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20:14:33

Yaelokre


파일:Yaelokre.jpg

1. 개요2. 프로젝트
2.1. Meadowlark(들종다리)
2.1.1. 등장인물
2.1.1.1. 종달새(The Lark)
2.1.1.1.1. 콜 시모어(Cole Seymore)2.1.1.1.2. 클레망트 디어워스(Clémente Dearworth)2.1.1.1.3. 킹슬리(Kingsley)2.1.1.1.4. 페레그린 어거스트(Peregrine August)
2.1.1.2. 고하는 자들(The Harkers)
2.1.1.2.1. 이야기꾼(The Storyteller)2.1.1.2.2. 종지기(The Bellringer)2.1.1.2.3. 불투성이(The Enkindled)2.1.1.2.4. 연가(The Croon)
2.1.1.3. 기타
2.1.1.3.1. 극작가(The Playwright)2.1.1.3.2. 쿠퍼 깔리가야한(Cooper Caligayahan)2.1.1.3.3. 어리석은 폐하(The Foolish Majesty)2.1.1.3.4. 에나이스/남작(Enaïs/Baroness)2.1.1.3.5. 코러스(Korhys)

1. 개요

필리핀 출신 Keath Ósk가 제작한 스토리텔링 프로젝트. 현재는 Hayfields(건초밭)라는 새 앨범을 내 프로젝트를 이어가고 있다. "종달새(The Lark)"라는 앙상블의 네 아이들에 대한 이야기를 주로 다루고 있다.

현재까지 공개된 발매곡은 6곡이다.[1] 그리고 미발매 곡 중에서 공개된 것으로는 올해 나온 Kid and Leveret이 있다.

2. 프로젝트

2.1. Meadowlark(들종다리)

옛적이란 뜻의 Eld가 지구와 같은 역할로 존재하며, 정확한 시간대가 존재하지 않는다. 페레그린의 초록머리 같이 비현실적인 것이 평범하고 성별은 중요치 않다는 설정이다.

2.1.1. 등장인물

대부분의 인물이 Felicity[2]라는 다리 위의 도시에서 생활하고 있다.

뮤직비디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클레망트 디어워스(Clémente Dearworth), 킹슬리(Kingsley), 페레그린 어거스트(Peregrine August), 콜 시모어(Cole Seymore)이다.[3]

각 인물들은 신화적 존재를 연기하고 있으며 그 존재는 각각 종지기(The Bellringer), 불투성이(The Enkindled), 연가(The Croon), 이야기꾼(The Storyteller)이다.
2.1.1.1. 종달새(The Lark)
Harpy Hare라는 노래 때문인지 이 넷을 동포[4]로 착각하는 사람이 있지만 아니다. 하지만 어느 면에선 대안 가족으로 볼 수 있다. 성역에서 함께 지내고 있다.
2.1.1.1.1. 콜 시모어(Cole Seymore)
산토끼 가면을 쓴 아이. 이야기꾼에 대응한다. 별명은 꽤 많은데 Coleby, Coleson, Coleman, Coleton, Charcoal이 있다.

종달새의 첫 단원인 동시에 종달새를 만들어낸 인물. 잘 들리기 위해 잠적했다.[5] 말이 부드럽고, 수줍음이 많아 불안해지기 쉽지만 가장 열정적이고 꿈을 언제나 머릿속에 간직한다. 종달새에서 가장 소심하면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머리카락이 머리를 다 덮음에도 잘 다듬지 않는다. 제일 좋아하는 음식은 동양 배. 배나 빵과 함께 즐길 담백한 것들도 좋아한다.

키는 두 번째로 작으며 나이도 두 번째로 많다. 눈은 짙은 회색이다. 클레망트와 교제하는 관계이며, 이 관계는 특정한 하나로 정정하기란 어렵다. 아직 본격적으로 연애를 하는 중이 아니기 때문. 재밌게도 콜은 로맨스에 대한 이해력이 부족하다고. 메인 보컬이다.
2.1.1.1.2. 클레망트 디어워스(Clémente Dearworth)
양 혹은 염소의 가면을 쓴 아이. 종지기에 대응한다. 별명은 페레그린이 지어준 Clemmie와 Clémentine이 있으며 콜은 이 별명을 클레몬틴[6]이라고 읽는다고 한다.

제일 먼저 종달새에게 가면을 쓰자고 한 인물. 추억되기 위해 출망했다.[7] 남작 에나이스[8]와 인형장인 사이에서 길러졌으나, 아기였을 때 입양된 것이다. 둘은 클레망트를 인형 같이 지키며 엄격한 가정을 만들었다. 시간, 어투, 매너, 식단 등을 간섭 받았다고. 그렇다고 사랑이 없는 가정은 아니었다.

아무튼 그런 가정으로 인해 아직 가장 좋아한다고 할 법한 음식이 없다. 하지만 입맞춤을 주기를 좋아하며 사랑으로 넘친다. 촛대를 베어먹는 것 또한 그렇다.[9]

눈은 은색이다. 키는 두 번째로 크며 나이도 두 번째로 어리다. 콜과 교제하는 관계이다. 종 혹은 글로켄슈필을 연주한다.
2.1.1.1.3. 킹슬리(Kingsley)
나무 가면을 쓴 아이. 불투성이에 대응한다. King이라는 별명이 있다. 이 역시 페레그린이 붙여줬다.

삼촌 베르트람과 이모 아마라[10]가 있으나, 생물학적으로 관계가 있는지, 없는데도 그렇게 불리는지는 의문이다.

경쟁적이고 거칠며 장난기 넘치는 성격에 유치하기도 하다. 귀뚜라미를 제일 잘 잡는다.

키가 제일 작으며 나이도 제일 어리다. 들창코를 가졌는데 그 이유는 Snub이 그루터기와 동의어였기 때문이다. 눈은 페리윙클 색이다. 페레그린과의 관계는 좀 특별한데 Keath Ósk가 자신의 친구들이 자기를 동생처럼 여긴 데에서 영감받았다고 한다. 원랜 목관악기를 연주해야 했지만 늦게 와서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그래서 플루트를 부는 척한다.
2.1.1.1.4. 페레그린 어거스트(Peregrine August)
사슴, 그 중에서도 무스 가면을 쓴 아이. 연가에 대응한다. 별명은 Perry, Perrine, Aust가 있다.

외동이었으며, 가장 감정적인 동시에 감정을 표현하기 어려워한다. 또래와 대화하기 어려워하고 부모님과의 경험 때문에 어른을 반기지 않는다. 종달새 단원들을 제외하곤 사람보다 동물과 주로 있는다. 페레그린은 이런 부분에서 더욱 분발하려 한다.

별명을 지어주는 걸 좋아해서 다른 종달새들에게 별명을 지어주었다.

한 쪽 눈은 올리브 색, 다른 쪽은 밤색이다. 키가 제일 크며 경험도 제일 많다. 고로 책임감이 강하며 매우 똑똑하다. 다른 멤버에게 별명을 지어주는 걸 좋아한다. 과거 Keath Ósk가 고양이에게 테라피를 받는 페레그린을 그린 적이 있어 농담으로 언급되곤 한다. 백보컬을 주로 맡는다.
2.1.1.2. 고하는 자들(The Harkers)[11]
동화나 개념 속에 나오는 신화적 존재로 무생물의 의인화 격으로 넷 발상지가 그들 자신을 대신해 이야기를 전하기 위해 태어난 선지자들이다.

보통의 사람처럼 느끼거나 생각하지 않는다. 그들이 추구하는 건 오로지 박자와 영속성. 과거, 미래, 균형, 불협화음 중 하나라도 흐려지지 않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어른들보단 아이들이 믿음을 가진다.

사실 이 넷은 한 번 밖에 함께한 적이 없는데 어리석은 폐하를 설득하는 이야기의 "The Tale of the Harpy, the Hare and the Hound[12]"에서 함께 등장한다.

서로 대조되는 담당의 고하는 자들끼리 엮인다. 예전에 Keath Ósk가 콜을 코스프레하고서 이야기꾼과 종지기가 결혼했다고 말한 것도 그것. 들종다리 내 사람들에 의해 짝지어진 것이다. 넷 발상지의 자녀라는 말은 없지만 이 넷 발상지는 이들의 어머니로 칭해진다.
2.1.1.2.1. 이야기꾼(The Storyteller)
현악과 지저귐에 파묻히지 않는 과거의 벗이라고 한다. 설화에서 역사의 말을 지니고 어리석은 폐하에게 도착했으나, 폐하는 귀담아 듣지 않았다. 마닐라에서 한 라이브에 의하면 거짓말을 할 수 없도록 태어났다.

"밀짚으로 된 이"라고도 불리는 이야기꾼은 허수아비의 모습을 하고 있다. 성격은 극적이며 이는 많은 신화 속 바드 혹은 음유시인과 유사하다. 서양톱풀[13] 같은 꽃을 제외한 모든 것에서 밀짚 맛을 느낀다.
2.1.1.2.2. 종지기(The Bellringer)
우연을 노래하는 미래에 맞장구친다고 한다. 설화에서 내일로 설득하려 했으나, 폐하는 따르기를 거부했다.

꼭두각시 인형으로 묘사되는 종지기는 앞서 말했듯이 대조되는 이야기꾼과 엮인다. 음과 양이 반대임에도 서로 균형을 이루는 것과 같다.

종지기의 역할은 새의 비행과 노래를 해석하여 미래를 예지하던 고대 로마의 아우구르와 비슷하다.

들종다리에는 "종지기가 울린다"라는 표현이 유명하며 페레그린이 자주 쓴다고.[14]
2.1.1.2.3. 불투성이(The Enkindled)
날것들 사이에서 균형 잡힌 구애의 선율을 부추긴다고 한다. 설화에서 춤으로 이길 의도로 폐하에게 춤을 추자고 하였으나, 폐하가 가엾게도 어리석어서 실패했다.

형태를 바꿀 수가 있다. 한 가지 모습이 아니지만 나무껍질로 만든 가면으로 표현이 된다. 이는 트릭스터 신인 북유럽 신화의 로키, 아메리카 원주민 신화의 쿄요테와 비슷하다. 교휸을 가르치거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변신했다고. 앞서 말한 "새털 괴물과 산토끼와 사냥개의 설화" 속에서 사냥개는 불투성이가 변한 것이다.
2.1.1.2.4. 연가(The Croon)
정적을 먹칠하고 불협화음을 딸로 삼는 폭풍이라고 한다. 설화에서 폐하의 수많은 백성들을 향한 무관심을 경멸했으나, 폐하는 귀를 막았다.

뼈로 만들어진 존재로, 분명 고하는 자들은 영속성을 추구하는데 어떻게 연가는 예측불허, 혼돈을 담당하는지 의문을 품게 한다. 이는 유명한 역설인 "인생에서 유일한 상수는 변화뿐이다"를 연상케 한다.

그리스 신 크로노스와 비슷하게 시간의 흐름과 죽음이란 키워드를 지니고 있으며, 또한 연가의 "내 말은 기억하나, 목소리는 잊으리니"[15]라는 대사는 말을 하는 대상보다 교훈이 더 오래가는 민속과 신화의 공통성을 반영한다.

연가 자신만의 설화도 지니고 있다.
2.1.1.3. 기타
스토리 뒤에 감춰져있는 인물들. 노래에 등장한 인물은 어리석은 폐하, 남작, 코러스[16]로, 극작가와 쿠퍼는 아직이다.
2.1.1.3.1. 극작가(The Playwright)
노래에선 등장하지 않으나, Kid and Leveret의 예고편에서 잠깐 비춰진 안경과 모자를 쓴 인물. 이름 그대로 종달새가 보일 극을 짠다. Yaelokre의 앨범이자 세계관 내에서 종달새의 극인 Hayfields 등을 썼다. 종달새에게 선생님이나 멘토 같은 인물이다. 3인칭은 They/it.
2.1.1.3.2. 쿠퍼 깔리가야한(Cooper Caligayahan)
아직 등장하지 않았으나, X등 Yaelokre의 SNS에서 언급된다. 펄리시티의 기사로 마을을 지킨다. 마찬가지로 종달새를 돌보는 인물. 3인칭은 They/It. 여담으로 성씨는 타갈로그어로 행복이란 의미이다.
2.1.1.3.3. 어리석은 폐하(The Foolish Majesty)
콜이 살던 아주 작은 마을이 이 인물의 왕국에 속해 있었다. Kid and Leveret의 'It used to be a kingdom for a foolish majesty'라는 가사로 보아 왕국은 이제 사라진 듯. 마찬가지로 같은 곡에서 'Then he put his hands over his ears and welcomed entropy'라는 가사는 Entropy, 즉, 예측불허를 담당하는 연가에 의해 재앙을 맞이했음을 의미한다. 사실 이 재앙을 예측할 수 있는 건 연가뿐만이 아닌데, 새털 괴물과 산토끼와 사냥개의 설화[17]에서 사냥개로 변신한 불투성이는 많은 신화 속 지옥과 연관된 개, 지옥견을 연상케 한다. 3인칭은 He/him.
2.1.1.3.4. 에나이스/남작(Enaïs/Baroness)
클레망트의 Song of origin인 Bird cage blue and yellow에서 남작이라고만 등장한다. 3인칭은 She/her.
2.1.1.3.5. 코러스(Korhys)
종달새를 만들기 전의 콜을 발견한 군인. 이름이 Chorus로 발음된다는 점에서 콜의 Song of origin에서 나온 Chorus를 만났다는 가사가 이 인물을 가리킬 가능성이 있다. 3인칭은 불명.
[1] Hayfields 앨범의 Harpy hare, And the hound, Hartebeest, Neath the grove is a heart. 그리고 Songs of origin 앨범의 My farewells to the fields, Bird cage blue and yellow.[2] 펄리시티. 더할 나위없는 행복이란 뜻.[3] 등장인물들이 리디자인된 현재는 킹슬리를 제외하고 이름이 바뀌거나 성씨가 추가되었다. 과거 이름은 클레멘타인(Clémentine), 페린(Perrine), 콜(Cole). 클레망트의 경우 과거 이름은 종달새 내에서 불리는 별명이라고 한다.[4] 한 부모에게서 태어난 형제자매[5] hid to be heard[6] Cle-mon-teen[7] Ran to be remembered[8] Enaïs. 남작부인인지 여성 남작인지는 불명. 하지만 아버지가 인형장인이므로 후자로 보인다.[9] 과거 유럽에선 촛대를 기름으로 만들었다.[10] Uncle Bertram, Tita Amara[11] 고한다 혹은 잘 들으라는 뜻의 명령문인 'hark'에 사람을 의미하는 '-er'이 붙은 형태로 타 언어로 적절히 번역하기가 어렵다.[12] 번안: 새털 괴물과 산토끼와 사냥개의 설화.[13] 다양한 문화에서 치유와 기억을 상징한다.[14] 원문은 Knells of the Bellringer"로 Knell은 무언가가 끝나는 전조라는 의미. 한국의 관용구인 "종을 치다"와 유사하다.[15] "My words you will remember, and yet my voice you shall forget."[16] 분명하게 언급된 앞에 두 인물과 달리 추측이다[17] 이 설화는 Kid and Leveret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