祕 숨길 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示,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고등학교 | 4급 | ||||||
秘 | |||||||
일본어 음독 | ヒ | ||||||
일본어 훈독 | ひ-める, かく-す, ひそ-か | ||||||
秘 | |||||||
표준 중국어 | bì, m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祕는 '숨길 비'라는 한자로, '숨기다', '감추다', '비밀(祕密)'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숨기다 |
음 | 비 | |
중국어 | 표준어 | bì, mì |
광동어 | bei3 | |
객가어 | pi | |
민동어 | bé | |
민남어 | pì | |
오어 | pi(T2) | |
일본어 | 음독 | ヒ |
훈독 | ひ-める, かく-す, ひそ-か | |
베트남어 | bí |
유니코드에는 U+7955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IFPH(戈火心竹)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示(보일 시)와 소리를 나타내는 必(반드시 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체자로 示 대신 禾(벼 화)를 부수로 하는 秘[1]가 있다. 단순히 왼쪽의 示를 흘려 쓴 결과가 秘이다.
한국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에서 표준 자형을 '祕'로 삼고 있기는 하나, 정작 완성형 한자 코드에서는 秘가 KS X 1001(한자 변환시 앞에 출력, 검은색)로 배당된 반면, 祕는 KS X 1002(한자 변환시 뒤에 출력, 파란색)로 배당되었다.[2] 현대 한국에선 비교적 한자를 쓸 일이 드물기는 하지만, 쓸 경우에는 이 두 자형이 딱히 관계없이 혼용된다.
3. 용례
3.1. 단어
- 극비(極祕)
- 대외비(對外祕)
- 변비(便祕)
- 비결(祕訣)
- 비경(祕境)
- 비기(秘技)
- 비닉(祕匿)
- 비밀(祕密)
- 비법(祕法)
- 비서(祕書)
- 비원(祕苑)
- 비장(祕藏)
- 비전(祕傳)
- 비책(祕策)
- 비화(祕話)
- 신비(神祕)
- 은비(隱祕)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 秘密の花園(비밀의 화원)
- 秘封活動記録 -月-
- Love Talk(秘語)
3.6. 기타
4. 유의자
- 匿/慝(숨길 닉)
- 擋(숨길 당)
- 密(빽빽할 밀)[3]
- 𧭎[⿰言僕](숨길 복)
- 㚒(숨길 섬)
- 廋(숨길 수)
- 揞(숨길 암)
- 𢔂[⿰彳奄](숨길 엄)
- 桽(숨길 온)
- 隱(숨을 은)
- 潛(잠길 잠)
- 㪆(숨길 저)
- 蟄(숨을 칩)
- 諱(숨길/꺼릴 휘)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𥹅[⿰米必](죽 멸)
- 䛑(고요할 밀)[4]
- 䟤(발길질할 별)
- 䏟(살찐고기 별)
- 䀣/䎵(똑바로볼 비)
- 泌(분비할 비, 스며흐를 필)
- 秘(숨길 비)
- 柲(자루 비/필)
- 㧙(찌를 비/필, 비틀 별)
- 䪐(활도지개 비)
- 䖩(검은벌 필)
- 𨠔[⿰酉必](다마실 필)
- 駜(말살찔 필)
- 鮅(상피리 필)
- 怭(설만할 필)
- 䩛(수레의밧줄 필)
- 妼(엄전할 필)
- 飶(음식의향기 필)
- 𢁽[⿰巾必](장막 필)
- 佖(점잖을/가득할 필)
- 袐(찌를 필)
- 鉍(창자루 필)
- 珌(칼집장식옥 필)
- 馝/𪏺[⿰黍必](향기로울 필)
- 咇(향내날 필)
- 𨸼[⿰⻖必](비)
- 𦣥[⿰臣必](비)
- 𰀜[⿰歪必]
- 𪣊[⿰土必]
- 𤇩[⿰火必]
- 𪰗[⿰日必]
- 𰠜[⿰片必]
- 𪴸[⿰⿱止土必]
- 𪬤[⿰息必]
- 𭞇[⿰亭必]
- 𱟣[⿰扁必]
- 𥑖[⿰石必]
- 𮈊[⿰糸必]
- 𰯾[⿰舌必]
- 𬨘[⿰辛必]
- 𰸽[⿰身必]
- 𲂬[⿰貝必]
- 𩨲[⿰骨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