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0 21:17:02

𤾠에서 넘어옴
과녁 적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3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8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テキ
일본어 훈독
まと
-
표준 중국어
de, dī, dí, dì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的은 '과녁 적'이라는 한자로, '과녁' 및 소유격/관형격 조사, '~한 성질/상태'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과녁
중국어 표준어 de, dī, dí, dì
광동어 dik1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에서 모두 자주 쓰이는 중요한 한자이다. 창힐수입법으로는 竹日心戈(HAPI)로 입력한다.

본래 형태는 旳(U+65F3)으로, 뜻을 나타내는 (날 일)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구기 작) 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는 '밝다', '희다'란 뜻이었으나 후대에는 '과녁'이라는 뜻도 생겼다.

중국어에서는 이후 가차되어, '~의', 혹은 '-(으)ㄴ, -는'과 같은 한국어의 관형격 조사 내지는 관형사형 전성 어미와 유사한 기능으로 쓰이게 되었다. 현재도 '我的铅笔(나의 연필)', '黑色的铅笔'(검은색 연필), '我喜欢的铅笔'(내가 좋아하는 연필)과 같은 식으로 쓸 수 있다. 중국 문헌에서는 초기 관화가 쓰이던 원나라 때부터 조사로서의 的이 주로 나타나기 시작했고, 그 이전에는 라고 썼다. 底(的)의 어원에 대해서는 주로 두 가지 설이 있는데, 첫째는 (갈 지)에서 유래했다는 설, 둘째는 (놈 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현대 표준 중국어에서도 수준이 높아질수록 한문 유래 표현이 많아지는데, 的는 보통 之로 대체된다. 그럼에도 的는 현대 중국어에서 출현 빈도수가 가장 높다고 한다.

이 글자는 표준 중국어에서 다음자이다. 먼저 원래의 용법인 '밝다', '과녁', '목적'과 같은 뜻으로 쓰일 때는 dì (e.g. 目的 mùdì)라고 읽으며, '진실하다', '정확하다'와 같은 뜻으로 쓰일 때는 dí (e.g. 的确 díquè)라고 읽는다. 的士(이 경우는 dīshì)와 같이 음차에서 쓰일 때는 단어에 따라, 또 대륙이냐 대만이냐에 따라 다른데, dī, dí, dì 중 어느 하나로 읽는다. 마지막으로 조사로 쓰일 때는 dì 혹은 de로 읽는데, dì는 주로 시를 읽거나 노래를 부를 때, de는 일상생활에서 주로 쓰인다. 이는 de가 dì의 약화된 발음이기 때문이다. 이와 비슷한 사례로 가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주로 근대 이후로, 명사 뒤에 붙어 어떠한 성질과 상태라는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서 사용되었고, 한국에서도 이러한 용법을 그대로 물려받아 '기본적(基本的)', '일시적(一時的)', '사실적(寫實的)'과 같이 많은 단어를 공유한다. 구체적인 어원에 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적(접사) 참조.

3. 용례

3.1. 단어

'과녁'이라는 뜻으로 쓰인 예는 다음과 같다.

* 목적(的)
* 적중(的)
* 적확(的)
* 표적(的)

'-'의 꼴로 쓰이어,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말의 예는 너무나도 많다.

3.2. 인명

3.3. 지명

3.4. 창작물

的이라는 한자가 한중일을 통틀어 너무 자주 쓰이는 통에 창작물 사례도 너무 많다.

3.5.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