摘 딸 적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手, 1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4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テキ | ||||||
일본어 훈독 | つ-む | ||||||
- | |||||||
표준 중국어 | zhāi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딸 적(摘). '(손으로)따다', '뽑아내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따다 |
음 | 적 | |
중국어 | 표준어 | zhāi |
광동어 | zaak6 | |
객가어 | chak | |
민북어 | diă | |
민동어 | cáik[文] / diéh[白] | |
민남어 | tek[文] / tiah[白] | |
오어 | tseq(T4)[文] / tiq (T4)[白] | |
일본어 | 음독 | テキ |
훈독 | つ-む | |
베트남어 | trích |
유니코드에는 U+6458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QYCB(手卜金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手(손 수)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啇(밑동 적) 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결적(抉摘)
- 산적(算摘)
- 적간(摘奸)
- 적과(摘果)
- 적기(摘記)
- 적다(摘茶)
- 적독(摘讀)
- 적록(摘錄)
- 적뢰(摘蕾)
- 적발(摘發)
- 적복(摘鰒)
- 적상(摘桑)
- 적서(摘書)
- 적시(摘示)
- 적심(摘心)
- 적아(摘芽)
- 적엽(摘葉)
- 적요(摘要)
- 적재(摘載)
- 적채(摘採)
- 적출(摘出)
- 적파(摘播)
- 적화(摘花)
- 점적(點摘)
- 주적(籌摘)
- 지적(指摘)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벳키 나츠미(戸次 菜摘)
- 스에츠무하나(末摘花)
- 스에츠무 하나(末摘 花)
- 스에츠무 하나에(末摘 花枝)
- 츠무하나 이스즈(摘花 五十鈴)
- 츠무하나 잇세이(摘花 一誠)
- 츠미구치 츠미나(罪口 摘菜)
- 츠지 나츠미(辻 菜摘)
- 쿠즈류 나츠미(九頭龍 菜摘)
3.4. 지명
3.5. 창작물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𧏸(벌레 이름 상)
- 㒀(거리낌 없을 적)
- 𦗑(귀가 쫑긋할 적)
- 謫(귀양갈 적)
- 䮰(노새 적)
- 豴(돼지 굽 적)
- 𥡦(모종 낼 적)
- 滴(물방울 적)
- 䊞(뭉칠 적)
- 𥕐(방아 적)
- 䵂(보릿가루 적)
- 𥛚(복 적)
- 鏑(살촉 적)
- 㹍(수소 적)
- 䁤(윤기 있는 눈 적)
- 𩝿(일월식 적)
- 嫡(정실 적)
- 嘀(중얼거릴 적)
- 樀(추녀 적)
- 墑(층계 적)
- 𪐏(풀 적)
- 䐱(살을 발라낼 채)
- 蹢(머뭇거릴 척/굽 적)
- 䎮(심을 체)
- 䙗(포대기 체)
- 㠃(적)
- 𤠻
- 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