畑 화전 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田,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 | ||||||
일본어 훈독 | はた, はたけ | ||||||
- | |||||||
표준 중국어 | tiá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畑은 '화전 전'[1]이라는 한자로, 일본의 국자이다. 일본어에서 밭을 뜻한다.2. 어원
일본에서는 田을 논의 의미로 쓰고, 밭은 이 한자와 畠를 쓴다. 이는 연중 강수 기후의 영향으로 논농사의 비중이 높고 밭농사가 드물던 일본 열도의 풍토 탓으로 추정된다. 전근대 일본에서 밭농사는 대부분 채소밭과 화전(야키하타 농업, 焼畑農法)이 전부였는데, 논농사를 가리키는 '수전(水田)'에 대응하여 '화전(火田)'을 한 글자에 묶어 쓰던 것이 '밭'을 가리키는 것으로 발전했다. 반면 대한민국의 경우 이와 정 반대로 밭을 田으로 쓰고, 논은 畓(답)이라는 국자를 쓴다.[2]3. 용례
3.1. 단어, 고사성어
3.2. 인명
- 니시하타 다이고(西畑 大吾)
- 에바타 료마(江畑 諒真)
- 오바타 타케시(小畑 健)
- 아라하타 칸손(荒畑 寒村)
- 이와하타 고이치(岩畑 剛一)
- 챠노하타 타마미(茶ノ畑 珠実)
- 챠바타케 미쿠(茶畑 美紅)
- 쿠와하타 유스케(桑畑 裕輔)
- 타카하타(高畑)
- 하나바타케 챠이카(花畑 チャイカ)
- 하타 미사키(畑 美紗起)
- 하타 코사쿠(畑 耕作)
- 후루하타 나오(古畑 奈和)
- 챠바타케 미쿠(茶畑 美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