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7 11:36:39

지수함수

초등함수
Elementary Function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567843> 대수함수 다항함수 (상수 · 1차 · 2차 · 3차 · 4차 · 추론 · 공식 ( 길이 · 넓이 ) · 소수생성) · 유리함수 · 무리함수
초월함수 지수함수( 확률밀도함수 · 허수지수함수 ) · 로그함수 ( 복소로그함수 ) · 삼각함수 · 역삼각함수 · 쌍곡선 함수 · 역쌍곡선 함수 }}}}}}}}}

1. 개요2. 그래프의 특징3. 극한값4. 미적분5. 등비수열6. 여담7. 관련 문서

1. 개요

/ exponential function
파일:지수함수.jpg 파일:나무_지수함수_복소.svg
[math(y=2^x)]의 그래프 복소평면상에서의 그래프

지수함수지수에 미지수 [math(x)]가 있는 함수, 즉 [math(f\left(x\right) = a^x (a>0, a \neq 1))] 꼴로 나타낼 수 있는 함수를 말한다. 대략적으로 일반적인 다항식으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1] 초월함수에 속한다. 대한민국수학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 수학Ⅰ(2015)의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단원에서 배운다.

지수함수는 지수 법칙을 실수 범위로 확장한 뒤에 배우게 되는데 실수에서의 지수 법칙을 만족하기 위해 밑 [math(a>0)]을 전제로 깔고 간다. 따라서 아래 문단에서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math(a>0)]을 전제로 한다.[2]

또한 지수함수에서 밑이 1인 경우에는 상수함수가 되기 때문에 지수함수에서 제외하기로 약속하였다.

정규분포확률 밀도 함수가 다항함수에 지수함수를 합성한 형태이며, 삼각함수쌍곡선 함수 또한 지수함수를 이용해 만든 함수로 볼 수도 있다.[3]

2. 그래프의 특징


정의역에 역수를 취한 지수함수 [math(\displaystyle y = a^{1 \over x})]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정의역을 제곱하고 반수를 취한 지수함수 [math(\displaystyle y = a^{-x^2})][7]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한편, 밑과 지수가 같은 특수한 지수함수인 [math(y = x^{x})][9]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위 함수의 변형인 [math(y = x^{1 \over x})]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위 함수의 또 다른 변형인 [math(y = x^{-x})]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3. 극한값


곧, [math(a>1)]이면 [math(x)]가 증가할수록 그래프가 무한히 위로 올라가고, 감소할수록 [math(x)]축과 한없이 가까워진다는 뜻이다. 반면 [math(0<a<1)]이면 [math(x)]이 증가할수록 그래프가 [math(x)]축에 한없이 가까워지고, 감소할수록 그래프가 무한히 위로 올라간다는 뜻이다.

이때 어느 경우든 함수의 그래프가 [math(x)]축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점근선은 [math(x)]축이다.

4. 미적분

5. 등비수열

등비수열일반항은 [math(a_n=ar^{n-1})]이므로, 자연수만을 정의역으로 하는 지수함수로 볼 수 있다. 등비수열 참고.

6. 여담


대학 수준의 해석학이나 복소함수론에서[16] 지수 함수를 정의할 때에는, 밑이 [math(a)]인 지수함수를 먼저 정의하는 게 아니라 먼저 [math(e)]를 밑으로 하는 지수함수 [math(e^z = \exp z \left(z \in \mathbb{C}\right))][17]를 정의하고 그 다음에 밑이 [math(e)]가 아니라 [math(a)]인 경우를 정의하기도 한다.
[math(e^z = \exp z := \displaystyle \sum_{n=0}^{\infty}{\frac{z^n}{n!}} = 1 + z + \frac{z^2}{2!} + \frac{z^3}{3!} + \frac{z^4}{4!} + \cdots)][18]이라고 정의한 다음, [math(a^z)]을 [math(a^z = \exp\left(z \cdot \log{a}\right) = e ^ {z \cdot \log{a}})][19]로 정의하는 식.
또한 해당 정의를 행렬에 적용시킨 matrix exponential(행렬지수)이라는 것도 존재한다. 정사각행렬 [math(A)]에 대해 [math(e^A = \exp{A})]를 [math(\displaystyle \sum_{n=0}^{\infty}{\frac{A^n}{n!}} = I + A + \frac{A^2}{2!} + \frac{A^3}{3!} + \frac{A^4}{4!} + \cdots)]라고 정의하는데, 마찬가지로 각 성분마다 값이 수렴하므로 존재성이 보장된다. 하지만 보통 계산은 저렇게 하지 않고, 적분변환이나 대각화, 삼각화를 이용하여 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행렬지수는 주로 선형 연립미분방정식의 동차해를 구할 때 이용된다.

7. 관련 문서



[1] 일반적인 다항식과는 달리, 거듭제곱 자리에 정의역이 들어가기 때문. 다만 테일러 급수를 이용하면 무한차 다항식으로 표현이 가능하며, 특히 밑이 [math(e)]인 지수함수는 매클로린 급수가 매우 단순하게 생겼다.[2] [math(a)]가 0이면 정의역이 [math(x>0)]이 되고 치역이 [math(0)]뿐이다. [math(a)]가 0보다 작으면, 음의 정수일 때에만 함숫값이 실수이며 [math(a)]가 정수가 아닌 음의 실수라면 함숫값이 허수이므로, 공역이 실수 혹은 그의 부분집합이라면 그래프가 불연속적이다. [math(a<0)]의 경우 오일러의 등식을 이용해서 미분과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다.[3] 다만 이 두 함수가 복소수로 매개되어 있음을 보이기 위해서는 오일러 공식이 필요하다.[A] 그말인즉슨 y축 방향으로 평행이동을 시키지 않았을 경우[5] 이 집합은 무한 지수 탑 함수 [math(y=-\dfrac{W(-\operatorname{Log}{x})}{{\operatorname{Log}{x} }})]가 실수 공역을 갖는 집합이기도 하다.[6] 얼핏 보면 쌍곡선인것 같지만 사실은 아니다. 그짓말[7] 형태를 보면 알겠지만 확률 밀도 함수이다. 가우스 함수라고도 한다.[A] 그말인즉슨 y축 방향으로 평행이동을 시키지 않았을 경우[9] 테트레이션을 이용하여 [math(y = x \uparrow\uparrow 2)] 로 표현할 수 있다.[10] [math(x^x)]에 자연로그를 취한 다음 로피탈의 정리로 풀면 된다.[11] 부정적분식이 [math( \displaystyle \int a^{1 \over x} dx = x a^{1 \over x} - \text{Ei}({\ln a \over x}) \ln a + C)]로, Ei는 지수 적분 함수라는 특수함수이다.[12] 적분식이 [math(\displaystyle \int e^{-x^2} dx = \dfrac{\sqrt{\pi}}{2} \mathrm{erf}(x) + C)]로, [math(\mathrm{erf}(x))]는 오차함수(Error Function)라는 특수함수이다.[13] 울프람 알파에서는 (no result found in terms of standard mathematical functions)라고 표시된다. 다만 특수함수는 누군가가 직접 만들면 되긴 한다. 외국 포럼에서도 [math(x^x)]의 적분이 어떻게 되는지 담론이 오가고 있다.[14] [math([0,1])] 구간에 한정해서 2학년의 꿈이 정의되어 있기는 하다.[15] 예를들면 과학의 발전속도가 이러한 양상을 띤다.[16] 딱히 복소함수론이 아니더라도 고등학교 이후의 수학에서는 지수함수 관련으로 e 이외의 수는 들러리 취급당한다.[17] 같은 표기를 왼쪽처럼 쓰기도 하고 오른쪽처럼 쓰기도 한다. 복소수에서의 지수함수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우측 표기를 쓰는 경우가 있다.[18] 여기서 [math(n! = n \times \left(n-1\right) \times \left(n-2\right) \times \cdots \times 2 \times 1)]. 팩토리얼 문서 참고.[19] 여기에서의 log는 상용로그가 아니라 밑이 e인 자연로그를 말한다. 대한민국 고등학교에서 ln이라고 쓰던 바로 그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