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05 20:15:30

부정형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문법 개념에 대한 내용은 부정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우왁굳의 고정 멤버에 대한 내용은 부정형인간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해석학·미적분학
Analysis · Calculu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26455A>실수와 복소수실수(실직선 · 아르키메데스 성질) · 복소수(복소평면 · 극형식 · 편각) · 근방 · 유계 · 콤팩트성 · 완비성
함수함수 · 조각적 정의 · 항등함수 · 역함수 · 멱함수 · 다변수함수(동차함수 · 음함수) · 다가 함수 · 함수의 그래프 · 좌표계 · 닮은꼴 함수 · 극값 · 볼록/오목 · 증감표
초등함수(대수함수 · 초월함수 · 로그함수 · 지수함수 · 삼각함수) · 특수함수 · 범함수(변분법 · 오일러 방정식) · 병리적 함수
극한·연속 함수의 극한 · 수열의 극한 · 연속함수 · ε-δ 논법 · 수렴(균등수렴) · 발산 · 부정형 · 점근선 · 무한대 · 무한소 · 특이점 · 0.999…=1
중간값 정리 · 최대·최소 정리 · 부동점 정리 · 스털링 근사 · 선형근사(어림)
수열·급수 수열(규칙과 대응) · 급수(멱급수 · 테일러 급수(일람) · 조화급수 · 그란디 급수(라마누잔합) · 망원급수(부분분수분해)) · 그물
오일러 수열 · 베르누이 수열 · 월리스 곱
단조 수렴 정리 · 슈톨츠-체사로 정리 · 축소구간정리 · 급수의 수렴 판정 · 리만 재배열 정리 · 바젤 문제 · 파울하버의 공식 · 오일러-매클로린 공식 · 콜라츠 추측미해결
미분 미분 · 도함수(이계도함수 · 도함수 일람) · 곱미분 · 몫미분 · 연쇄 법칙 · 임계점(변곡점 · 안장점) · 매끄러움
평균값 정리(롤의 정리) · 테일러 정리 · 역함수 정리 · 다르부 정리 · 로피탈 정리
립시츠 규칙 · 뉴턴-랩슨 방법 · 유율법 · 경사하강법
적분 적분 · 정적분(예제) · 스틸체스 적분 · 부정적분(부정적분 일람) · 부분적분(LIATE 법칙 · 도표적분법 · 예제) · 치환적분 · 이상적분(코시 주요값)
미적분의 기본정리 · 적분의 평균값 정리
리시 방법 · 2학년의 꿈
다변수·벡터 미적분 편도함수 · 미분형식 · · 중적분(선적분 · 면적분 · 야코비안) ·야코비 공식
라그랑주 승수법 · 오일러 동차함수 정리 · 선적분의 기본정리 · 스토크스 정리(발산 정리 · 그린 정리변분법
미분방정식 미분방정식(풀이) · 라플라스 변환
측도론 측도 · 가측함수 · 곱측도 · 르베그 적분 · 절대 연속 측도 · 라돈-니코딤 도함수
칸토어 집합 · 비탈리 집합
복소해석 코시-리만 방정식 · 로랑 급수 · 유수 · 해석적 연속 · 오일러 공식(오일러 등식 · 드 무아브르 공식) · 리우빌의 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함수해석 공간 위상 벡터 공간 · 국소 볼록 공간 · 거리공간 · 프레셰 공간 · 노름공간 · 바나흐 공간 · 내적공간 · 힐베르트 공간 · Lp 공간
작용소 수반 작용소 · 에르미트 작용소 · 정규 작용소 · 유니터리 작용소 · 컴팩트 작용소
대수 C*-대수 · 폰 노이만 대수
정리 한-바나흐 정리 · 스펙트럼 정리 · 베르 범주 정리
이론 디랙 델타 함수(분포이론)
조화해석 푸리에 해석(푸리에 변환 · 아다마르 변환)
관련 분야 해석 기하학 · 미분 기하학 · 해석적 정수론(1의 거듭제곱근 · 가우스 정수 · 아이젠슈타인 정수 · 소수 정리 · 리만 가설미해결) · 확률론(확률 변수 · 중심극한정리) · 수치해석학 · 카오스 이론 · 분수계 미적분학 · 수리물리학(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미해결 · 나비에 스토크스 방정식의 해 존재 및 매끄러움미해결) · 수리경제학(경제수학) · 공업수학
기타 퍼지 논리 · 합성곱
}}}}}}}}} ||


1. 개요2. 종류
2.1. ∞/∞ 꼴
2.1.1. 부정형인 이유2.1.2. 극한값 구하는 법2.1.3. 예시
2.2. ∞−∞ 꼴
2.2.1. 부정형인 이유2.2.2. 극한값 구하는 법2.2.3. 예시
2.3. 0/0 꼴
2.3.1. 부정형인 이유2.3.2. 극한값 구하는 법2.3.3. 예시
2.4. 0×∞ 꼴
2.4.1. 부정형인 이유2.4.2. 극한값 구하는 법2.4.3. 예시
2.5. 1^∞ 꼴
2.5.1. 부정형인 이유2.5.2. 극한값 구하는 법2.5.3. 예시
2.6. ∞^0 꼴
2.6.1. 부정형인 이유2.6.2. 극한값 구하는 법2.6.3. 예시
2.7. 0^0 꼴
2.7.1. 부정형인 이유2.7.2. 극한값 구하는 법2.7.3. 예시
3. 부정형으로 혼동하기 쉬운 경우
3.1. 0^∞ 꼴

1. 개요

/ indeterminate form

부정형이란 주로 사칙연산이 한 가지 값으로 잘 정의되지 않는 것을 뜻한다. 극한에서 많이 사용하며, 반대말은 확정형(, determinate form)이다. 부정형인 식은 각 부분의 극한값은 알아도 막상 전체 식의 극한값을 바로 판정하기 어려워서 식을 확정형으로 적당히 변형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부정형'은 명제의 '부정(否定)'과는 의미가 다르다.

이하 로피탈의 정리를 통해 부정형을 확정형으로 만든 것은 [math(\xlongequal{\textsf{l'H\^opital}})]로 표시한다.

2. 종류

[math({\infty}/{\infty})], [math(0/0)], [math(0\times\infty)], [math(\infty-\infty)], [math(1^{\infty})], [math(\infty^0)], [math(0^0)] 꼴 등이 있다. 형태는 똑같이 나오더라도 아래 예시와 같이 최종적인 극한값은 다르게 나온다는 이유에서 '부정형'으로 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부정형이 나오면, 최고차항의 차수와 계수를 비교하거나 극한값이 결정되는 확정형으로 식을 적절히 변환해야 한다. 확정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단, [math(c)]는 상수이다.
참고로 [math(0\times\infty)] 꼴이 부정형인 이유는 무한대는 수가 아니기 때문이다.

부정형을 확정형으로 바꿀 때 해당 확정형이 상수이면 '제거 가능 특이점(removable singularity)', 그렇지 않을 경우 로랑 급수로 전개한 결과에 따라 분수항이 유한 개인 '극점(pole)'과 분수항이 무한 개인 '본질적 특이점(essential singularity)'으로 나뉜다.

2.1. ∞/∞ 꼴

2.1.1. 부정형인 이유

상수 [math(a>0)], [math(b>0)]에 대해 [math(f(x)=ax)], [math(g(x)=bx)]일 때

[math(\begin{aligned} \displaystyle\lim_{x\to\infty}f(x)&=\lim_{x\to\infty}g(x)=\infty\\\displaystyle\lim_{x\to\infty}\dfrac{f(x)}{g(x)}&=\dfrac ab\end{aligned})]

그러면 [math(a)]와 [math(b)]의 값에 따라서 [math(\infty/\infty)]의 값은 달라지므로, [math(\infty/\infty)]는 부정형이다.

2.1.2. 극한값 구하는 법

[math(\displaystyle\lim_{x\to\infty}f(x)=\lim_{x\to\infty}g(x)=\infty)]이고 [math(f(x))]를 최고차항이 [math(ax^n)]인 함수, [math(g(x))]를 최고차항이 [math(bx^m)]인 다항함수라 하면, 극한값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단, [math(a)], [math(b)], [math(m)], [math(n)]은 0이 아닌 상수이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lim_{x\to\infty}\dfrac{f(x)}{g(x)}&=\lim_{x\to\infty}\dfrac{ax^n+\cdots}{bx^m+\cdots}\\&=\begin{cases}\begin{aligned}&\infty\quad &(m<n,\;ab>0)\\ -&\infty\quad &(m<n,\;ab<0)\\&0\quad &(m>n) \\&\dfrac{a}{b}\quad &(m=n)\end{aligned}\end{cases} \end{aligned})]

분모와 분자에 각각 역수를 취하면 [math(0/0)] 꼴이 된다. 또한, [math(0/0)]과 함께, 로피탈의 정리를 이용하여 확정형으로 변환할 수 있는 부정형이다.

또한, [math(\displaystyle\lim_{n\to\infty}\dfrac{a^n+c}{b^n+d}\;(b\neq0))] 꼴의 극한값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math(\displaystyle\lim_{n\to\infty}\dfrac{a^n+c}{b^n+d}=\begin{cases}\infty\quad&(a/b>1)\\1\quad&(a/b=1)\\0\quad&(-1<a/b<1)\\\textsf{\footnotesize진동}\quad&(a/b\leq-1)\end{cases})]

2.1.3. 예시

2.2. ∞−∞ 꼴

2.2.1. 부정형인 이유

위에서 정의한 [math(f(x))], [math(g(x))]에 대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lim_{x\to\infty}\log f(x)&=\lim_{x\to\infty}\log g(x)=\infty \\\displaystyle\lim_{x\to\infty}\log\dfrac{f(x)}{g(x)}&=\lim_{x\to\infty}\{\log f(x)-\log g(x)\}=\log\dfrac{a}{b} \end{aligned})]

2.2.2. 극한값 구하는 법

[math(\displaystyle\lim_{x\to\infty}f(x)=\lim_{x\to\infty}g(x)=\infty)]일 때, 만약 [math(f(x)=x+1)], [math(g(x)=x-2)]와 같이 변수가 소거되는 경우라면 [math(x+1-(x-2)=3)]으로 쉽게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부분분수분해를 이용하여 [math(0/0)] 꼴로 변환한다.

[math(\dfrac{\cfrac1{g(x)}-\cfrac1{f(x)}}{\cfrac1{f(x)g(x)}})]

혹은 다음과 같이 합·차 공식을 이용하여 [math(\infty/\infty)] 꼴로 변환하는 것도 방법이다.

[math(f(x)-g(x)=\dfrac{\{f(x)\}^2-\{g(x)\}^2}{f(x)+g(x)})]

그러나 꼭 이렇게 하지 않아도, [math(f(x)=x^2+x)], [math(g(x)=x-1)]일 때 [math(\displaystyle\lim_{x\to\infty}\{f(x)-g(x)\}=\infty)]가 되듯이 별 어려움 없이 답이 나오는 경우도 많다.

2.2.3. 예시

2.3. 0/0 꼴

2.3.1. 부정형인 이유

위에서 정의한 [math(f(x),g(x))]에 대해

[math(\begin{aligned} \displaystyle\lim_{x\to\infty}\dfrac{1}{f(x)}&=\lim_{x\to\infty}\dfrac{1}{g(x)}=0\\\displaystyle\lim_{x\to\infty}\cfrac{\dfrac{1}{f(x)}}{\dfrac{1}{g(x)}}&=\lim_{x\to\infty}\dfrac{g(x)}{f(x)}=\dfrac ba\end{aligned})]

2.3.2. 극한값 구하는 법

분모와 분자를 약분하여 확정형으로 변환하면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math({\infty}/{\infty})]와 함께, 로피탈의 정리를 이용하여 확정형으로 변환할 수 있는 부정형이다.

분모와 분자에 각각 역수를 취하면 [math({\infty}/{\infty})]가 된다.

2.3.3. 예시

2.4. 0×∞ 꼴

2.4.1. 부정형인 이유

위에서 정의한 [math(f(x),g(x))]에 대해

[math(\begin{aligned} \displaystyle\lim_{x\to\infty}\dfrac{1}{f(x)}&=0\\\ \lim_{x\to\infty}g(x)&=\infty\\\displaystyle\lim_{x\to\infty}\dfrac{g(x)}{f(x)}&=ba\end{aligned})]

2.4.2. 극한값 구하는 법

[math(\displaystyle\lim_{x\to\infty}f(x)=\displaystyle\lim_{x\to\infty}g(x)=\infty)]이고 [math(f(x))]를 최고차항이 [math(ax^n)]인 함수, [math(g(x))]를 최고차항이 [math(bx^m)]인 다항함수일 때에 한하여, 극한값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단, [math(a)], [math(b)], [math(m)], [math(n)]은 0이 아닌 상수이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lim_{x\to\infty}f(x)g(x)&=\lim_{x\to\infty}(ax^n+\cdots)(bx^m+\cdots)\\&=\begin{cases}\begin{aligned}&\infty\quad &(m+n>0,\;ab>0)\\-&\infty\quad &(m+n>0,\;ab<0)\\ &0\quad &(m+n<0)\\& ab\quad &(m+n=0)\end{aligned}\end{cases}\end{aligned})]

2.4.3. 예시

2.5. 1^∞ 꼴

2.5.1. 부정형인 이유

[math(1^\infty=(e^{\ln{1}})^{\infty}=e^{\ln{1}\times \infty}=e^{0\times \infty})]

[math(0\times \infty)]는 부정형이므로 [math(1^{\infty})]도 부정형이다.

2.5.2. 극한값 구하는 법

2.5.3. 예시

2.6. ∞^0 꼴

2.6.1. 부정형인 이유

[math(\infty^{0}=\infty^{\ln{1}}=1^{\ln{\infty}}=1^{\infty})]

[math(1^{\infty})] 꼴이 부정형이므로 [math(\infty^0)] 꼴도 부정형이다.

2.6.2. 극한값 구하는 법

2.6.3. 예시

2.7. 0^0 꼴

2.7.1. 부정형인 이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0의 0제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7.2. 극한값 구하는 법

2.7.3. 예시

3. 부정형으로 혼동하기 쉬운 경우

실제로는 부정형이 아닌데 얼핏 부정형으로 혼동하기 쉬운 경우를 서술한다.

3.1. 0^∞ 꼴

[math(\displaystyle\lim_{x\to c}f(x)=0)], [math(\displaystyle\lim_{x\to c}g(x)=\infty)]일 때, [math(\displaystyle\lim_{x\to c}f(x)^{g(x)})]을 고려하자. 극한의 정의에 따라 적절한 [math(c)]의 근방에서 [math(-0.5<f(x)<0.5)]이므로 해당 근방에서

[math(\displaystyle\dfrac{-1}{2^{g(x)}}<f(x)^{g(x)}<\dfrac{1}{2^{g(x)}})]

이다. 여기에 조임 정리를 쓰면 값이 0으로 결정되므로 부정형이 아니다. 요컨대 [math(0^{\infty}=0)]이며, 1을 아무리 제곱해도 1인데도 [math(1^{\infty})]은 1로 결정되지 않는 것과는 사뭇 다르다. 이렇게 보면 1의 무한제곱이라던가 0을 무한히 곱한다던가 그런 것도 부정형이 아닐 수도 있다고 생각되겠지만 이는 무한대를 수의 관점으로 볼 경우에 한했을 뿐이다.[4]


[1] 이는 다비트 힐베르트방을 옮기는 식으로 손님을 무한히 수용 가능한 호텔에 비유한 바 있다.[2] [math(\dfrac{c}{\pm\infty}=0)]인 이유는 [math(\displaystyle \lim_{x\to \pm\infty} \frac{c}{x}=0)]인데, [math(x)] 대신 양의 무한대와 음의 무한대를 각각 대입하면 [math(\frac{c}{\pm\infty}=0)]이 된다.[3] [math(\pi(x))]는 소수 계량 함수, [math(\operatorname{li}(x))]는 로그 적분 함수이다.[4] 더 나아가 무한소를 0으로 곱하거나 나누는 것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