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01:40:20

개구리 중사 케로로 신작 애니메이션(가제)


개구리 중사 케로로 극장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373a3c> 1기 2기 3기 4기 5기
최종병기 키루루 심해의 프린세스 케로로 VS 케로로
천공대결전
드래곤 워리어 기적의 사차원섬
6기
신작 극장판
}}}}}}}}} ||
개구리 중사 케로로 신작 애니메이션(가제) (2026)
ケロロ軍曹 新作アニメ(仮)
Sergeant Keroro(new work)
파일:개구리 중사 케로로 20주년 신작 애니메이션 공개 전 티저 포스터.webp
<colbgcolor=#6fbd69,#6fbd69><colcolor=#fff,#fff> 장르 개그, 일상, 판타지, SF, 로봇
총감독 후쿠다 유이치
각본
감독 오이자키 후미토시
원작 요시자키 미네
캐릭터 디자인 코이케 사토시(小池智史)
제작 ○○
주연 와타나베 쿠미코, 쿠와시마 호우코
촬영 ○○
CG 및 모델링 ○○
음악 ○○
주제곡 ○○
촬영 기간 ○○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 반다이 남코 픽처스
수입사 파일:일본 국기.svg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KADOKAWA, 반다이 남코 필름 워크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6년 여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년 월 일
화면비 ○○
상영 시간 ○○분
제작비 ○○
월드 박스오피스 ○○
북미 박스오피스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명
최초/국내/독점 스트리밍 (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1]
상영 등급 미정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개봉 전 정보3. 포스터4. 예고편5. 시놉시스6. 등장인물7. 설정8. 줄거리9. 주제가10. 사운드트랙11. 평가
11.1. 개봉 전11.2. 개봉 후
12. 흥행
12.1. 대한민국12.2. 북미 (미국·캐나다)12.3. 중국12.4. 대만12.5. 일본12.6. 영국12.7. 기타 국가
13. 기타

1. 개요

지금까지도 앞으로도 작전 속행중!
티저 문구
개구리 중사 케로로의 극장판 애니메이션 제6기.

구 TVA 첫 방영 20주년이자 종영 후 13년 만에, 플래시 외전작 10년 만에 공개되는 케로로 애니메이션이다.[2][3] 총감독은 후쿠다 유이치, 감독은 오이자키 후미토시. 공개 시기는 2026년 여름.

2. 개봉 전 정보

2024년 4월 1일 오전 0시 3분 경에 공식 X(트위터) 계정을 통해 제작이 발표됐다.

3. 포스터

파일:개구리 중사 케로로 20주년 신작 애니메이션 공개 전 티저 포스터.webp
티저 비주얼[4]

4. 예고편

제작 발표 PV
초특보

5. 시놉시스

6.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개구리 중사 케로로/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개구리 중사 케로로/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개구리 중사 케로로/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개구리 중사 케로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개구리 중사 케로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개구리 중사 케로로#설정|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줄거리

9. 주제가

주제가
원제목
번역명
번안명
TV ver.
Full ver.
<colbgcolor=#6fbd69,#6fbd69><colcolor=#fff> 노래 -
작사 -
작곡 -
편곡 -

10. 사운드트랙

11.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

11.1. 개봉 전

구작 TVA가 358화라는 초장기 방영을 했었고, 그만큼 축적된 팬들도 많은 만큼 이번 신작 제작 소식에 고무적인 소식이 많다. 여기다 제작 협력에 무직전생 시리즈, 오빠는 끝!에서 높은 작화를 선보여 화제를 모았던 스튜디오 바인드가 투입되면서 작화 퀄리티에 대한 기대도 높아졌다.

반다이 남코 픽처스도, 스튜디오 바인드도 야마모토 유스케를 빼면 케로로의 연출 스태프들과 큰 연결 고리가 없으므로[5] 연출과 작품 분위기가 크게 달라질 우려가 있다. 신작 애니메이션 발표 PV를 감독한 것은 후루타 조지인데, 본편도 후루타가 이어서 하게 될 경우 그렇게 평이 좋은 감독이 아니라서 큰 기대를 하기는 힘들다.[6]

그리고 2025년 7월 2일, 주요 제작진이 공개되었는데, 총감독에는 영화 쪽에서 활동하며 은혼 실사화 시리즈를 감독했던 후쿠다 유이치, 감독에 케로로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했던 오이자키 후미토시로 발표되었다. 이런 인선에서 이전 케로로 애니메이션 색을 훼손 없이 계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단, 그림체의 경우 원작 초기의 그림체를 그대로 유지한 구작 TVA와는 달리 케로로팝처럼 현재 요시자키 미네의 그림체를 따라가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제작사는 반다이 남코 픽처스로 공개되었으며 공개된 스태프 중 스튜디오 바인드 관련자가 없으므로 PV와 달리 바인드는 참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11.2. 개봉 후

12.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세계누적)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북미
미정 미개봉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정 미개봉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국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정 미개봉 미정

12.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7]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300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주 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 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 차 20XX-XX-XX. 1일 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일 차(목) -명 -위 -원
20XX-XX-XX. 3일 차(금) -명 -위 -원
20XX-XX-XX. 4일 차(토) -명 -위 -원
20XX-XX-XX. 5일 차(일) -명 -위 -원
20XX-XX-XX. 6일 차(월) -명 -위 -원
20XX-XX-XX. 7일 차(화) -명 -위 -원
2주 차 20XX-XX-XX. 8일 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9일 차(목) -명 -위 -원
20XX-XX-XX. 10일 차(금) -명 -위 -원
20XX-XX-XX. 11일 차(토) -명 -위 -원
20XX-XX-XX. 12일 차(일) -명 -위 -원
20XX-XX-XX. 13일 차(월) -명 -위 -원
20XX-XX-XX. 14일 차(화) -명 -위 -원
3주 차 20XX-XX-XX. 15일 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16일 차(목) -명 -위 -원
20XX-XX-XX. 17일 차(금) -명 -위 -원
20XX-XX-XX. 18일 차(토) -명 -위 -원
20XX-XX-XX. 19일 차(일) -명 -위 -원
20XX-XX-XX. 20일 차(월) -명 -위 -원
20XX-XX-XX. 21일 차(화) -명 -위 -원
4주 차 20XX-XX-XX. 22일 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3일 차(목) -명 -위 -원
20XX-XX-XX. 24일 차(금) -명 -위 -원
20XX-XX-XX. 25일 차(토) -명 -위 -원
20XX-XX-XX. 26일 차(일) -명 -위 -원
20XX-XX-XX. 27일 차(월) -명 -위 -원
20XX-XX-XX. 28일 차(화) -명 -위 -원
}}}}}}}}} ||

12.2. 북미 (미국·캐나다)

12.3. 중국

12.4. 대만

12.5. 일본

12.6. 영국

12.7. 기타 국가

13. 기타


[1]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작품이 방송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2] 제작 소식이 공개된 쪽에서의 시간 기준.[3] 공개 시기로 계산하면 구 TVA 종영 15년만에, 플래시 외전작 12년만에 공개되는 작품이다. 극장판이란 점에선 기적의 사차원섬 이후 16년만에 선보이는 작품이기도 하다.[4] 미국 crunchyroll에서는 이 비주얼을 티저 비주얼로 취급하고 있으나 프리미어 이벤트 공개 직전 20주년 기념으로 만든 비주얼인지라 공개 후 그래픽이 아닌 구작 그래픽이므로 티저 비주얼이라 부르기에 애매하다.[5] 2024년 기준 사토 준이치 (트윈 엔진), 콘도 노부히로 (브리지), 야마구치 스스무 (신에이 동화) 이렇게 흩어졌다. 야마모토 유스케 (8-Bit)의 경우 8-Bit가 2024년 4월 1일부로 반다이 남코 필름 워크스의 자회사가 되었으므로 야마모토가 계속 8-Bit에서 활동한다면 본작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6] 후루타는 감독작 모두 만듦새 자체는 하자가 없지만 작품을 계속 몰입하게 만드는 결정력 부분에서 치명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7]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8] 만우절은 거짓말로 사람들을 속이는 장난을 하며 즐기는 날이기 때문이다.[9] 티저 PV 공개 트윗에 '진짜'라는 해시태그가 달린 건 덤. #[10] 한국판 7기 38화[11] 한국판 7기 39화[12] 대표적인 예시로 알바 뛰는 마왕님!!, 디지몬 어드벤처 시리즈(리부트작 제외), 반요 야샤히메가 있다.[13] 이미 파맛 첵스 사건을 역이용해 첵스 파맛의 출시로 브랜드의 이미지를 크게 상승시키고 대한민국 대중문화의 역사에 한 획을 긋는 업적을 달성한 켈로그와, 1~2기 뽀롱뽀롱 뽀로로 시절의 루피가 갑자기 유행을 타자 이에 힘입어 잔망루피라는 독자적인 프랜차이즈를 신설해 엄청난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아이코닉스의 선례가 있는 만큼 2020년대부터 시작된 뉴트로 열풍의 위력이 어마어마함을 알 수 있다.[14] 이인성의 하차 이후 브룩이나 뚱이의 배역을 이어받은 엄상현이 담당하거나 아예 다른 성우로 교체할 것으로 보인다.[15] 기존작에선 2000년대 초반으로 나왔으며, 2005년, 2006년 정도의 년도로 지정되어 있었다.[16] 해당 작품은 현재 제작 소식만 전해진 상태이고, 신작의 일본 방영 날짜는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 방영 가능성을 보여주는 거라고 100% 확신할 수는 없다.[17] 하지만 차기작이 나올 것이라는 것은 어디까지나 20주년 기념 프로젝트의 일환이라는 문구를 토대로 추측만 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확실하지는 않다. 극장판 개봉 이후에 극장판과 이어지는 내용을 가진 TVA 제작에 돌입할 예정이라면 차기작 공개는 확정된 것이나 마찬가지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차기작 여부는 본작의 흥행 성적 결과에 따라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부분이 된다.[18] 도라에몽 극장판은 일본 내에서 매년 봄방학 시즌에 개봉하여 매년 약 30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할 정도의 압도적인 위상을 갖고 있는 만큼, 케로로 극장판도 이로 인해 어느 정도 흥행에 피해를 본 경향이 없지 않아 있었다.[19] 일반적으로 흥행 수입이 10억 엔 정도만 달성하면 나름 성공했다고 평가받지만, 케로로의 경우 최고 흥행 기록이 약 6억 엔, 그리고 다섯 번째 극장판 기적의 사차원 섬의 경우 2억 엔까지 하락하는 등 TV 시리즈의 인기에 비해서는 매우 저조한 흥행 성적을 보여주었다.[20] 짱구 극장판 또한 도라에몽에 비해서 흥행 성적이 아쉬울 뿐이지 매년 100만~200만 관객은 동원하는 인기 시리즈로, 짱구와 겹칠 시에도 흥행에 어느 정도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21] 공식 유튜브 채널 커뮤니티를 통해서도 발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