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수학에서 완비성(完備性, completeness)은 어떤 공간이 '빈 틈 없이 메워져 있음'을 의미한다. 완비성을 갖는 공간 안에서는 극한의 수렴성을 논하는 것이 가능해, 해석적 방법을 이용하여 공간의 성질과 공간에서 정의된 함수를 분석할 수 있다.2. 정의
2.1. 실수집합
실수열 [math(\{a_n\})]이 [math(m, n\to\infty)]에 따라 [math(|a_m-a_n|\to0)]을 만족시키면 수열 [math(\{a_n\})]을 코시 수열(cauchy sequence)라고 한다. 즉, 코시 수열 [math(\{a_n\})]은 임의의 [math(\epsilon>0)]에 대하여[math(N<m, n \Longrightarrow |a_m-a_n|<\epsilon)]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math(N)]이 존재하는 수열이다. 이는 항의 번호가 커질수록 항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짐을 의미한다. 실수의 완비성은 임의의 코시열 [math(\{a_n\})]의 극한 [math(\alpha\in\mathbb{R})]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실수의 완비성은 위로(아래로) 유계인 집합이 상한(하한)을 가짐과 동치이다.
실수의 완비성으로부터 아르키메데스 성질이 유도된다. 즉, 임의의 양의 실수 [math(a)]와 [math(b)]에 대하여 [math(na>b)]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math(n)]이 존재한다
2.2. 거리공간
거리함수 [math(d:X\times X\to[0,\infty))]가 주어진 거리공간 [math((X, d))]에 대하여 점렬 [math(\{a_n\})]이 [math(m, n\to\infty)]에 따라 [math(d(x_m,x_n)\to 0)]을 만족시키면 점렬 [math(\{a_n\})]을 거리공간 [math(X)]의 코시열이라고 한다. 즉, 코시열 [math(\{a_n\})]은 임의의 [math(\epsilon>0)]에 대하여[math(N<m, n \Longrightarrow d(a_m-a_n)<\epsilon)]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math(N)]이 존재하는 점렬이다.3. 예시
- 유리수 집합 [math(\mathbb{Q})]는 완비성을 갖지 않는다. 집합
{{{#!wiki style="margin:1.5em 1.5em ;text-align: center;"
}}}는 임의의 [math(x\in S)]에 대하여 [math(x<2)]이므로 위로 유계인 집합이지만 [math(\sup S=\sqrt{2}\notin\mathbb{Q})]이다.
- 복소수 집합 [math(\mathbb{C})]는 완비성을 갖는다. 복소수
{{{#!wiki style="margin:1.5em 1.5em ;text-align: center;"
}}}에 대하여 복소수의 크기
{{{#!wiki style="margin:1.5em 1.5em ;text-align: center;"
[math(|z|=\sqrt{x^2+y^2})]}}}는 거리{{{#!wiki style="margin:1.5em 1.5em ;text-align: center;"
[math(d(z,w)=|z-w|)]}}}를 유도하는 노름이다. 코시 복소수열 [math(\{z_n\})]에 대하여 [math(z_n=x_n+iy_n)]이라 하면 [math(m, n\to\infty)]에 따라 [math(\sqrt{(x_m-x_n)^2+(y_m-y_n)^2}\to0)]이므로 [math(|x_m-x_n|, |y_m-y_n|\to0)]이다. 실수의 완비성에 의해 두 실수열 [math(\{x_n\}, \{y_n\})]은 각각 극한 [math(x, y)]를 갖고, [math(z_n \to z=x+iy)]이다.
- 닫힌 구간 [math([0, 1])] 위에서 리만 적분 가능한 함수 공간 [math(\mathcal{R}[0,1])]에서 동치관계
{{{#!wiki style="margin:1.5em 1.5em ;text-align: center;"
[math(\displaystyle d(f,g)=\int_a^b|f(x)-g(x)|\, dx)]
가 부여된 거리 공간이다. 가산집합{{{#!wiki style="margin:1.5em 1.5em ;text-align: center;"
}}}에 대하여 [math(I_n=\{r_1,\ldots r_n\})]이라 할 때, 지시함수 [math(1_{I_n})]은 유한 개의 불연속 점을 가져 리만 적분 가능하지만 함수열 [math(\{I_n\})]의 극한 함수인 [math(1_I)]는 모든 [math([0,1])]에서 불연속이므로 리만 적분 불가능하다. 따라서 [math(R[0,1])]은 완비성을 갖지 않는다.
- 닫힌 구간 [math([0, 1])] 위에 르베그 측도 [math(m)]이 부여되었을 때, 르베그 적분가능 함수 공간인 [math(L^1([0,1],m))]은 완비 거리 공간이다. 일반적으로, [math(L^p)] 공간은 완비공간이다.
- 힐베르트 공간은 완비 내적공간이다.
- 바나흐 공간은 완비 노름공간이다.
4. 성질
4.1. 완비화
거리 공간 [math((X, d))]의 코시열의 집합을 [math(\mathcal{X})]라 할 때, 삼각부등식과 실수의 완비성에 의해[math(\displaystyle\overline{d}\left(x_n, y_n\right)=\lim_{n\to\infty}d\left(x_n, y_n\right))]
로 정의된 함수 [math(\overline{d}:\mathcal{X\times X}\to [0,\infty))]는 [math(\mathcal{X})]의 유사 거리함수이다. 유사 거리 공간 [math(\left(\mathcal{X}, \overline{d}\,\right))]에 동치 관계[math(\{a_n\}\sim\{b_n\}\Longleftrightarrow \overline{d}\left(\{a_n\},\{b_n\}\right)=0)]
를 부여할 때, 동치류 [math(\overline{X}=\mathcal{X}/\sim)]는 [math(X)]를 조밀한 부분집합으로 갖는 완비 거리 공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