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7 13:10:24

분수계 미적분학

해석학·미적분학
Analysis · Calculu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26455A>실수와 복소수실수(실직선 · 아르키메데스 성질) · 복소수(복소평면 · 극형식 · 편각) · 근방 · 유계 · 콤팩트성 · 완비성
함수함수 · 조각적 정의 · 항등함수 · 역함수 · 멱함수 · 다변수함수(동차함수 · 음함수) · 다가 함수 · 함수의 그래프 · 좌표계 · 닮은꼴 함수 · 극값 · 볼록/오목 · 증감표
초등함수(대수함수 · 초월함수 · 로그함수 · 지수함수 · 삼각함수) · 특수함수 · 범함수(변분법 · 오일러 방정식) · 병리적 함수
극한·연속 함수의 극한 · 수열의 극한 · 연속함수 · ε-δ 논법 · 수렴(균등수렴) · 발산 · 부정형 · 점근선 · 무한대 · 무한소 · 특이점 · 0.999…=1
중간값 정리 · 최대·최소 정리 · 부동점 정리 · 스털링 근사 · 선형근사(어림)
수열·급수 수열(규칙과 대응) · 급수(멱급수 · 테일러 급수(일람) · 조화급수 · 그란디 급수(라마누잔합) · 망원급수(부분분수분해)) · 그물
오일러 수열 · 베르누이 수열 · 월리스 곱
단조 수렴 정리 · 슈톨츠-체사로 정리 · 축소구간정리 · 급수의 수렴 판정 · 리만 재배열 정리 · 바젤 문제 · 파울하버의 공식 · 오일러-매클로린 공식 · 콜라츠 추측미해결
미분 미분 · 도함수(이계도함수 · 도함수 일람) · 곱미분 · 몫미분 · 연쇄 법칙 · 임계점(변곡점 · 안장점) · 매끄러움
평균값 정리(롤의 정리) · 테일러 정리 · 역함수 정리 · 다르부 정리 · 로피탈 정리
립시츠 규칙 · 뉴턴-랩슨 방법 · 유율법 · 경사하강법
적분 적분 · 정적분(예제) · 스틸체스 적분 · 부정적분(부정적분 일람) · 부분적분(LIATE 법칙 · 도표적분법 · 예제) · 치환적분 · 이상적분(코시 주요값)
미적분의 기본정리 · 적분의 평균값 정리
리시 방법 · 2학년의 꿈
다변수·벡터 미적분 편도함수 · 미분형식 · · 중적분(선적분 · 면적분 · 야코비안) ·야코비 공식
라그랑주 승수법 · 오일러 동차함수 정리 · 선적분의 기본정리 · 스토크스 정리(발산 정리 · 그린 정리변분법
미분방정식 미분방정식(풀이) · 라플라스 변환
측도론 측도 · 가측함수 · 곱측도 · 르베그 적분 · 절대 연속 측도 · 라돈-니코딤 도함수
칸토어 집합 · 비탈리 집합
복소해석 코시-리만 방정식 · 로랑 급수 · 유수 · 해석적 연속 · 오일러 공식(오일러 등식 · 드 무아브르 공식) · 리우빌의 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함수해석 공간 위상 벡터 공간 · 국소 볼록 공간 · 거리공간 · 프레셰 공간 · 노름공간 · 바나흐 공간 · 내적공간 · 힐베르트 공간 · Lp 공간
작용소 수반 작용소 · 에르미트 작용소 · 정규 작용소 · 유니터리 작용소 · 컴팩트 작용소
대수 C*-대수 · 폰 노이만 대수
정리 한-바나흐 정리 · 스펙트럼 정리 · 베르 범주 정리
이론 디랙 델타 함수(분포이론)
조화해석 푸리에 해석(푸리에 변환 · 아다마르 변환)
관련 분야 해석 기하학 · 미분 기하학 · 해석적 정수론(1의 거듭제곱근 · 가우스 정수 · 아이젠슈타인 정수 · 소수 정리 · 리만 가설미해결) · 확률론(확률 변수 · 중심극한정리) · 수치해석학 · 카오스 이론 · 분수계 미적분학 · 수리물리학(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미해결 · 나비에 스토크스 방정식의 해 존재 및 매끄러움미해결) · 수리경제학(경제수학) · 공업수학
기타 퍼지 논리 · 합성곱
}}}}}}}}} ||

1. 개요2. 직관3. 형태와 성질4. 특징5. 참고자료

1. 개요

fractional calculus /

분수계 미적분학은 미분연산자와 적분연산자의 실수제곱과 복소수제곱에 대한 여러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한 수학적 분석의 한 갈래이다. 미분 연산자 [math(D)][1]와 적분 연산자 [math(I)][2]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D f(x) &= \frac{\rm d}{{\rm d}x} f(x) \\
I f(x) &= \int_0^x f(t) \,{\rm d}t
\end{aligned} )]

그리고 자연수 [math(n)]에 대해 미분연산자 및 적분연산자의 [math(n)]제곱, 즉 양의 정수계 도함수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정의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D^n f(x) &= ( \underbrace{D \circ D \circ \cdots \circ D}_n ) f(x) \\
&= \underbrace{D(D( \cdots D(D}_n f(x))\cdots)) \\
I^n f(x) &= ( \underbrace{I \circ I \circ \cdots \circ I}_n ) f(x) \\
&= \underbrace{I(I( \cdots I(I}_n f(x))\cdots))
\end{aligned} )]

이때 [math(n)]을 자연수가 아닌 실수 및 복소수로 확장시키는 것이 이 분수계 미적분학의 목적이다.

2. 직관

[math(x>0)]에서 정의된 함수 [math(f(x))]에 관해서 [math(0)]에서 [math(x)]까지 적분하는 것을 앞서 적분 연산자 [math(I)]로 삼았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 f(x) = \int_0^x f(t) \,{\rm d}t
\end{aligned} )]

이를 [math(f(x))]에 두 번 취해주게 되면 아래와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2 f(x) = \int_0^x \!\!\left( \int_0^t f(s) \,{\rm d}s \!\right) \!{\rm d}t
\end{aligned} )]

[math(f(x))]에 [math(n)]번 적용한다고 하면 결과적으로 아래의 식이 된다. 수학적 귀납법으로 임의의 [math(n)]에 대해 성립함을 쉽게 보일 수 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 f(x) = \frac1{(n-1)!} \int_0^x (x-t)^{n-1} f(t) \,{\rm d}t
\end{aligned} )]
[증명]
-------
  1. 우선 [math(n=1)]일 때의 증명은 다음과 같다.
    {{{#!wiki style="text-align:center"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1 f(x) = I f(x) = \int_0^x f(t) \,{\rm d}t = \frac1{0!} \int_0^x (x-t)^0 f(t) \,{\rm d}t
\end{aligned} )]}}}
  1. 이제 자연수 [math(k)]에 대하여 [math(n=k)]일 때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math(n=k+1)]일 때에 대한 증명은 아래와 같다.
    우선, 라이프니츠 적분 공식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wiki style="text-align:center"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rm d}{{\rm d}x} \biggl( \frac1{k!} \int_0^x (x-t)^k f(t) \,{\rm d}t \biggr) \!&= \frac1{k!} \int_0^x \frac{\partial}{\partial x} (x-t)^k f(t) \,{\rm d}t \\
&= \frac1{(k-1)!} \int_0^x (x-t)^{k-1} f(t) \,{\rm d}t
\end{aligned} )]}}}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wiki style="text-align:center"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k+1} f(x) &= \int_0^x I^k f(t) \,{\rm d}t \\
&= \int_0^x \frac1{(k-1)!} \int_0^t (t-s)^{k-1} f(s) \,{\rm d}s \,{\rm d}t \\
&= \int_0^x \frac{\rm d}{{\rm d}t} \biggl( \frac1{k!} \int_0^t (t-s)^k f(s) \,{\rm d}s \biggr) {\rm d}t \\
&= \!\biggl[ \frac1{k!} \int_0^t (t-s)^k f(s) \,{\rm d}s \,\biggr]_{t=0}^{t=x} \\
&= \frac1{k!} \int_0^x (x-s)^k f(s) \,{\rm d}s
\end{aligned} )]}}}
따라서 [math(n=k+1)]일 때도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i)과 (ii)에 의해 모든 자연수 [math(n)]에 대해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여기서 [math(n)]을 복소수 [math(\alpha)]로 확장하는 것이 목표다. 팩토리얼감마 함수로 치환해주게 되면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alpha f(x) = \frac1{\Gamma(\alpha)} \int_0^x (x-t)^{\alpha-1} f(t) \,{\rm d}t
\end{aligned} )]

이때 감마 함수는 [math(\operatorname{Re}(\alpha)>0)]일 때 절대수렴하므로, 이 구간 내의 모든 실수와 복소수에 대해 위 등식이 성립할 것이라는 직관이 들게 된다.

그러나 임의의 함수가 항상 미분 가능하거나 항상 적분 가능한 건 아니라는 점이 분수계 미적분학을 적용할 때의 걸림돌이다. 위 식을 적용하려면 함수가 다음의 세 조건을 전부 만족해야 한다.

3. 형태와 성질

정수차수 다항식에 대한 분수계 미분연산은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rm d}^n}{{\rm d}x^n} \,x^m = \frac{\Gamma(m+1)}{\Gamma(m-n+1)} \,x^{m-n}
\end{aligned} )]

반면, 일반화 형태는 조제프 푸리에가 1822년에 "열 분석 이론(Théorie analytique de la chaleur)"에서 정수차수가 아닌 미분에 대해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형태로 정의했다.[4]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rm d}^n}{{\rm d}x^n} \,f(x) = \frac1{2\pi} \int_{-\infty}^\infty \lambda^n \!\int_{-\infty}^\infty f(t) \cos \biggl( \lambda x -tx +\frac{n\pi}2 \biggr) {\rm d}t \,{\rm d}\lambda
\end{aligned} )]
미분연산임에도 적분연산을 통해 정의되는 이유는 미분연산자가 존재한다고 가정했을 경우에 대해 다음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이후 1832년, 리우빌의 정리로 유명한 조제프 리우빌이 부정적분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단, [math(x\in\R)], [math(n\in\mathbb{C})], [math(\operatorname{Re}(n)>0)]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 f(x) = \frac1{(-1)^n \,\Gamma(n)} \int_0^\infty f(x+t) \,t^{n-1} \,{\rm d}t
\end{aligned} )]

1847년, 베른하르트 리만이 이를 다음과 같이 다시 정리하였다. 이를 리만-리우빌 분수계 부정적분이라 불린다. (단, [math(x\in\R)], [math(n\in\mathbb{C})], [math(\operatorname{Re}(n)>0)]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 f(x) = \frac1{\Gamma(n)} \int_0^x (x-t)^{n-1} \,f(t) \,{\rm d}t
\end{aligned} )]

리만-리우빌 분수계 부정적분은 다음 성질을 가진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alpha (I^\beta f(x)) &= I^\beta (I^\alpha f(x)) = I^{\alpha+\beta} f(x) \\
&= \frac1{\Gamma(\alpha+\beta)} \int_0^x (x-t)^{\alpha+\beta-1} \,f(t) \,{\rm d}t
\end{aligned} )]
정수차수에서 미분과 적분이 서로 역연산 관계라는 것이 분수계에서도 적용된다. 실제로 리만-리우빌 분수계 부정적분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계산식을 얻을 수 있다.
[math(0<\alpha<1)]인 실수 [math(\alpha)]에 대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D^{n+\alpha} f(x) = D^{n+1} (I^{1-\alpha} f(x))
\end{aligned} )]

여기서 [math(n=0)]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D^\alpha f(x) = D^1 (I^{1-\alpha} f(x))
\end{aligned} )]

여기에 위의 분수계 부정적분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아진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D^\alpha f(x) &= D^1 (I^{1-\alpha} f(x)) \\
&= \frac{\rm d}{{\rm d}x} \,\frac{\Gamma(m+1)}{\Gamma(m-\alpha+2)} \,x^{m-\alpha+1} \\
&= \frac{\Gamma(m+1)}{\Gamma(m-\alpha+1)} \,x^{m-\alpha}
\end{aligned} )]

그런데 이 마지막 식은 오일러가 직관에 따라 제시한 공식과 형태가 일치한다.

4. 특징

원래는 미분을 일반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으나, 미분연산자가 존재할 경우 교환법칙과 결합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기에, 적분의 역연산으로서 미분을 정의하는 것으로 이걸 우회했다고 알려져 있다. 이렇게 역연산으로 정의한 분수계 미분의 공식을 직관적으로 처음 제시한 것은 레온하르트 오일러이다. 이후 엄밀한 연구 결과, 오일러가 제시한 형태가 사실은 푸리에가 제시한 일반화 공식의 정수차수에 대한 특수한 형태이며, 이후 분수계 부정적분을 이용한 우회 계산으로 해석적인 범위에서 항상 성립하는 근본적인 형태임이 밝혀졌다.

5. 참고자료



[1] 미분을 뜻하는 differentiation에서 따왔다.[2] 적분을 뜻하는 integration에서 따왔다. [math(I)]가 아니라 [math(J)]로 적는 경우도 많다.[3] 복소평면 위에서 미분 가능[4] 출처에 따라서 공식의 형태가 조금씩 다르다. 예를 들어서 arXiv의 관련 논문의 2페이지에는 [math(\displaystyle \frac{{\rm d}^n}{{\rm d}t^n} \,u(t) = \frac1{2\pi} \int_{-\infty}^\infty u(y) \!\int_{-\infty}^\infty \omega^n \cos \biggl( \omega t -\omega y +\frac{n\pi}2 \biggr) {\rm d}\omega \,{\rm d}y)]로 나오며, 아래의 공식은 이상엽Math에서 언급한 공식.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