서 그 전의 게임인 가위바위보 하나빼기 드립도 성행하는 중. Disqualified. 드립이라든가.(원대사는 '실격입니다.')[7] 가사는 원어 기준이며, 버전에 따라 Con te partirò가 Time to say goodbye나 Je vis pour elle로 바뀌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