秒 분초 초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禾,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고등학교 | 3급 | ||||||
- | |||||||
일본어 음독 | ビョウ | ||||||
일본어 훈독 | のぎ | ||||||
- | |||||||
표준 중국어 | miǎ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秒는 '분초 초'라는 한자로, '시간의 단위 초'를 나타낸다. 본래의 독음은 '묘'인데, 식물의 까끄라기(벼나 보리 등의 낱알 하나하나에서 솔잎처럼 길게 자란 부분), 또는 세미하다는 뜻이다. 까끄라기를 영어로는 awn이라고 하기 때문에, 구글에서 plant awn, 또는 botany awn 등으로 검색하면 확실히 이해할 수 있다.2. 상세
뜻을 나타내는 禾(벼 화)와 소리를 나타내는 少(적을 소)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본래 한자음은 "묘"인데, 少가 형성자의 성부로 쓰인 抄(뽑을 초)나 炒(볶을 초)에 이끌려 "초"라는 속음이 굳어졌다. 이에 반해 중국에서는 본래 한자음 '묘'가 그대로 miǎo로 유지되었으며, 일본 역시 이 한자음이 그대로 수입되는 과정에서 자음이 약간 변해 びょう가 되었다.유니코드에는 U+79D2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DFH(竹木火竹)로 입력한다.
본래의 독음으로 쓰이는 경우로 표준국어대사전에 묘홀(秒忽)(벼의 까끄라기와 거미줄[1]이라는 뜻으로, 상당히 작은 것을 의미)이라는 단어가 남아 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 秒速5センチメートル(초속 5센티미터)
- 秒針を噛む(초침을 깨물다)
- 一秒一秒約好(1초 1초 약속해)
- 東京秒針
- 12秒(12초)
- 封焔の135秒(봉염의 135초)
- 一秒ごとに Love for you(1초마다 Love for you)
- 夜明けまであと3秒(새벽까지 앞으로 3초)
- 世界が終わる1秒前(세상이 끝나기 1초 전)
- 120秒のエンドロール(120초의 엔드롤)
- O06.mind Universe.05.震える1秒
- Sigma (Haocore Mix) ~ 105秒の伝説 ~
- 나나가 저지르기 5초 전(ナナがやらかす五秒前)
- 일분 일초 너와 나의(一分一秒君と僕の)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𡮻[⿰監少]/𡮼[⿰⿱⿰臣⿱𠂉⺀皿少](적을 람)
- 㝺(적을 렴)
- 䖢(개미누에 묘)
- 妙/竗/玅/𡭹[⿰亥少](묘할 묘)
- 眇(애꾸 묘)
- 𦕈[⿰耳少](애꾸눈 묘)
- 䏚(허구리 묘)
- 㠺(가는실 사, 가는그물 묘)
- 𩡾[⿰馬少](걸어가는모양 사)
- 䩖(구두 사)
- 沙/砂(모래 사)
- 紗(비단 사)
- 粆(사탕 사)
- 魦(상어/모래무지 사)[2]
- 𡭥[⿰勿少](적을 사)
- 尠/𩨡[⿰骨少](적을 선)
- 𨈘(헌칠한모양 소)
- 𢆽[⿰⿱幺丨少](난쟁이 요)
- 𢆷[⿰幺少](작을 요, 묘할 묘)
- 𡮦[⿰曹少](거칠 조)
- 䟞(머뭇거릴 주)[3]
- 𡮿[⿰毚少](적을 참)
- 𡮞[⿰害少](튼튼할 척)
- 杪(나무끝 초)
- 鈔(노략질할 초)
- 吵(떠들 초, 울 묘)
- 𤰬[⿰田少](밭갈 초)
- 𦨖[⿰舟少](배흔들리는모양 초)
- 𩚙[⿰𩙿少](보릿가루 초)[4]
- 炒(볶을 초)
- 抄(뽑을 초)
- 觘(뿔숟가락 초)
- 耖(써레 초)
- 仯(작은모양 초/묘)
- 訬(재빠를 초, 가냘플 묘)
- 𧘡[⿰衤少](보맷부리 표)
- 𥘤[⿰示少](소맷부리 표)[5]
- 𤤉[⿰⺩少](보)
- 𭁧[⿰內少]
- 𠫴[⿰去少]
- 𰄲[⿰刍少]
- 𫣪[⿰偏少]
- 𱖊[⿰土少]
- 𡭱[⿰出少]
- 𡮓[⿰乖少]
- 𡮘[⿰某少]
- 𫱧[⿰娧少]
- 𡮩[⿰閉少]
- 𡮳[⿰買少]
- 𡂌[⿰嗔少]
- 𰍬[⿰意少]
- 𫹶[⿰忄少]
- 𮤻[⿰⻖少]
- 𣻾[⿰涅少]
- 𬌜[⿰牛少]
- 𱡱[⿰方少]
- 𣌱[⿰曲少]
- 𬁀[⿰昏少]
- 𰱰[⿰草少]
- 𤎤[⿰勞少]
- 𪿉[⿰矢少]
- 𦙧[⿰肉少]
- 𬕓[⿰笑少]
- 𲉫[⿰隻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