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대 경상남도의회 의원 강갑중 姜甲中 | |
| |
<colbgcolor=#e61e2b><colcolor=#fff> 출생 | 1949년 3월 22일 ([age(1949-03-22)]세) |
경상남도 진양군[1] 이반성면 하곡리 서촌마을[2] | |
학력 | 이반성초등학교 (졸업) 이반성중학교[3] (졸업) 진주농림고등학교 (졸업)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 / 학사)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 석사과정 수료)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행정학[4] / 석사[5]) |
가족 | 배우자 배연숙 |
병역 |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1970년 3월 25일 ~ 1973년 2월 15일)[6] |
학력 | 국립경상대학교 총학생회 회장 통합민주당 총재특보 통합민주당 최고의결 당무위원, 정책위 부의장, 경남도당 위원장, 농어민특위 위원장 폐자원 재활용 범국민운동본부 의장 한국농촌 문제연구회 상임고문 한나라당 농림해양수산위원회 위원장 (사)동북아 문화교류친선협회 부회장 제8대 도의회 전반기 농수산위원회 위원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2. 생애
1949년 3월 22일 경상남도 진양군(현 진주시) 이반성면 하곡리 서촌마을에서 빈농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반성초등학교, 이반성중학교, 진주농림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에 진학했다. 이후 대한민국 육군 사병으로 입대하여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다.경상대학교 졸업 후 15년간 농업협동조합중앙회 경제부 비료과 범정부식량증산대책팀에서 근무하였다.[7]이후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과정을 수료하였고,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대학원을 수료하였다.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연구과정(1년제)을 수료하였다. 1988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에서 지역사회개발 전공으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고려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에서 연구과정(1년제)을 수료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경상남도 진양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친여 무소속 정필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이기택이 총재에 취임하자 정무보좌관으로 근무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후보로 경상남도 진주시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한국당 하순봉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경상남도 진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하순봉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남도 진주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정영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남도 진주시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김재경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상남도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남도 진주시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고 통합진보당 강병기 후보의 사퇴로 야권 단일후보로 단일화까지 되었지만 새누리당 김재경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남도 진주시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남도 진주시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남도 진주시 을 선거구에 출마를 선언하였으나 미래통합당 강민국 후보를 지지하면서 출마를 포기하였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진주시장 출마가 예상되었지만 예상을 깨고 진주시 사 선거구[8] 국민의힘 시의원 후보 기호 2-나 번으로 출마하였으나, 국민의힘 최신용 후보, 더불어민주당 서정인 후보에 밀려 3위로 낙선했다.
2024년 1월 14일 진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진주시 을 국회의원 출마를 선언했지만 컷오프 되었다.
3.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진양 | | 5,601 (12.76%) | 낙선 (3위)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진주 을 | | 13,311 (16.91%) | 낙선 (2위)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진주 | [[민주국민당(2000년)| | 5,318 (3.51%) | 낙선 (3위) | |
2002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경남 진주시장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6,513 (18.82%)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진주 을 | 11,797 (15.16%) |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경남 진주 3 | | 29,830 (78.95%) | 당선 (1위)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진주 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1,608 (44.19%) | 낙선 (2위) | [9]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경남 진주 바 | 7,238 (28.88%) | 당선 (1위)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3,226 (12.15%) | 낙선 (4위) | |||
2022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경남 진주 사 | | 3,042 (19.54%) | 낙선 (3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