滴 물방울 적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水, 1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4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テキ | ||||||
일본어 훈독 | しずく, したた-る, た-れる | ||||||
- | |||||||
표준 중국어 | dī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滴은 '물방울 적'이라는 한자로, '물방울'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물방울 |
음 | 적 | |
중국어 | 표준어 | dī |
광동어 | dik6, dik1 | |
객가어 | tit | |
민북어 | dĭ | |
민동어 | dék | |
민남어 | tek[文] / tih[白] | |
오어 | tiq (T4) | |
일본어 | 음독 | テキ |
훈독 | しずく, したた-る, た-らす, た-れる | |
베트남어 | tích, trích |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啇(밑동 적)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누적(淚滴)
- 무적(霧滴)
- 미적(微滴)
- 소적(小滴)
- 수적(水滴): 물방울
- 여적(餘滴)
- 역적(瀝滴)
- 연적(硯滴): 먹물로 쓰기 위한 물을 담아두는 그릇
- 옥적(玉滴)
- 우적(雨滴)
- 유적(油滴)
- 일적(一滴)
- 잔적(殘滴)
- 적력(滴瀝)
- 적로(滴露)
- 적반가습(滴飯可拾)
- 적병(滴甁)
- 적수(滴水): 물방울
- 적유전(滴油箭)
- 적점(滴點)
- 적정(滴定)
- 고주파적정(高周波滴定)
- 산적정(酸滴定)
- 역적정(逆滴定)
- 은적정(銀滴定)
- 잔여적정(殘餘滴定)
- 적정곡선(滴定曲線)
- 적정분석(滴定分析)
- 적정오차(滴定誤差)
- 적정지수(滴定指數)
- 전기적정(電氣滴定)
- 전위차적정(電位差滴定)
- 환원적정(還元滴定)
- 적제(滴劑)
- 적충(滴蟲)
- 적판(滴板)
- 적하(滴下)
- 점적(點滴)
- 한적(汗滴)
- 흑적(黑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 太陽の滴(태양의 물방울)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湳(물이름 남)
- 𧏸[⿰虫啇](벌레이름 상)
- 㒀(거리낌없을 적)
- 𦗑[⿰耳啇](귀가쫑긋할 적)
- 謫(귀양갈 적)
- 䮰(노새 적)
- 豴(돼지굽 적)
- 摘(딸 적)
- 𥡦[⿰禾啇](모종낼 적)
- 䊞(뭉칠 적)
- 𥕐[⿰石啇](방아 적)
- 䵂(보릿가루 적)
- 𥛚[⿰示啇](복 적/척)
- 鏑(살촉 적)
- 㹍(수소 적)
- 䁤(윤기있는눈 적, 노려볼 휴)
- 𩝿[⿰𩙿啇](일월식 적)
- 嫡(정실 적)
- 嘀(중얼거릴 적)
- 樀(추녀 적)
- 墑(층계/과녁 적)
- 𪐏[⿰黍啇](풀 적)
- 䐱(살찐모양 채, 뼈사이살 차, 살발라낼 척)
- 蹢(머뭇거릴 척, 굽 적)
- 䎮(심을 체)
- 䙗(포대기 체)
- 㠃(적)
- 𭂞[⿰冫啇]
- 𠒿[⿰光啇]
- 𤠻[⿰犭啇]
- 𫕒[⿰⻖啇]
- 𭞣[⿰忄啇]
- 𪹧[⿰火啇]
- 𰖪[⿰日啇]
- 𤨬[⿰⺩啇]
- 𲄽[⿰車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