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2D0045> 파일:Logo_WTA-1000x420x420_4.webp | WTA 투어 WTA 100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color:#181818" | | | | | |
| | | |||
| | | | | |
|
1. 개요
WTA가 주관하는 대회 중 최상위 티어의 대회에 속하며[1], 우승 시 랭킹 포인트 1000점이 부여된다. ATP 투어의 ATP 투어 마스터스 1000 시리즈에 대응되는 대회.2. 역사
WTA 티어 1 토너먼트라는 이름이 붙으며 그랜드 슬램 다음가는 대회라는 지금의 위상에 이르렀다. 1990년 출범 당시에는 6개의 대회로 시작했지만 규모가 커지고 대회가 늘면서 2008년에는 9개로 늘어나게 된다.이로 인해, 선수들이 포인트 관리를 위해 더 많은 대회에 출전해야 했고 지나치게 혹사시킨다는 의견이 있자 WTA는 2009년, 티어 1 토너먼트를 프리미어 의무 대회와 프리미어 5 대회라는 이름으로 분리한다. 기존 아홉 개의 대회 중 네 개의 대회는 1000 포인트가 걸린 의무 참가 대회로 고정하고, 나머지 다섯 대회는 900 포인트가 걸린 비의무적인 대회로 수정해 선수들의 선택권을 보장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일찍이 우승 시 획득 가능한 포인트를 대회 시리즈에 못박은 ATP 투어에 비해 직관적이지 못하고 일관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었고, 2021년부터는 대회 이름을 WTA 1000 토너먼트라는 직관적인 이름으로 변경했다. 그리고 2024년 투어 개편에서 10개의 개최 대회 모두 의무 참가 대회로 변경되면서 지금의 시스템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rowcolor=#fff> 1990 - 2008 | 2009 - 2020 | 2021 - 현재 |
티어 1 | 프리미어 의무 | WTA 1000 |
프리미어 5 |
그랜드슬램과 달리, WTA 1000 시리즈는 대회 일정과 위상을 조금씩 정비하면서 승격과 강등이 일어나는데, 마이애미 오픈, 로마 오픈, 캐나다 오픈은 1990년부터 지금까지 위상이 변하지 않고 이어온 대회이다. 프리미어 의무로 한정한다면 마이애미 오픈이 유일하게 지금의 위상을 지켜오고 있다다.
3. 위상
우승자에게는 1,000점의 싱글 랭킹 점수가 부여된다. 준우승자의 경우 650점[2], 4강 진출자는 390점, 8강 진출자는 215점, 16강 진출자는 120점으로 줄어든다.한편 열개 대회 모두 1000 포인트가 부여되지만, 상금 규모나 참가 선수 규모, 대회 역사에 따라 조금씩 대회의 위상이 차이난다는 의견도 있다. 카타르 오픈과 두바이 챔피언십, 우한 오픈은 56명이 출전하는 대회로, 96명이 출전하는 나머지 7개 대회들에 비해 역사가 짧고 총상금도 낮은 편.
4. 개최 대회
1년간 총 10개[3]의 대회가 개최되며 의무적으로 참가하는 것이 기본이다. 2023년까지는 총 9개의 대회 중 4개[4]만 의무 참가였으나, 2024년, 투어 시스템 정비 및 개정을 통해 10개 전부 의무 참가로 규정이 변경되었다. 불참시 무조건 해당 대회 랭킹 포인트 0점이므로 페널티가 크다.<rowcolor=#fff> 개최 시기 | 대회명 | 개최지 | 코트 종류 |
2월 | 카타르 오픈 | 카타르 도하 | 하드 |
두바이 챔피언십 |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 ||
3월 | 인디언 웰스 오픈 | 미국 캘리포니아 인디언 웰스 | |
마이애미 오픈 | 미국 플로리다 마이애미 | ||
4월 | 마드리드 오픈 | 스페인 마드리드 | 클레이 |
5월 | 로마 오픈 | 이탈리아 로마 | |
7월 말/8월 초 | 캐나다 오픈 | 캐나다 토론토 / 몬트리올 [5] | 하드 |
8월 | 신시내티 오픈 | 미국 오하이오 신시내티 | |
9월 말/10월 초 | 차이나 오픈 | 중국 베이징 | |
10월 | 우한 오픈 | 중국 우한 |
5. 기록
<rowcolor=#fff><colcolor=#fff> 여자 단식 우승 횟수 | ||
<colbgcolor=#2D0045> 순위 | 이름 | 횟수 |
1 | 23회 | |
2 | 17회 | |
3 | 15회 | |
4 | 14회 | |
5 | 11회 | |
[1] WTA 파이널스의 경우 오픈 대회가 아니라 Top8 선수들끼리 치르는 대회이므로 예외로 치고, 여기 참가하기 위해서는 한 해 동안 WTA 1000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는 것이 필수적이다.[2] 500 시리즈 대회 우승보다 1000 대회 준우승을 거두는 것이 획득 포인트나 상금 면에서 더 많은 이득을 취할 수 있다.[3] 2023년까지만 해도 카타르 오픈과 두바이 챔피언십은 매년 번갈아 가면서 하나는 WTA 1000, 다른 하나는 WTA 500 시리즈로 개최되어서 총 9개의 WTA 1000 대회가 열렸으나, 2024년부터 두 대회 모두 WTA 1000으로 개최되면서 총 10개가 되었다.[4] 인디언 웰스, 마이애미, 마드리드, 차이나[5] 매년 번갈아 가며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