濯 씻을 탁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水, 1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7획 | ||||
고등학교 | |||||||
濯[1] | |||||||
일본어 음독 | タク | ||||||
일본어 훈독 | すす-ぐ, そそ-ぐ, ゆす-ぐ | ||||||
濯[2] | |||||||
표준 중국어 | zhuó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濯은 '씻을 탁'이라는 한자로, '씻다', '헹구다'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FEF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ESMG(水尸一土)로 입력한다.훈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음을 나타내는 翟(꿩 적)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경탁(景濯)
- 동탁(童濯)
- 세탁(洗濯)
- 건조세탁(乾燥洗濯)
- 기계세탁(機械洗濯)
- 세탁기(洗濯機)
- 세탁물(洗濯物)
- 세탁부(洗濯婦)
- 세탁소(洗濯所)
- 세탁실(洗濯室)
- 세탁업(洗濯業)
- 세탁용수(洗濯用水)
- 세탁용품(洗濯用品)
- 세탁장(洗濯場)
- 세탁제(洗濯劑)
- 세탁판(洗濯板)
- 조탁(澡濯)
- 탁계(濯溪)
- 탁령(濯靈)
- 탁어우(濯魚雨)
- 탁영(濯纓)
- 탁정(濯征)
- 탁족(濯足)
- 탁지우(濯枝雨)
- 탁패(濯貝)
- 한탁(澣濯)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澉(싱거울/씻을 감)
- 𤄒[⿰氵⿱𥫗閒](씻을 간)
- 摡(씻을 개)
- 捪(씻을 민)
- 𢱮[⿰扌⿱必皿](씻을 밀)
- 洗/挩(씻을 세)
- 涮(씻을 쇄)
- 拭(씻을 식)
- 湔(씻을 전)
- 洮/澡(씻을 조)
- 滌(씻을 척)
- 盪(씻을 탕)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櫂(상앗대 도)
- 䌦(연둣빛 도)
- 𣩰[⿰歹翟](죽을 도)
- 𩍪[⿰革翟](가죽질길 락)
- 𤛹[⿰牛翟](흰소 악)[3]
- 躍(뛸 약)
- 矅(못볼 요)
- 燿(비칠/빛날 요)
- 曜/耀(빛날 요)
- 𦡱[⿰⺼翟](여윌 요, 뾰족할 소)
- 𤾫[⿰白翟](흰빛 요)
- 𥣞(곡식 적)
- 䊮(곡식 적/조)
- 嚁(소리 적)
- 糴(쌀사들일 적)
- 䴞(짤 적)
- 𢖈[⿰彳翟](가는모양 조)
- 鑃(가래 조)
- 嬥(날씬할 조)
- 糶(쌀팔 조)
- 𥜔[⿰示翟](천묘 조)[4]
- 㒛(홀로설 조)
- 擢(뽑을 탁)
- 蠗/㺟(짐승이름 탁)
- 𧥋[⿰角翟](악)
- 𠑝[⿰余翟]
- 𢣷
- 𡒔[⿰土翟]
- 𡽢[⿰山翟]
- 𫾥[⿰支翟]
- 𫃙[⿰⿱力米翟]
- 𦒰[⿰泰翟]
- 𮋚[⿰⿱出光翟]
- 𨤠[⿰釆翟]
- 𧸭[⿰貝翟]
- 𬣑[⿰言翟]
- 𩁭[⿰奞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