妙 묘할 묘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女,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7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ミョウ, ビョウ | ||||||
일본어 훈독 | たえ, わか-い | ||||||
- | |||||||
표준 중국어 | mià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妙는 '묘할 묘'라는 한자로, '묘(妙)하다', '오묘(奧妙)하다', '미묘(微妙)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묘하다 |
음 | 묘 | |
중국어 | 표준어 | miào |
광동어 | miu6 | |
객가어 | miéu, mieu | |
민동어 | miêu | |
민남어 | miāu | |
오어 | miau (T3) | |
일본어 | 음독 | ミョウ, ビョウ |
훈독 | たえ, わか-い | |
베트남어 | diệu |
유니코드에는 U+5999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VFH(女火竹)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女(계집 녀)와 소리를 나타내는 少(적을 소)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체자로는 좌변에 女 대신 立을 쓰는 竗(U+7AD7, 준특급 한자)가 있다.
3. 용례
3.1. 단어
- 경묘(輕妙)
- 교묘(巧妙)
- 기묘(奇妙)
- 묘각(妙覺)
- 묘경(妙境)
- 묘곡(妙曲)
- 묘구(妙句)
- 묘기(妙技/妙機)
- 묘년(妙年)
- 묘덕(妙德)
- 묘랑(妙郞)
- 묘략(妙略)
- 묘령(妙齡)
- 묘미(妙味)
- 묘사(妙思)
- 묘소년(妙少年)
- 묘수(妙手)
- 묘술(妙術)
- 묘안(妙案)
- 묘완(妙腕)
- 묘약(妙藥)
- 묘재(妙才)
- 묘책(妙策)
- 묘필(妙筆)
- 미묘(微妙/美妙)
- 신묘(神妙)
- 영묘(英妙/靈妙)
- 오묘(奧妙)
- 원묘(圓妙)
- 절묘(絶妙)
- 진묘(珍妙)
- 현묘(玄妙)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 경상남도 합천군 묘산면(妙山面)
-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智妙洞)
- 묘덴역(妙典駅)
- 묘신지역(妙心寺駅)
- 묘온도리역(妙音通駅)
- 묘코코겐역(妙高高原駅)
- 묘호지역(妙法寺駅)
- 죠에츠묘코역(上越妙高駅)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 묘원리(妙院里)
- 충청북도 영동군 양강면 묘동리(妙洞里)
-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성덕면 묘라리(妙羅里)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묘암리(妙巖里)
3.5. 창작물
- ジョジョの奇妙な冒険(죠죠의 기묘한 모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