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6 19:21:30

개구리입쏙독새

개구리입쏙독새
Tawny frogmouth
파일:아니그걸왜지금말씀하새요;;;;;;;;;;;;;;올빼미닮은개구리입쏙독새는커서아니그걸왜지금말씀하새가된답니다하하호호크크크크크크크크.png
학명 Podargus strigoides
Latham, 1801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상목 신조상목(Neoaves)
쏙독새목(Caprimulgiformes)
쏙독새과(Caprimulgidae)
아과 쏙독새아과(Caprimulginae)
쏙독새속(Caprimulgus)
개구리입쏙독새( P. strigoide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영어: Tawny frogmouth
중국어: 茶色蟆口鴟
일본어: オーストラリアガマグチヨタカ
[clearfix]
1. 개요2. 상세3. 참조

1. 개요

개구리입쏙독새(Tawny frogmouth)는 호주 대륙의 본섬과 호주 남부의 태즈메이니아에 서식하는 쏙독새의 일종이다. 개구리입쏙독새는 야행성이나 둥지를 새끼에게 내어주고 성체는 둥지의 바깥에서 지내지만 위장을 잘하는 편이라서 일반인들에게는 잘 포착되지 않는다고 한다. 한국에는 월요일 아침새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다.

2. 상세

개구리입쏙독새는 몸의 길이가 최대 53cm까지 크는 커다란 새다. 부엉이올빼미처럼 머리가 큰 편인 새로 무게는 보통 약 680g 정도가 나간다고 한다. 날개는 둥근 편이며 사실 다리가 긴 올빼미나 부엉이와는 다르게 다리는 매우 짧다고 한다. 노란색이며 눈동자는 검은색인데, 눈동자가 매우 크기 때문에 노란 바탕은 잘 보이지 않는다.

개구리입쏙독새는 위장의 대가이다. 둥지를 만들지만 큰 몸뚱아리가 둥지를 계속 차지하고 있기 힘들기 때문에 알을 품을 때를 제외하고는 둥지 바깥에서 지낸다. 둥지 바깥에서 지내지만 눈에는 잘 띄지 않는데, 이들의 위장색이 서식지 주변의 나무와 비슷한 색이기 때문에 위장이 잘 되기 때문이다. 개구리입쏙독새 스스로도 위장을 위하여 머리를 독특한 각도로 기울인 채 나뭇가지에 앉아있는 습성이 있다고 한다. 다만 둥지에 새끼가 있는 개구리입쏙독새는 포식자들이 둥지 주변에 접근하면 새끼에게 경보를 보내는 신호를 보내서 그들이 가만히 있게 만들면서 자신의 위치를 노출시키고 포식자한테 경고의 신호를 보내면서 날아간다고 한다.

개구리입쏙독새는 육식성 새로 호주에서는 가장 효과적인 해충 방제 조류 중 하나로 간주된다. 괴상한 벌레나 이상한 갑각류들이 많은 호주에서 개구리입쏙독새는 충분한 해충구제 동물로 작용한다. 그들은 나방, 거미, 애벌레, 야행성 곤충들, 민달팽이달팽이 등을 먹는다. 그들이 먹는 식단 중에는 말벌, 지네, 전갈 등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들에게는 매우 이로운 새이다. 야행성 새이기 때문에 낮 시간 동안에는 사냥을 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지만, 야행성임에도 시력이 나쁜 새가 아니기 때문에 주위에 위협적인 포식자가 없고 먹잇감을 손쉽게 잡을 수 있다면 낮에도 사냥을 하기도 한다고 한다. 개구리입쏙독새는 사냥물을 그 자리에서 먹지 않는다고 한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잡은 먹잇감을 안전한 주변 나뭇가지까지 옮겨가서 잡아먹는다고 한다.

개구리입쏙독새는 평생 한 배우자와 사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처음 한 쌍을 만들고 나면 자신의 반려자와 영역을 합쳐서 평생을 같은 영역에 머문다고 한다. 개구리입쏙독새 부부는 유대감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계속적으로 신체적 접속을 하며, 번식기에는 같은 나뭇가지에 앉아서 몸을 맞대고 있는데, 그 덕분에 개구리입쏙독새의 배우자가 누군지 쉽게 알 수 있다고 한다. 수컷은 매일 10분 이상 자신의 부리로 암컷의 깃털을 부드럽게 쓰다듬으며 그루밍을 한다.

개구리입쏙독새의 번식기는 8월부터 12월까지지만, 건조한 지역에서는 폭우에 맞춰서 번식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컷과 암컷은 함께 둥지를 만드는데, 그들이 만드는 둥지는 매우 연약해서 쉽게 부서질 수 있다.[1] 둥지에 알을 1개에서 최대 3개까지 낳는데, 밤에는 암컷이 품고 낮에는 수컷이 품는다. 알이 부화하여 새끼가 태어나면 부모새는 공동육아를 해서 함께 새끼에게 먹이를 공급한다. 개구리입쏙독새가 성체가 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35일이다.

3. 참조


[1] 성체는 사용하지 않아서 그렇게 만드는 것일까?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