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 | ||||||||||||
1923년 | 1924년 | 1925년 | 1926년 | 1927년 | 1928년 | 1929년 | ||||||
연대 | ||||||||||||
1900년대 | 1910년대 | 1920년대 | 1930년대 | 1940년대 | ||||||||
세기 | ||||||||||||
18세기 |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 22세기 | ||||||||
밀레니엄 | ||||||||||||
제1천년기 | 제2천년기 | 제3천년기 |
세계 각 지역의 표기 | |
서기 | 1926년 |
대한민국 | 8년 |
단기 | 4259년 |
불기 | 2470년 |
간지 | 을축년 ~ 병인년 |
주체 | 15년 |
민국 | 15년 |
일본 | 다이쇼 15년(12월 25일까지) 쇼와 원년(12월 26일부터) (황기 2586년) |
베트남 | 보대 원년[1] |
파시스트 기원 | IV ~ V |
이슬람력 | 1344년 ~ 1345년 |
히브리력 | 5686년 ~ 5687년 |
페르시아력 | 1304년 ~ 1305년 |
에티오피아력 | 1918년 ~ 1919년 |
인류세력 | 11926년 |
로마 숫자 | MCMXXVI |
탄소측정연대 | BP[2] 24년 |
1. 개요
1920년대의 일곱 번째 해이다.2. 기후
서울의 월평균기온 통계는 다음과 같았다. 심하지 않은 이상 고온과 이상 저온이 번갈아가며 찾아온 해로, 이상 저온인 10월과 12월을 제외하면 비교적 평범한 기온 분포를 보였다. 특히 10월은 1912년에 이은 하위 2위이다.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
서울 월평균기온(°C) | -4.8 | -2.5 | 3.1 | 9.1 | 16.7 | 20.7 | 24.1 | 25.4 | 20.3 | 11.5 | 6.3 | -4.0 | 10.5 |
평년대비 편차(°C)[3] | -0.3 | -0.6 | -0.2 | -1.4 | 1.0 | -0.2 | -0.4 | 0.1 | 0.6 | -1.5 | 1.2 | -1.9 | -0.3 |
연 최저기온 | 연 최고기온 | 연교차 |
-18.6 °C(0103) | 33.0 °C(0715, 0815) | 51.6 °C |
3. 사건
3.1. 실제
- 1월 26일: 소련 러시아 SFSR 오이먀콘의 최저 기온이 -71.2℃를 기록했다. 이는 지구상에서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에서의 역대 최저 기온이며, 현재까지도 이 기록을 깬 곳은 없다.[4]
- 3월 20일: 중산함 사건이 발생했다.
- 5월 20일: 한용운이 님의 침묵을 발간했다.
- 5월 28일: 포르투갈 제1공화국에서 마누엘 드 올리베이라 고메스 다 코스타(Manuel de Oliveira Gomes da Costa)를 위시한 군사 쿠데타가 발생하여 1공화국이 붕괴되고 군사정부가 수립되었다.
- 6월 10일: 6.10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 7월 9일: 국민당의 1차 북벌이 선포되었다.
- 10월 1일: 나운규의 영화 '아리랑'이 개봉했다.
- 10월 9일: 한글 학회의 주도로 한글날이 만들어졌다.
- 10월 24일: 1차 상하이 폭동이 발생했다.
- 10월 26일: A. A. 밀른이 집필한 동화 곰돌이 푸가 출판되었다.
- 11월 26일: 광저우 국민정부가 우한으로 천도 결정.
- 12월 10일: 유일한이 유한양행을 창립했다.
- 12월 25일: 다이쇼 덴노가 죽으면서 쇼와 덴노가 즉위하여 쇼와 시대가 시작되었다.
3.2. 가상
4. 탄생
4.1. 실제
4.1.1. 1월
- 1월 1일 - 서인석(~2017년): 한국의 정치인
- 1월 3일 - 조지 마틴(~2016년): 영국의 음악 프로듀서
- 1월 7일 - 김종필(~2018년): 대한민국의 정치인
- 1월 9일 - 최종건(~1973년): 한국의 기업인
- 1월 14일 - 바우타자르(~1997년): 브라질의 전 축구 선수
- 1월 17일 - 정래혁(~2022년): 대한민국의 군인
- 1월 29일
4.1.2. 2월
- 2월 2일
- 2월 4일 - 줄러 그로시치(~2014년): 헝가리의 전 축구 선수
- 2월 5일 - 아틸리오 로페스(~2016년): 파라과이의 전 축구 선수
- 2월 11일 - 레슬리 닐슨(~2010년): 캐나다 출신의 배우
- 2월 17일 - 에지스토 판돌피니(~2019년):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
- 2월 20일 - 리처드 매드슨(~2013년): 미국의 소설가
- 2월 22일 - 주제 트라바수스(~2002년): 포르투갈의 전 축구 선수
4.1.3. 3월
- 3월 6일
- 3월 7일 - 에른스트 오크비르크(~1980년): 오스트리아의 축구선수
- 3월 9일
- 3월 16일 - 제리 루이스(~2017년)
- 3월 17일 - 지크프리트 렌츠(~2014년): 독일의 전설적인 소설가
- 3월 19일
- 3월 21일 - 박일갑(~1987년): 대한민국의 전 축구 감독
- 3월 24일 - 다리오 포(~2016년): 이탈리아의 작가, 1997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4.1.4. 4월
- 4월 5일
- 4월 7일 - 아소 미요코(~2018년): 일본의 성우
- 4월 8일 - 위르겐 몰트만(~2024년): 독일의 희망의 신학자
- 4월 9일 - 휴 헤프너(~2017년): 미국의 플레이보이 창간자
- 4월 14일 - 호르헤 로블레도(~1989년): 칠레의 전 축구 선수
- 4월 21일 - 엘리자베스 2세(~2022년): 영국의 여왕
- 4월 24일 - 에리베르토 에레라(~1996년): 파라과이의 전 축구 감독
- 4월 28일 - 하퍼 리(~2016년): 미국의 작가
- 4월 30일 - 클로리스 리치먼(~2021년): 미국의 배우
4.1.5. 5월
- 5월 1일 - 김복동(~2019년): 대한민국의 인권운동가이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 5월 4일 - 발레리아노 로페스(~1993년): 페루의 전 축구 선수
- 5월 5일 - 빅토르 우가르테(~1995년): 볼리비아의 전 축구 선수
- 5월 7일 - 오희옥(~2024년):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5월 8일 - 데이비드 애튼버러(~생존 중): 영국의 생물학자
- 5월 18일 - 이종원(~2007년)
- 5월 26일 - 마일스 데이비스(~1991년): 미국의 재즈 가수
4.1.6. 6월
- 6월 1일 - 마릴린 먼로(~1962년): 미국의 배우
- 6월 3일 - 이포주캉(~1978년): 브라질의 전 축구 선수
- 6월 5일 - 김찬삼(~2003년): 대한민국의 여행가
- 6월 19일 - 훌리오 페레스(~2002년): 우루과이의 전 축구 선수
- 6월 21일 - 로베르트 발라만(~2011년): 스위스의 전 축구 선수
- 6월 26일 - 김을분(~2021년)
- 6월 28일 - 멜 브룩스(~생존 중): 미국의 배우, 희극인
- 6월 30일 - 구평회(~2012년): 한국의 기업인
4.1.7. 7월
- 7월 1일 - 로버트 포겔(~2013년): 미국의 경제학자,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 7월 4일 -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2014년): 스페인의 축구 선수
- 7월 14일 - 해리 딘 스탠튼(~2017년): 미국의 배우
- 7월 18일 - 허형구(~2011년): 대한민국 제17대 검찰총장과 제38대 법무부 장관을 역임한 법조인.
- 7월 25일 - 엘리자베트 몰트만벤델(~2016년): 독일의 페미니즘 신학자
- 7월 26일 - 이반 호르바트(~2012년): 유고슬라비아(現 크로아티아)의 전 축구 감독
4.1.8. 8월
- 8월 3일 - 토니 베넷(~2023년): 미국의 가수
- 8월 4일 - 노재현(~2019년): 한국의 전 군인, 국방장관
- 8월 5일 - 안병원(~2015년): 한국의 동요 작곡가
- 8월 13일 - 피델 카스트로(~2016년): 쿠바의 前 국가평의회 의장
- 8월 15일
- 박인환(~1956년): 대한민국의 시인
- 콘스탄티노스 스테파노풀로스(~2016년)
- 8월 10일 - 김용휴(~2022년): 대한민국의 정치인
- 8월 17일 - 장쩌민(~2022년): 중국의 5대 국가주석
- 8월 30일 - 루디 구텐도르프(~2019년): 독일의 축구선수
4.1.9. 9월
- 9월 2일 - 박준규(~1984년): 대한민국의 정치인
- 9월 4일 - 정일영(~2015년): 대한민국의 정치인
- 9월 8일 - 이동원(~2006년): 대한민국의 정치인
- 9월 15일
- 9월 23일
- 9월 25일 - 김두현(~생존 중)
4.1.10. 10월
4.1.11. 11월
- 11월 5일 - 구봉서(~2016년): 대한민국의 원로 코미디언
- 11월 6일 - 황영시(~2022년): 대한민국의 전 군인
- 11월 12일
- 11월 18일
- 정윤회(~1944년)
- 에스타니슬라오 바소라(~2012년):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
- 11월 27일 - 채명신(~2013년): 대한민국의 군인
- 11월 30일
4.1.12. 12월
- 12월 2일 - 박경리(~2008년): 한국의 소설가
- 12월 8일 - 김명수(~2015년)
- 12월 9일
- 12월 12일 - 송병하(~2010년)
- 12월 15일 - 김집(~2012년): 한국의 전 체육부 장관
- 12월 20일 - 피에로 오페르토(~1949년):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
- 12월 22일 - 알시데스 기지아(~2015년): 우루과이의 축구선수이자 마라카낭의 사신
- 12월 25일 - 우에키 히토시(~2007년): 일본의 코미디언, 가수
- 12월 27일 - 배삼룡(~2010년): 한국의 개그맨
- 12월 28일 - 박정일(~2024년): 한국의 주교
4.1.13. 일자불명
4.2. 가상
5. 사망
5.1. 실제
- 1월 28일 - 가토 다카아키: 24대 일본 총리
- 2월 10일 - 쇼 이토리(長イトリ) : 전주 소학생 유괴 살인사건의 피해자
- 2월 12일 - 이완용: 을사오적 중 하나, 매국노
- 3월 20일 -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로비사 공주: 스웨덴의 공주이자 덴마크의 왕비
- 3월 26일 - 콘스탄틴 페렌바흐: 바이마르 공화국의 총리
- 4월 25일 - 순종: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이자, 한국사의 마지막 군주
- 5월 23일 - 카를 홀; 독일의 루터 부흥신학자
- 6월 10일
- 6·10 만세 운동일에 한국 독립을 위해 희생하신 분들.
- 안토니오 가우디: 스페인의 건축가
- 6월 18일 -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여대공: 러시아 제국의 공주이자 요르요스 1세의 왕비
- 7월 23일 - 가네코 후미코: 독립운동가이자 아나키스트인 박열의 아내
- 8월 4일
- 8월 11일 - 펑더린: 중화민국의 군벌
- 8월 26일
- 10월 31일 - 해리 후디니: 헝가리출신의 마술사
- 11월 26일 - 존 브라우닝: 미국의 총포기술자
- 12월 5일 - 클로드 모네: 프랑스의 화가
- 12월 25일 - 다이쇼 덴노: 일본의 제123대 천황
- 12월 28일 - 나석주: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 날짜 미상 - 푸량쭤: 중화민국의 군벌
5.2. 가상
6. 히트작
6.1. 가요
- 윤심덕 - 사의 찬미
7. 달력
[1] 유년칭원법으로 1월 1일부터 시작[2] Before Present[3] 1907~1930년 평균값 대비 편차이다.[4] 다만 이는 비공식 기록으로 공식되는 기록에만 한정하면 역대 최저 기온이 1933년 2월 6일 오이먀콘에서 기록된 -67.7℃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