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7 18:36:36

강근철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Gen.G
20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000><colcolor=#aa8a00> 감독 [[강근철|강근철
solo
]]
코치 [[김해성(발로란트)|김해성S
HSK
]]|[[정범기|정범기
peri
]]
로스터
ACTIV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원태(2002)|김원태
Karo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나라(프로게이머)|김나라
t3xture
]]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범|변상범
Munchki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채영문(프로게이머)|채영문
yoma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재성(프로게이머)|정재성
Foxy9
]]
S : 후보 선수 겸임
VCT 퍼시픽 리그 참가팀 로스터 }}}}}}}}}}}}
강근철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131313><tablebgcolor=#131313> 파일:VCT_Masters_Logo.png발로란트 마스터스
역대 우승자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rowcolor=#fff> 시즌 우승팀 로스터 파일:Sub_white.png
SUB
파일:Coach_white.png
감독 및 코치
<colbgcolor=#131313> 2021 S1 2021 S1 마스터스 우승자
<rowcolor=#6f4acc> 2021 S2 파일:Sentinels 로고.svg 파일:미국 국기.svg
ShahZaM
파일:미국 국기.svg
SicK
파일:미국 국기.svg
zombs
파일:미국 국기.svg
dapr
파일:캐나다 국기.svg
TenZ
x x
<rowcolor=#6f4acc> 2021 S3 파일:Gambit_2020_Teamcard.png 파일:러시아 국기.svg
d3ffo
파일:러시아 국기.svg
Chronicle
파일:러시아 국기.svg
nAts
파일:러시아 국기.svg
Redgar
파일:러시아 국기.svg
Sheydos
x 파일:러시아 국기.svg
Engh
<rowcolor=#6f4acc> 2022 S1 파일:600px-OpTic_Gaming.png파일:600px-OpTic_Gaming_darkmode.png 파일:캐나다 국기.svg
FNS
파일:미국 국기.svg
Victor
파일:미국 국기.svg
crashies
파일:미국 국기.svg
yay
파일:캐나다 국기.svg
Marved
x 파일:미국 국기.svg
Chet
<rowcolor=#6f4acc> 파일:미국 국기.svg
Jovi
<rowcolor=#6f4acc> 2022 S2 파일:FPX 로고 2021.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ANGE1
파일:러시아 국기.svg
Shao
파일:스웨덴 국기.svg
Zyppan
파일:러시아 국기.svg
SUYGETSU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ardiis
파일:덴마크 국기.svg
SEIDER
파일:스웨덴 국기.svg
d00mbr0s
<rowcolor=#6f4acc> 파일:덴마크 국기.svg
Masked
파일:영국 국기.svg
Forrest
<rowcolor=#6f4acc> 2023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영국 국기.svg
Boaster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Derke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Alfajer
파일:스웨덴 국기.svg
Leo
파일:러시아 국기.svg
Chronicle
파일:폴란드 국기.svg
kamyk
파일:영국 국기.svg
mini
파일:러시아 국기.svg
slk
파일:미국 국기.svg
Anderzz
<rowcolor=#6f4acc> 2024 MA 파일:Sentinels 로고.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Zekken
파일:브라질 국기.svg
Sacy
파일:미국 국기.svg
Zellsis
파일:모로코 국기.svg
johnqt
파일:캐나다 국기.svg
TenZ
파일:미국 국기.svg
curry
파일:미국 국기.svg
Kaplan
<rowcolor=#6f4acc> 파일:영국 국기.svg
DrewSpark
<rowcolor=#6f4acc> 2024 SH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ete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3xtur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aki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unchk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aron
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olo
<rowcolor=#6f4ac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SK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131313><tablebgcolor=#131313> 파일:VCT_Masters_Logo.png발로란트 마스터스
역대 준우승자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rowcolor=#fff> 시즌 우승팀 로스터 파일:Sub_white.png
SUB
파일:Coach_white.png
감독 및 코치
<colbgcolor=#131313><rowcolor=#6f4acc> 2021 S2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영국 국기.svg
Boaster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Doma
파일:영국 국기.svg
Mistic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Derke
파일:체코 국기.svg
Magnum
x 파일:영국 국기.svg
mini
<rowcolor=#6f4acc> 2021 S3 파일:Team_Envy_logo.png파일:Team_Envy_logo_white.png 파일:캐나다 국기.svg
FNS
파일:미국 국기.svg
Victor
파일:미국 국기.svg
crashies
파일:미국 국기.svg
yay
파일:캐나다 국기.svg
Marved
x 파일:미국 국기.svg
Mikes
<rowcolor=#6f4acc> 2022 S1 파일:LOUD 로고.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pANcada
파일:브라질 국기.svg
Sacy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saadhak
파일:브라질 국기.svg
aspas
파일:브라질 국기.svg
Less
x 파일:브라질 국기.svg
bzkA
<rowcolor=#6f4acc> 2022 S2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mindfreak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f0rsakeN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Benkai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d4v41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Jinggg
x 파일:프랑스 국기.svg
alecks
<rowcolor=#6f4acc> 2023 파일:Evil Geniuses 로고.svg파일:Evil Geniuses Notext logo white.png 파일:미국 국기.svg
Boostio
파일:미국 국기.svg
Ethan
파일:미국 국기.svg
jawgemo
파일:미국 국기.svg
C0M
파일:미국 국기.svg
Demon1
파일:캐나다 국기.svg
Reformed
파일:미국 국기.svg
potter
<rowcolor=#6f4acc>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Apotheon
<rowcolor=#6f4acc> 파일:미국 국기.svg
BcJ
파일:미국 국기.svg
Zikz
<rowcolor=#6f4acc>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페루 국기.svg
ScrewFace
<rowcolor=#6f4acc> 2024 MA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ete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3xtur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aki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unchk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aron
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olo
<rowcolor=#6f4ac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SK
<rowcolor=#6f4acc> 2024 SH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Boo
파일:영국 국기.svg
benjyfishy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RieNs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Wo0t
파일:폴란드 국기.svg
paTiTek
x 파일:영국 국기.svg
neilzinho
<rowcolor=#6f4acc> 파일:영국 국기.svg
weber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91919><tablebgcolor=#191919> 파일:vct_KICKOFF.svg발로란트 인터내셔널
킥오프

역대 우승자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rowcolor=#cb4038> 시즌 리그 우승팀 로스터 파일:Coach_white.png
감독 및 코치
<rowcolor=#cb4038><colbgcolor=#131313> 2024 파일:VCT_2023_Americas_League_symbol.png 파일:Sentinels 로고.svg Zellsis · TenZ · zekken · Sacy · johnqt · pANcada kaplan · DrewSpark
파일:VCT CN Logo Only.pn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colcolor=#cb4038> Haodong · CHICHOO · nobody · ZmjjKK · Muggle · Smoggy AfteR
파일:VCT_EMEA_Logo_lightgreen.png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Magnum · marteen · SHIN · N4RRATE · tomaszy <colcolor=#cb4038> Engh · ZE1SH · Youenn
파일:VCT_2023_Pacific_League_symbol.png 파일:Gen.G 로고 심플.svg Meteor · t3xture · Lakia · Munchkin · Karon solo · HSK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D2D7><tablebgcolor=#01D2D7> 파일:VCT_2023_Pacific_League_White.pngVCT Pacific
역대 우승 스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73a3c> 시즌 대회 우승팀 스태프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
2023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alecks
2024 S1
S2 파일:Gen.G 로고 심플.svg solo · HSK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1D2D7><tablebgcolor=#01D2D7> 파일:VCT_2023_Pacific_League_White.pngVCT Pacific
감독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파일:DRX 로고.svg 파일:T1 로고.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
편선호
termi
윤으뜸
Autumn
강근철
solo
파일:ZETA DIVISION.svg파일:ZETA DIVISION_white.svg 파일:Team Secret 아이콘.svg파일:Team Secret 아이콘 white.svg 파일:Rex_Regum_Qeon_allmode.png 파일:Global_Esports_2020_allmode.png
이반 셰우초우
Johnta
팀 올슨
dummy
마르티뉘스 발트
Ewok
프레스턴 도넌
Juv3nile
파일:Talon Esports 엠블럼.svg 파일:DFM 로고 2023.svg파일:DFM 로고 2023 화이트.svg 파일:Sin Prisa Gaming notext.png 파일:BOOM_Esports_logo.png
헥터 로사리오
FrosT
-
김경민
SilKanoN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D9093><tablebgcolor=#0D9093>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 VCT CK
역대 우승 스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D9093> 시즌 대회 우승팀 코치진
2022 Stage 1 파일:DRX 로고(2020~2022).svg파일:DRX 로고(2020~2022).svg termi · Argency · glow
Stage 2
2023 Stage 1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solo · peri
Stage 2
2024 Stage 1 파일:LFG_Portal_logo1.png Munghoon
Stage 2 파일:Sin Prisa Gaming notext.png SilKanoN
Stage 3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 라이트.svg pr · ValAnalysis
}}}}}}}}} ||
前 카운터 스트라이크 프로게이머
前 발로란트 프로게이머
파일:solo geng 2024.png
<colbgcolor=#000><colcolor=#aa8a00> Gen.G 감독
solo
강근철 (Kang Keun-chul)
출생 1988년 1월 15일 ([age(1988-01-15)]세)
부산광역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ID solo
소속 팀 PROPARTY
(2020.09.22 ~ 2021.01.01)
NUTURN Gaming
(2021.01.01 ~ 2021.11.12)
Dplus KIA[1] 감독
(2021.12.15 ~ 2023.12.15)

Gen.G 감독
(2024.01.30 ~)
포지션 발로란트 - 메인서포터 겸 오더
주 요원 파일:브리치 초상화.png 파일:킬조이 초상화.png 파일:사이퍼 초상화.png
경력 상금 $108,086.97 (₩122,840,841.40)[2]
에이전시 쉐도우코퍼레이션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카운터 스트라이크 프로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 ID solo
포지션 CS1.6 - 메인오퍼 겸 오더
CS:GO - 오더 겸 라이플러(세컨오퍼)
소속 팀
(CS 1.6)
Project_kr / Hacker.pk
(2005.10.19 ~ 2007.12.12)
eSTRO
(2007.12.12 ~ 2009.01.12)
위메이드 폭스
(2009.01.12 ~ 2011.01.06)
redCode
(2011.02.24 ~ 2011.04.05)
소속 팀
(CS:GO)
MVP PK
(2016.06.27 ~ 2019.03.06)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상세3. 경력 및 플레이 스타일4. 수상 기록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카운터 스트라이크, 발로란트 프로게이머. 現 VCT PacificGen.G 감독.

2. 상세

중학생 때 카운터 스트라이크를 처음 접했으며 Lunatic-Hai의 전신인 MaveN에서 활동하다가 WEG 2005를 위해 구성된 프로젝트팀인 Project_kr에 입단하여 프로게이머 활동을 시작했으며 당시 대한민국 카운터 스트라이크씬을 대표한 선수이자, 아시아 카운터 스트라이크를 대표했던 대한민국 FPS의 레전드라 볼 수 있는 인물이며 아이디인 solo는 본인이 개인플레이를 선호해서 그렇다는데, 실제 게임 하는 거 보면 전혀 안 그런 걸 봐서 그냥 별 뜻 없이 짓고 대충 인터뷰에서만 그렇게 둘러대는 것 같다.[3]

카운터 스트라이크 프로게이머 커리어를 마친 후에는 게임 기획자로 게임사에서 근무하다가[4] 2016년 MVP PK 글옵팀에 입단하여 프로게이머 활동을 하였다. 2019년에 팀에서 나와 은퇴하였다.

발로란트에서 'PROPARTY'라는 팀으로 대회에 출전하는 것이 확인된다. 멤버는 MVP(카운터 스트라이크)를 비롯하여 범 pk계열 소속 멤버들을 주축으로 구성돼있다. 첫 상대로 하필 현재 아마추어씬에서 가장 실력이 뛰어난 팀 중 하나로 꼽히는 VAC kimchi를 만나서 그대로 탈락했고 다음 시즌에도 첫 상대로 TUBEPLE Gaming을 만나서 또 탈락하는 나쁜 대진운을 겪고 있다.
하지만 며칠 후 설해원 Prince에서 개최한 초청대회에서 Quantum Strikers라는 거물을 상대로 매우 아슬아슬하게 승리를 거두는[5] 좋은 모습도 보여주면서 가능성을 남겼다.
점점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더니 사실상 발로란트 메이저라고 할 수 있는 'First Strike'의 한국선발전 예선에 해당하는 대회인 클랜배틀 막바지에 준우승으로 8강에 합류했고, 한국선발전에서도 8강 방어에 성공하는 호성적을 기록했다.
발로란트 초기부터 대회에 출전하고 있으며, 초창기에는 뛰어난 네임밸류를 지닌 멤버들 답지 못한 심각하게 낮은 성적들만 줄줄이 기록했으나 시간이 지나며 천천히 성적이 성장하더니 현재는 Vision Strikers/발로란트를 제외한 모든 국내 팀 통틀어 가장 강력한 팀 중 하나가 되었다. 그 VS 또한 만날 때 마다 패배의 위협에 노출시킬만큼 확실히 국내 최강팀 중 하나의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사실상 VS를 제외하면 자신들을 이길 팀이 없는 수준까지 올라왔다. 그리고 그 VS까지 꺾고 VCT 스테이지2 코리아 챌린저스(사실상 마스터즈 국대선발전)에서 전승 우승을 달성하며 첫 공식 국제대회에 출전하는 한국 팀이 되었다.

본인의 퍼포먼스는 냉정하게 보면 상당히 좋지 못한 편이지만 오더만큼은 여전히 기가 막히다는 것과, 가끔 왕년의 그 느낌으로 삘 타서 드는 오퍼레이터가 예술이라고 할 만큼 노익장의 포스를 자랑하고 있다. 물론 삘을 잘못 타면 총에서 똥이 나갈 때가 없진 않는데 다행히 좀 아니다 싶으면 어거지로 계속 쓰는 타입은 아니고 바로 팀 내 메인엔트리인 allow에게 돌려준다. 나이 먹고 피지컬이 떨어진 올드게이머가 해줘야 하는 플레이를 맡아서 그 능력의 한계까지 짜내면 이 정도까지 가능하다 라는 걸 보여주는 중. 이런 플레이어가 그렇듯이 포지션은 서포터를 전담하고 있으며 주로 킬조이와 사이퍼 같은 후방의 방어형 캐릭터를 다룬다. 가끔 브리치를 플레이하는데 이 역시 다른 섬광 전담 플레이어들과는 달리 서브엔트리보다는 브리치 스킬 특유의 긴 리치를 이용하여 장거리에서 지원하는 서포팅 중심의 운영을 구사한다. 원래 플레잉코치로 영입되었으나 옛전 쩜육 시절 팀원이었던 jaemin이 헤드코치로 들어오자 일반 플레이어로 전환했다가 2021 시즌이 끝나고 은퇴를 선언하고 코치로 전향했다.

이러한 본인의 경력 등을 바탕으로 감독으로 전향한 이후에는 Dplus KIA, Gen.G의 감독직을 수행했으며, Gen.G의 감독을 맞은 이후에는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에서 우승하는 등의 쾌거를 보여주고 있다. 플레이어로서의 시절에는 나이와 피지컬 저하 이슈로 인해 크게 활약하지는 못하였으나, 수십년간의 FPS 경험으로 얻은 지식과 이해도, 오더 능력들이 감독직이라는 역할에서는 큰 빛을 발한 셈.

3. 경력 및 플레이 스타일



MaveN에서 project_kr로, 말 그대로 프로젝트팀이라 그냥 용병으로 갔을 테지만 이 한 번의 대회가 대박이 터지자 그대로 완전히 이적했다. 정확히 말하면 메이븐은 팀이 아닌 클랜이었던 시절이니까 이적이라는 말이 다소 안맞지만 어쨌든 아예 새 둥지로 옮겼다. 이때 원래는 또다른 메인오퍼였던 termi[6]가 완전히 라이플러로 포지션을 변경하고 본인은 메인오퍼가 되었고 동시에 천부적인 재능이 뛰어난 것을 알아본 팀원들에 의해 세컨오더[7]를 겸하게 되었다.

이후 기존 오더였던 ryu가 갑자기 은퇴하자 세컨오더였던 본인이 그대로 메인오더까지 하게 되었는데 CS:GO에서도 그렇지만 CS1.6에서는 집중력을 극한까지 쥐어 짜내면서 플레이하는 포지션인 오퍼가 오더를 겸하는 것은 부담이 너무 심하고 그 만큼 리스크도 커서 일부 독특한 팀이 제외하면 오더는 라이플러가 맡는 게 대부분이었는데, 결국 pk가 그 독특한 팀의 대표적인 케이스로 남았다.[8] 원래 샷발이 미친듯이 뛰어나서 'asian monster'[9]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였고 그 만큼 에임에 의존하는 성향이 짙었으나 이 때부터 기본기 위주로 플레이 스타일이 크게 바뀌었고, 오더를 맡은 초기엔 예상대로 그 뛰어났던 퍼포먼스가 꽤나 흔들렸으나 끈질긴 노력 끝에 세계 최고의 오더 중 하나가 되었으며 pk 만의 예측 불가능한 공격적인 팀 컬러를 만들어냈다.[10]

오더를 하면서도 본인의 퍼포먼스 역시 상당히 회복해서, 다른 팀의 경우 오더들의 인게임 기여도가 낮은 편이지만 solo는 말년까지 개인 퍼포먼스가 문제 되거나 기복이 요동치는 일 없이 항상 잘했다. 세계 최강 수준의 저격과 오더를 한 번에 보여주는데 이 인간이 라이플까지 잘 다뤘으니 진짜 괴물소리 들을 만 했다.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엔 샷발과 센스를 내세우는 북미, 탄탄한 조직력으로 운영을 중시하는 유럽과 구별되는 아시아팀의 특징은 강한 공격성과 전략의 다양성이었는데 pk는 이게 매우 극단적이었다. 어느 스타일이든 너무 치우치면 안정성도 부족하고 프로씬에선 특히 금방 분석당해서 반짝 뜨고 말텐데, pk는 그러면서도 엄청나게 잘했다. 공격적으로 플레이하면 필시 방어가 느슨할 것이고, 너무 전략적인 플레이만 하다보면 분명히 헛점이 드러난다는 건 아주 단순하게 생각해도 당연한데도 pk의 경우 꼭 상대의 머리 꼭대기에 있다는 듯이 상대의 반격에 대응이 너무 적재적소에 완벽하게 딱 맞았다.

물론 이기기만 한 건 절대 아니고 위폭 막바지의 WEM 2010에서 우승할 때 까지 만년 콩라인에 머물렀듯이 마냥 최강으로만 군림한 건 아니었는데, 그래도 언제나 세계 랭킹 상위 10위권에 한 번 들어간 이후로는 위폭 해체 까지 거의 벗어난 적이 없었고 경기를 보면 그냥 잘했다. 전략을 내세운다고 해서 운영이 부실한 게 아니라 오히려 유럽 최상위권 팀을 무난하게 포지션 싸움으로만 압살하기도 하고 샷발은 뭐 솔직히 당시 북미 최강이라던 Evil Geniuses & Complexity 보다 잘 쐈다... 그냥 엄청 잘하는 팀이 과감하고, 전략도 천재적으로 잘 짰던 거다. 이게 다 Hacker.PK 부터 오더를 해온 solo가 만들어낸 팀의 전력이었다고 해도 과장이 아니다. 어릴 때 잠깐을 제외하면 샷발은 그저 그랬던 termi의 숨겨진 기본기를 끄집어내서 최고의 조커 공격수로 탈바꿈 시키고, 반대로 샷발은 무지막지 한데 센스가 부족했던 bail[11]을 팀의 공격적인 성향에 최적화하여 그 샷발을 적에게 휘둘리지 않고 온전히 게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AWP는 원래 잘 쏘니 넘어가더라도, 라이플 실력도 좋아서 위폭 시절 팀의 슬럼프 원인으로 지목된 전문 라이플러 멤버인 Garsia(LSW)[12]보다 더 잘하는 것 같다는 소리도 들었다.

그냥 잘했던 선수, 한때 유명했던 선수 같은 개인사에 가까운 묘사가 아니라 정말 위대한 선수였다는 표현이 전혀 틀리지 않았던 선수였다. 루나틱하이가 허무하게 해체하고 중국 조차 wNv.cn의 패망 후엔 과거 중국의 명성은 사실상 타이루 외엔 유의미한 성적이 없으니 이름만 남아서 몰락해가는 중에도 그 타이루와 함께 '아시아 카스는 여전히 세계 최강급'이라는 억지를 계속 외칠 수 있게 해준 한국 유일의 카스 프로팀이자 세계 최강자들 중 하나였고 그 핵심은 당연히 solo였다. 군대에 들어가서 은퇴한 이후로도 CS1.6에 대한 추억을 간직하고자 하는 전 세계 곳곳의 사람들이 관련 업계에조차 모습을 비추지 않는 것을 아쉬워했고, 폐쇄적인 한국 이스포츠 환경 상 서로 닿지는 못했지만 solo의 팬은 외국에 훨씬 많았다. CS:GO로 복귀했을 때 크게 핫이슈가 터졌던 이유는 한국 카스의 부활이라는 의미와 함께 solo만이 가진 그 상징성과 그리움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 나이 먹고도 나쁘지 않은 실력을 보였지만 결국 세월을 이길 수는 없었다. 어린 팀원들과 본인을 스스로 비교하게 되는 건 당연한 것이고 아무리 소싯적 무서울 것 없이 날뛰던 아시안몬스터라도 이미 나이가 30을 넘은 자신의 한계를 보지 못했을 리가 없다. 은퇴를 준비하겠다고 FA 선언과 함께 탈퇴를 했었는데 이번에도 그 때 처럼 똑같이 어디 코치라도 들어가려는 기미 조차 보이지 않으니까 팬들이 답답해 미치는 것이다. 겨우 그 정도만 하다가 사라질 인물이 아닌데 하면서. 이미 카스라는 게임, 이스포츠로서의 카스에 solo라는 이름은 한 켠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역사에서 없애려야 없앨 수 없는 존재가 된 것이다.

4. 수상 기록

순위 종목 대회명 날짜
1위 CS:GO eXTREMESLAND ZOWIE Asia CS:GO 2018 2018-10-21
1위 CS:GO CS:GO Asia Summit 2018-04-02
1위 CSO 2015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세계선수권 2015-12-09
1위 CS1.6 WEM 2010 Masters 2010-11-07
1위 CS1.6 Intel Extreme Masters 시즌 4 아시아 선수권 2010-02-09
1위 CS1.6 WEG e-stars 2009 대륙컵 2009-07-26
1위 CS1.6 IEF 2008 2008-12-08
2위 CS1.6 ESWC 2008 2008-08-26
2위 CS1.6 Intel Extreme Masters 시즌 2 월드 챔피언십 2008-03-09
2위 CS1.6 WEG 2005 시즌 3 2005-12-11


[1] 팀명 변경: DWG KIADplus KIA, 2023년 1월 9일[2] solo 경력 상금[3] 개인 방송에서 밝히길 학창시절 친구 닉네임이 poloLand였는데 멋있다고 생각해 soloLand로 지었다가 곧 solo로 바꾸었다고[4] 이때 제작한 게임이 블랙스쿼드. 시스템디자이너였다고 한다.[5] 2:0으로 패배 없이 격파하긴 했지만 라운드 스코어는 두 경기 모두 13:11로 정말 간발의 차로 이겼다.[6]Vision Strikers 헤드코치[7] CS1.6 대회들은 대부분 사망한 플레이어에게 라운드 종료까지 모든 의사소통을 금지 시켰기에 오더가 일찍 사망한 라운드에만 잠깐 대신 오더를 내리는 플레이어이다. CS:GO에서는 사라진 포지션이다.[8] 나중에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나머지 팀원들은 걱정을 많이 했지만 은퇴하는 ryu가 마지막으로 'solo는 진짜배기니까 꼭 오더를 시켜야한다' 라면서 신신당부를 했다고 한다. 이게 진짜라면 팀을 떠나는 맏형의 마지막 당부가 신의 한 수로 돌아온 것이다.[9] 원래는 fucking monster인데 공개적으로 쓸 때 대체하기 위해 순화시킨 것 이다. 상대하는 입장에서 욕 나올 정도로 잘했던 것이다.[10] 그러면서도 세계 최고의 오퍼 중 한 명이기도 했는데, 아시아에서는 루나틱하이의 'okju', TYLOO의 'Mo'와 함께 3대 오퍼였다. 서양까지 포함해도 '세계 최고의 오퍼 5명을 꼽으면?'이란 질문에서 solo는 위메이드 폭스 시절까지 어김없이 끼었다. AWP가 1.6에선 더욱 까탈스러운 무기인 만큼 나머지 오퍼들은 실력 판단의 기준에 샷발의 비중이 큰 반면 solo는 '오퍼는 이런 역할, 이런 플레이를 해야 한다'는 기본기 측면이 크게 부각됐다.[11]Bilibili Gaming 감독. 당시에 '우리나라에서 AWP을 가장 잘 쏘는 사람은 솔로, 나머지 모든 총은 바일'이란 식으로 찬양받았다. 약간 pk를 띄워주던 FPS Korea에서 나오던 얘기였던 걸 감안해야겠지만 아무튼 bail은 라이플러 중에서 독보적으로 잘 쏘는 선수라는 게 지배적인 의견이었다. 나이를 먹은 후엔 이런 이미지는 peri가 가져갔다.[12] 물론 서울진화 이후로 가끔 카온 대회 나온 것 말고는 게임을 거의 안하다가 온 거라 전성기 실력을 되찾을 만한 적응시간이 없었던 게 가장 큰 탓인 거 같지만... 아무튼 원래 자신의 자리에 있었던 ari가 워낙 잘하다가 갑자기 나간거라 팬들이 비교를 안할 수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