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常數 constant number
常數 / constant number[1], invariable number변하지 않는 수라는 뜻이다. 반대말은 변수이다. 일본어로는 [ruby(定, ruby=てい)][ruby(数, ruby=すう)]로 쓰는데[2], 분모가 1인 진짜 정수는 [ruby(整, ruby=せい)][ruby(数, ruby=すう)]라고 쓴다. 한국어로는 둘 다 정수로 읽지만 한자가 다르고 발음도 다르다.
기호로는 적분상수 [math(C)]와의 구분을 위해 일반적으로 소문자 [math(c)]로 쓴다. 달리 계수(係數)라고도 하는데, 이쪽은 물리학적인 성질의 상수를 뜻한다.
프로그래밍(자바스크립트)에서는 상수선언을 할 때
const TAU = 2*Math.PI
[3]로 쓰며 상수는 선언한 이후로 재선언이 불가하다. 변수는 var[4]로 선언한다.1.1. 수학 관련 정보
수학상수 |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 [math(0)] (덧셈의 항등원) | [math(1)] (곱셈의 항등원) | [math(2)] (가장 작은 소수) | [math(sqrt{2})] (최초로 증명된 무리수) | [math(i)] (허수단위) |
[math(pi)] (원주율) | [math(e)] (자연로그의 밑) | [math(delta)], [math(alpha)] (파이겐바움 상수) | [math(varphi)] (황금비) | ||
[math(gamma)]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 [math(Omega)] (오메가 상수) | [math(2^{sqrt{2}})] (겔폰트-슈나이더 상수) | [math(B_{2})], [math(B_{4})] (브룬 상수) | [math(G)] (카탈랑 상수) | }}}}}}}}} |
1.2. 물리학 관련 정보
물리 상수 문서로.1.3. 관련 문서
2. 뛰어난 솜씨 上手
남보다 뛰어난 수나 솜씨. 또는 그런 수나 솜씨를 가진 사람. 반댓말은 하수.3. 깨끗하고 먹을 수 있는 물 上水
4. 上壽
개인 기념일 | |||
백일잔치 | |||
생일 | |||
1세 첫돌 | 59세 이순 耳順 | 60세 환갑 還甲 | 61세 진갑 陳·進甲 |
66세 미수 美壽 | 70세 고희 古稀 | 77세 희수 喜壽 | 80세 산수 傘壽 |
88세 미수 米壽 | 90세 졸수 卒壽 | 99세 백수 白壽 | 100세 #s-4 上壽 |
결혼기념일 | |||
기일 |
100세를 뜻하는 단어. 百壽를 생각하기 쉽지만 정확히는 상수가 올바른 단어이다.
5. 서진의 인물
상수(삼국지) 문서로.[1] 보통 constant라고 한다.[2] 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일본에서도 [ruby(常, ruby=じょう)][ruby(数, ruby=すう)]라고 썼었다. 사실 한자 표기만 바뀌었다고 보는 게 거의 타당한 게 定는 음독으로 てい뿐만 아니라 じょう라고도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헌데 대부분의 경우 定는 음독으로 てい라고 읽는 관계로 오늘날 사전에는 ていすう가 표준 발음으로 정착되었다. 나이가 좀 지긋한 교수들 중에서도 定数를 ていすう라고 읽지 않고 じょうすう라고 읽는 사람도 있다.[3] 상수이기 때문에 이름은 대문자로 쓴다. 간혹 소문자로 쓰는 인간도 있긴 하다.[4] var foo = "b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