甫 클 보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用, 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7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フ, ホ | ||||||
일본어 훈독 | おお-きい, はじ-め | ||||||
- | |||||||
표준 중국어 | fǔ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甫는 클 보라는 한자로, '크다', '시작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크다'라는 뜻 외에도 '시작하다', '남자의 미칭(美稱)' 등의 뜻이 있다. 갑골문과 금문에서는 田(밭 전)과 屮(싹날 철)이 합한 밭에서 싹이 나는 모습을 본뜬 상형자로 나온다. 이에서 본디는 '채소를 키우는 밭'이란 뜻이 나왔으나, 나중에 '크다'나 '남자의 미칭' 등으로 가차되면서 본 의미는 囗를 덧붙여 圃(채마밭 포)라는 한자로 분화되었다. 자형도 田이 用(쓸 용)으로 바뀌었다. 《설문해자》에서는 用과 父(아비 부)가 합하여 '남자의 미칭'을 뜻하게 되었다고 풀이했지만, 소전에만 의지한 착오로 보인다.유니코드로는 U+752B, 창힐수입법으로는 IJB(戈十月)이다.
3. 용례
3.1. 단어
3.2. 인명
'남자의 미칭'이란 뜻이 있는 만큼, 남자 이름에 들어가는 '보'로 많이 쓰인다. 옛 인명에서는 송양공 자보에서처럼 父와도 상통하기도 한다.- 고보결(高甫潔)
- 공칠보(孔七甫)
- 기보배(奇甫倍)
- 김보당(金甫當)
- 두보(杜甫)
- 보은(甫檼)
- 서왈보(徐曰甫)
- 송양공 자보(玆甫)[1]
- 왕자 성보(王子 成甫)[2]
- 조백석보(曹伯石甫)
- 주보돈(朱甫暾)
- 차석보(車錫甫)
- 최만보(崔晩甫)
- 혼인보 슈호(本因坊 秀甫)
- 홍명보(洪明甫)
- 흥보(興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