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MD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 개요
WMD. Weapon of Mass Destruction의 약자로 대량살상무기라는 뜻이다.WWE 프로레슬러 빅 쇼(폴 와이트)의 주력 피니시 무브.
빅 쇼가 복싱으로 잠시 외도했다가 2008년경 다시 복귀한 직후, 레슬매니아 24에서 플로이드 메이웨더와 이벤트성 대립을 시작한 이후부터 장착한 기술.
초기에는 '빅 피니셔', '넉아웃 펀치', '넉아웃 블로우' 등으로 한 명칭이 고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불리다가 2011년부터 WMD라는 명칭으로 완전히 정착하였다.
2. 소개
| |
그러나 성인 남성의 얼굴만한 사이즈를 가진 빅 쇼의 거대한 주먹이 휭 날아들어 '빡ㅡ !'하는 묵직한 소리와 함께 피폭자가 나가떨어지는 모습을 보면 이야기는 완전히 달라진다. 설정상의 위력도 위력이지만 사용자가 하필이면 그 악명 높은 빅 쇼인지라, 적중하는 순간 어지간한 메인 이벤터들이 아니고서야 대부분 핀폴로 직행된다. 이 기술을 맞고 버틴 선수는 셰이머스[2], 브록 레스너[3], 브론 스트로우먼, 로만 레인즈 정도. 언더테이커[4]와 트리플 H, 마크 헨리 도 단 한방에 핀 폴을 내준 기술이다!
WMD를 사용하면서 봉인한 코브라 클러치 백브레이커.(빅 슬립, Big Sleep)
사실 빅 쇼가 처음 이 기술을 사용했을 때만 해도, 비주얼이 영 안 좋아서 메이웨더에게 쓴 것을 제외하면 대체 이게 뭔 피니쉬인가 할 정도로 반응이 안 좋았으며, 그냥 기존에 쓰던 초크슬램이나 ECW에서 사용하던 빅 슬립[5]을 다시 쓰라는 반응이 정말 많았다. 그 덕인지 이 기술의 반응이 안 좋을 때에 빅 쇼는 쭉 악역으로 활동했다.. 2009년까지 이 기술이 정말 많은 악평을 받았던 이유는 허무하게 주먹을 날리기만 했는데 상대가 픽하고 쓰러지는 모션이 상당히 어색해 보였기 때문으로 이 당시에는 대놓고 안 맞은 게 보이는데도 제대로 맞은 것마냥 상대가 픽픽 쓰러지는 상황이 자주 나와 많은 팬들이 이를 지적했었다. 그러나 2010년에 빅 쇼가 턴페이스하고 기술 시전도 자연스러워진데다 악역 선수들을 이 기술로 마구 쓰러뜨리면서 조금씩 반응이 올라오기 시작했다. 한 마디로 시전자가 빅 쇼 + 그 빅 쇼도 기술 사용법이 익숙해졌다는 이유로 겨우 피니시 무브로 인정받은 것.
접수자에 따라 요령껏 맞는 게 아니라 정말 정면으로 받아내기도 하는데 이럴 경우엔 그야말로 살상무기 수준의 시각적 위력을 자랑한다.
게다가 체급을 안 따지는 기술이다 보니 나이를 먹고 예전보다 힘이 떨어진 요즈음은 기존 피니쉬인 쵸크슬램보다도 훨씬 많이 사용하고 있을 정도. 그래서 지금은 아예 WMD가 제 1 피니쉬 무브, 쵸크슬램은 제 2 피니쉬 무브로 내려간 상태이다.
문제는 설득력이나 비주얼의 문제는 둘째치더라도, 이게 피니쉬로 있어서 안면 해머링이 강제적으로 봉인되어 바디 블로우만 주구장창 날리는 바람에 경기 운영이 전체적으로 이상해지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 |
현재는 접수자를 배려하는 차원에서 주먹에 힘을 최대한 빼고, 다른 타격기들이 다 그렇듯 자신의 허벅지를 때려서 타격감을 살리는 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빅 쇼가 폴 와이트라는 본명으로 AEW에서 활동하며 2021년 경기를 끝으로 반 은퇴 상태가 되며 이 기술은 여성 레슬러인 레이시 에반스가 '우먼스 라이트'[6]라는 이름의 피니셔로 사용하고 있다.[7] 또 유튜버인 로건 폴도 복싱 경력이 있기 때문에 '원 럭키 펀치'란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