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135deg, #00008B 20%, #00008B 80%, #9400D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008b><colcolor=#fff> 상징 | <colbgcolor=#00008b><colcolor=#fff> 주제곡 | Ligue Des Champions | |
공인구 | 피날레(Finale) | |||
우승컵 | 빅 이어 | |||
역사 | 구단, 감독 | 원년 초청 멤버 · 우승팀 목록 · 역대 우승 감독 · 역대 준우승 감독 | ||
시즌 | 역대 시즌 · 역대 결승전 | |||
개최지 | 역대 결승 개최지 | |||
기타 | 기록 | UEFA 챔피언스 리그/기록 · UEFA 챔피언스 리그/대한민국 | ||
주관 | UEFA | |||
하위 대회 | UEFA 유로파 리그 | |||
※ 유러피언컵+UEFA 챔피언스 리그 통계 ※ UEFA 챔피언스리그 통계 |
Finale
1. 개요2. 역대 피날레 변천사3. 나이키4. 아디다스
4.1. 2001/02 시즌4.2. 2002/03 시즌4.3. 2003/04 시즌4.4. 2004/05 시즌4.5. 2005/06 시즌4.6. 2006/07 시즌4.7. 2007/08 시즌4.8. 2008/09 시즌4.9. 2009/10 시즌4.10. 2010/11 시즌4.11. 2011/12 시즌4.12. 2012/13 시즌4.13. 2013/14 시즌4.14. 2014/15 시즌4.15. 2015/16 시즌4.16. 2016/17 시즌4.17. 2017/18 시즌4.18. 2018/19 시즌4.19. 2019/20 시즌4.20. 2020/21 시즌4.21. 2021/22 시즌4.22. 2022/23 시즌4.23. 2023/24 시즌4.24. 2024/25 시즌
5. 관련 문서1. 개요
UEFA 챔피언스 리그 공인구에 대한 문서이다. 기본 디자인은 별 패턴이며 매년 별에 들어가는 문양이 달라진다. 또한 조별예선, 토너먼트의 공인구와 결승전의 공인구가 다른 것도 특징 중 하나.피날레는 2000/01 시즌 챔피언스 리그 4강전에서 최초로 사용되었고, 2005/06 시즌까지는 결승전을 제외하고 기존의 FIFA 공인구랑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었지만(주로 자국 리그 혹은 홈 팀 킷 스폰서의 공인구), 2006/07 시즌부터는 모든 라운드에 피날레만을 사용하도록 변경하였다. 그리고 결승전에는 결승용 공인구로 디자인한 피날레로 치르며 우승팀은 차기 시즌의 챔스 홈 경기에 이 공인구로 경기를 치를 수 있다. 2011/12 시즌부터 챔스 결승전에만 사용하던 결승용 공인구가 조별 리그 종료 이후 결승 토너먼트가 시작되는 16강전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공의 명칭은 조별예선의 경우 'Adidas Finale (조별예선 진행년도)'이고 해가 바뀌어 16강이 시작한 뒤로는 'Adidas Finale (결승전이 열리는 도시)'이다.
2. 역대 피날레 변천사
3. 나이키
1998/99시즌부터 UEFA 챔피언스 리그에 공인구가 도입되었고, 첫 3시즌 동안 나이키가 이 공인구를 제작하였다.3.1. 1998/99 시즌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캄 노우의 기적으로 유명한 시즌이기도 하다.
3.2. 1999/00 시즌
|
3.3. 2000/01 시즌
|
4. 아디다스
2001/02 시즌부터는 아디다스에서 공인구를 제작하기 시작했고, 이때부터 "피날레(Finale)"라는 명칭이 붙었다.4.1. 2001/02 시즌
|
2002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의 햄던 파크[1]에서 열렸다.
별 무늬가 들어간 피날레(Finale)가 챔피언스리그 사상 처음으로 도입된 경기이다. 당시 축구공은 대체로 텔스타 템플릿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해당 템플릿에 별무늬가 프린팅 되는 식으로 공이 만들어졌다.
4.2. 2002/03 시즌
| |
2003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잉글랜드 맨체스터의 올드 트래포드에서 열렸다.
4.3. 2003/04 시즌
| |
2004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독일 겔젠키르헨의 아레나 아우프 샬케에서 열렸다.
4.4. 2004/05 시즌
| |
2005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튀르키예 이스탄불의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리버풀 FC의 이스탄불의 기적으로 유명한 시즌이기도 하다.
4.5. 2005/06 시즌
| |
2006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프랑스 생드니의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열렸다.
이 때 결승전에서 텔스타 템플릿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팀가이스트 템플릿이 사용되었다.
4.6. 2006/07 시즌
| |
2007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그리스 아테네의 아테네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4.7. 2007/08 시즌
| |
2008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러시아 모스크바의 루즈니키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4.8. 2008/09 시즌
| |
2009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이탈리아 로마의 스타디오 올림피코에서 열렸다.
4.9. 2009/10 시즌
| |
2010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스페인 마드리드의 에스타디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열렸다.
이 때 결승전에서 팀가이스트 템플릿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별모양 템플릿이 사용되었다.
4.10. 2010/11 시즌
| |
2011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잉글랜드 런던의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4.11. 2011/12 시즌
| |
2012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독일 뮌헨의 푸스발 아레나 뮌헨에서 열렸다.
이 때부터 결승구 대신 16강전부터 쭉 사용하는 플레이오프구가 도입되었다.
4.12. 2012/13 시즌
| |
2013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1963년 축구종가 잉글랜드 런던의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유로피언 컵 결승전을 개최한지 6회 째를 맞아 이를 기념하기 위한 공이다. 6개의 별 안에 개최 연도가 적혀있다.(1963, 1968, 1971, 1992, 2011, 2013)
4.13. 2013/14 시즌
| |
2014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포르투갈 리스본의 이스타디우 다 루스에서 열렸다.
4.14. 2014/15 시즌
| |
2015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독일 베를린의 올림피아슈타디온 베를린에서 열렸으며, 결승전 공에는 베를린의 브란덴부르크 문이 새겨져있다.
4.15. 2015/16 시즌
| |
2016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이탈리아 밀라노의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에서 열렸다.
4.16. 2016/17 시즌
| |
2017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영국 웨일스 카디프의 밀레니엄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플레이오프 공에는 웨일스의 상징인 용이 들어갔다.
4.17. 2017/18 시즌
| |
2018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우크라이나 키예프의 NSC 올림피스키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4.18. 2018/19 시즌
| |
2019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스페인 마드리드의 에스타디오 메트로폴리타노에서 열렸다.
처음으로 컬러바탕의 공이 쓰였으며 붉은색의 공인구는 본선 조별리그 이후 16강전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토트넘 홋스퍼 FC의 암스테르담의 기적, 리버풀 FC의 안필드의 기적으로 유명한 시즌이기도 하다.
4.19. 2019/20 시즌
| |
2020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터키 이스탄불의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코로나 19로 인해 포르투갈 리스본에 위치한 이스타디우 다 루스에서 열릴예정이므로 이스탄불에서의 결승전은 2021년으로 연기되었다.
별의 꼭짓점이 맞닿아있던 지금까지의 패널과는 다르게 2019년 패널은 별의 모서리끼리 맞닿아있는 형태로 바뀌었다.
4.20. 2020/21 시즌
| |
2021년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2020년도에 미뤄졌던 터키 이스탄불의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다시 열릴 예정이었지만, 코로나 19로 인해 포르투갈의 포르투에 위치한 FC 포르투의 홈구장인 이스타디우 두 드라강에서 열렸으며,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에서의 결승전은 또다시 2023년으로 연기되었다. 이번시즌부터 공 표면에 있던 돌기의 모양이 별 모양으로 바뀌었다.
4.21. 2021/22 시즌
|
17/18 시즌 이후 4년 만에 다시 흰색 바탕의 공으로 회귀했다. 하지만 토너먼트 구에서는 다시 유색 바탕으로 돌아왔지만, 러시아에서 열릴 예정이였던 결승이 프랑스로 옮김에 따라 16강 2차전부터는 토너먼트 구 대신에 기존 조별리그 구를 사용한다.
한국시간 2022년 5월 24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의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개최가 취소되고,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상징하던 피날레 공인구를 사용 중지한 후 아디다스가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열리는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공인구를 새롭게 발표했다 .
은색 별 바탕에 мир(MIR) / PEACE 라는 전쟁의 종식과 평화를 염원하는 문구가 쓰여있다. 하지만…
참고로 저 은색 공인구는 대중에게 판매하지는 않고 경매로 판다고 하며 경매로 얻은 돈은 기부한다고 한다.
4.22. 2022/23 시즌
2022/23 시즌의 결승전은 마침내 이스탄불의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4.23. 2023/24 시즌
| |
2023-24 시즌의 결승전은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4.24. 2024/25 시즌
| | |
또한 2018-19 시즌 이후로 6년만에 다시 별의 꼭짓점끼리 맞닿은 형태로 돌아왔다. 이 시즌부터 UEFA 챔피언스리그가 조별리그 체제에서 리그 페이즈 체제로 변경되면서 리그 페이즈에서 공인구가 2개 사용되었다. 또한, 나이키의 플라이트와 비슷하게 패널에 음각으로 무늬가 생겼다.
5. 관련 문서
[1] 퀸즈 파크 FC와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