炒 볶을 초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火,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ショウ, ソウ | ||||||
일본어 훈독 | いた-める, い-る | ||||||
- | |||||||
표준 중국어 | chǎ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炒는 '볶을 초'라는 한자로, '볶다', '기름에 튀기다'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709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FFH(火火竹)로 입력한다.훈을 나타내는 火(불 화)와 음을 나타내는 少(적을 소)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각종 볶음 요리 이름에 이 한자가 많이 쓰인다.3.1. 단어
- 초(炒)
- 계초(鷄炒)
- 녹두유초(綠豆乳炒)
- 밀초(蜜炒)
- 부초(麩炒)
- 생선초(生鮮炒)
- 생치초(生雉炒)
- 수초(數炒)
- 약초주(藥炒酒)
- 압초(鴨炒)
- 염수초(鹽水炒)
- 와초(蛙炒)
- 저골초(猪骨炒)
- 저육초(豬肉炒): 제육볶음
- 전복초(全鰒炒)
- 주초(酒炒)
- 청고초초(靑苦草炒)
- 초면(炒麵)
- 초아(炒兒)
- 초약장(炒藥欌)
- 초연(炒硏)
- 초외(炒煨)
- 초장(炒醬)
- 초초(醋炒)
- 초황(炒黃)
- 초흑(炒黑)
- 토초(土炒)
- 해삼초(海蔘炒)
- 홍합초(紅蛤炒)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3.7. 중국어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𡮻[⿰監少]/𡮼[⿰⿱⿰臣⿱𠂉⺀皿少](적을 람)
- 㝺(적을 렴)
- 䖢(개미누에 묘)
- 妙/竗/玅/𡭹[⿰亥少](묘할 묘)
- 眇(애꾸 묘)
- 𦕈[⿰耳少](애꾸눈 묘)
- 䏚(허구리 묘)
- 㠺(가는실 사, 가는그물 묘)
- 𩡾[⿰馬少](걸어가는모양 사)
- 䩖(구두 사)
- 沙/砂(모래 사)
- 紗(비단 사)
- 粆(사탕 사)
- 魦(상어/모래무지 사)[1]
- 𡭥[⿰勿少](적을 사)
- 尠/𩨡[⿰骨少](적을 선)
- 𨈘(헌칠한모양 소)
- 𢆽[⿰⿱幺丨少](난쟁이 요)
- 𢆷[⿰幺少](작을 요, 묘할 묘)
- 𡮦[⿰曹少](거칠 조)
- 䟞(머뭇거릴 주)[2]
- 𡮿[⿰毚少](적을 참)
- 𡮞[⿰害少](튼튼할 척)
- 杪(나무끝 초)
- 鈔(노략질할 초)
- 吵(떠들 초, 울 묘)
- 𤰬[⿰田少](밭갈 초)
- 𦨖[⿰舟少](배흔들리는모양 초)
- 𩚙[⿰𩙿少](보릿가루 초)[3]
- 秒(분초 초)
- 抄(뽑을 초)
- 觘(뿔숟가락 초)
- 耖(써레 초)
- 仯(작은모양 초/묘)
- 訬(재빠를 초, 가냘플 묘)
- 𧘡[⿰衤少](보맷부리 표)
- 𥘤[⿰示少](소맷부리 표)[4]
- 𤤉[⿰⺩少](보)
- 𭁧[⿰內少]
- 𠫴[⿰去少]
- 𰄲[⿰刍少]
- 𫣪[⿰偏少]
- 𱖊[⿰土少]
- 𡭱[⿰出少]
- 𡮓[⿰乖少]
- 𡮘[⿰某少]
- 𫱧[⿰娧少]
- 𡮩[⿰閉少]
- 𡮳[⿰買少]
- 𡂌[⿰嗔少]
- 𰍬[⿰意少]
- 𫹶[⿰忄少]
- 𮤻[⿰⻖少]
- 𣻾[⿰涅少]
- 𬌜[⿰牛少]
- 𱡱[⿰方少]
- 𣌱[⿰曲少]
- 𬁀[⿰昏少]
- 𰱰[⿰草少]
- 𤎤[⿰勞少]
- 𪿉[⿰矢少]
- 𦙧[⿰肉少]
- 𬕓[⿰笑少]
- 𲉫[⿰隻少]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𫷴[⿸广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