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3:59:01

거시경제학

거시경제에서 넘어옴
경제학
Economics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d0,#333><colcolor=#000,#fff> 미시경제학 소비자이론 · 생산자이론 · 산업조직론 · 후생경제학 · 공공경제학 · 정보경제학 · 행동경제학 · 금융경제학
거시경제학 국민소득 · 인플레이션 · 노동시장론 · 금융경제학 · 화폐금융론 · 경기변동론 · 경제성장론 · 경제정책론
국제경제학 국제무역론 · 국제금융론
경제방법론 수리경제학(경제수학) · 경제정보처리 · 계량경제학(경제통계학)
경제사 경제사 · 경제학사
응용경제학 농업경제학 · 자원경제학 · 환경경제학 · 개발경제학 · 보건경제학 · 노동경제학 · 도시경제학 · 경제지리학 · 법경제학 · 약물경제학 · 정치경제학
비주류경제학 마르크스경제학 · 오스트리아학파 }}}}}}}}}

[[거시경제학|거시경제학
'''{{{#!wiki style="font-family:Times New Roman, serif;font-style:Itali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0px-City_icon_%28Noun_Project%29.svg.png
거시경제의 기본원리
국민소득 인플레이션 노동시장론 금융경제학
파일:external/cdn.pixabay.com/money-bag-400301_960_720.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0px-Simpleicons_Business_line-chart.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Simpleicons_Business_line-graphic-with-two-lines.svg.png 파일:external/cdn.pixabay.com/courthouse-293963_960_720.png
화폐금융론 경기변동론 경제성장론 경제정책론
}}}}}}}}} ||

1. 개요2. 미시경제학과의 관계3. 학파4. 과목
4.1. 기초, 필수 과목(학부)4.2. 심화 과목 (학부)4.3. 석사 과정
5. 거시계량모형6. 관련 문서

1. 개요

/ Macroeconomics

국민소득 이론에 입각한 소비·투자·저축 등의 집계량(集計量)을 가지고 국민소득의 결정을 논하는 경제학.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은 미시경제학과는 구별되는 분야이다. 거시경제학은 크게 경기변동론(business cycle) 80%, 경제성장론(economic growth) 20%로 나눌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금융이론은 주로 경기변동론에서 다루어진다.(물론 성장론에서도 다루어지긴 한다.)

2. 미시경제학과의 관계

미시경제학은 개별적인 산업(농산물, 원유, 원자재 등)에 대한 개별 경제주체(기업, 정부, 가계)의 행동을 다룬다. 이러한 미시경제 요소들이 모여서 국가 전체에 대한 거시경제를 형성한다. 즉, 미시경제학은 거시경제학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지식이다.[1]

존 메이너드 케인스가 '고용, 이자, 화폐에 관한 일반이론'을 발표하면서 거시경제학이 학문적으로 체계화되었다. 그 이전에 거시경제학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보는 이유는, 당대의 경제학자들이 국가 단위의 분석에서도 미시경제학의 이론적 예측이 들어맞을 것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또한 '모든 시장이 같은 규칙에 의해 분석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미시경제학과는 달리, 거시경제학은 '화폐시장이나 생산물시장 같은 다양한 시장에는 각각의 규칙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거시경제학의 많은 부분은 또한 미시경제학을 바탕으로 한다. 학부 수준에서 배우는 총수요 총공급 곡선이 미시에서 배우는 수요공급의 연장선에 있고, 거시경제학을 더 파고 들어가면 개인의 저축과 노동공급 등이 전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는데 결국 이것들은 미시경제에서 배운 것들을 기반으로 한다.[2] 실물경기변동이론을 포함한 대학원 거시경제는 말할 필요도 없다.

즉, 미시경제학적 기초가 튼튼해야 거시경제학을 더 잘 배울 수 있다. 대부분의 대학에서 경제학 수업을 들을 때 미시경제부터 듣고 거시경제를 듣도록 커리큘럼이 짜여져 있는 것은 다 이유가 있는 셈이다. 극단적으로 표현하자면 "나는 미시경제학을 잘 못하지만 거시경제학은 꽤 잘해"라는 말은 "나는 경제학을 못해"혹은 "나는 거시경제학의 뒷부분(미시기초 등)은 포기했어"라고 해석하면 된다.

학부 거시에서부터 미시의 효용극대화 문제 등이 연계되며, 대학원에 가면 미시와의 관계는 더욱 두드러진다. 대학원 거시는 개별 경제주체들의 움직임을 미시적 원리에 입각해 설정하고, 이들이 모였을 때 어떤 거시경제 현상이 일어나는지 살펴보기 때문이다.

반대로 중,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기초적인 경제이론이나[3] 타학부생의 교양강의, 시중에 있는 경제교양서 등은 거의 거시경제에 관한 내용이다. 아무래도 생소한 개념과 쌩뚱맞은 수식부터 튀어나오는 미시경제보단, 실생활에서도 자주 접하는 개념(GDP, 인플레이션, 환율 등등)이 나오는 거시경제 쪽이 사람들에게 더욱 친숙하게 다가오며, 경제라는 일견 딱딱해 보이는 학문에 접근하는 입장에 있어선 차라리 거시경제를 겉핥기로 배우는 쪽이 유리하기 때문. 물론 어디가서 아는 척하기 좋다는 점도 한몫 한다(...).그렇다고 절대 쉽다는 얘기는 아니다

3. 학파

1929년세계 대공황 이후 존 메이너드 케인스 이전의 고전학파 경제학은 대공황을 설명할 수 있는 만족할 만한 답을 내놓지 못했고, 이로 인해 케인스의 방법론이 각광을 받았다. 다만 최초의 케인스의 이론은 오늘날 수많은 경제학과 학부생들이 접하는 것과는 달리 주로 '서술'에 의존한 것이었고[4], 이를 오늘날의 형태로 다듬은 것은 존 힉스(John Hicks)와 앨빈 핸슨(Alvin Hansen) 등을 시초로 하는 미국의 케인지언들.[5]

미시경제이론이 하나의 체계로 자리잡은 것과 달리 거시경제이론은 크게 보면 두 개의 체계가 대립한다. 하나는 미시경제의 마찰이 없는 상태(합리적인 대표적 개인의 최적화 → 모든 시장을 청산하는 경쟁시장 균형해의 존재)를 기본으로 깔고 거시에 접근하여 시장이 무리없이 돌아간다고 보는 고전학파 계열이다. 또 다른 하나는 케인즈의 아이디어를 이어받아 미시적으로 파악한 대표적 개인의 거동은 비대칭정보, 불완전경쟁, 조정 실패 등의 이유로 거시 집계 변수의 거동과 반드시 일치한다고는 볼 수 없다는 케인스학파 계열이다.[6] 거시경제학이란 학문이 생긴 이래로 양자의 대립이 꾸준히 이루어지고는 있지만, 최근의 추세는 일단 동태적 최적화, 장기적으로는 완전한 시장 등에 대한 합의는 이룬 것으로 평가되고, 완벽하지는 않지만 양자의 주장에 대해 서로 동의하는 부분이 늘고 있기도 하다.[7]

미시경제학과 달리 거시경제학에 다양한 학파가 존재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본질적으로 데이터 부족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거시경제 상태를 요약한다고 할 수 있는 GDP는 잘 해봐야 분기당 1회 발표되고, 거시경제학이란 학문이 본격적으로 태동한 것은 케인즈의 일반이론을 기점으로 생각하면 1936년 이후이다. 약 80여년의 자료가 연간 4회 발표되므로, 기준이 되는 데이터는 한 국가당 기껏해야 250개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8] 그런데 거시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는 수없이 많다. 이와 같이 통계적 자유도의 문제가 있어서 데이터로부터 명확한 결론을 추출하기 어렵고, 그렇기에 수많은 해석이 가능하며, 따라서 각각의 해석을 지지하는 학파들이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다.

4. 과목

경제학과에서 미시경제학, 계량경제학과 함께 경제학 3대 필수 과목

4.1. 기초, 필수 과목(학부)

4.2. 심화 과목 (학부)

4.3. 석사 과정

그나마 석사과정 중 쉬운 책으로는 Romer, 어려운 책으로는 Sargent를 꼽고 있다.[12] 미분방정식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며, 이계 동차 미분방정식까지는 풀 수 있어야 한다. 경제성장론 쪽에서는 Barro 같은 책이 있다.[13]

경제성장론 파트에서는 솔로우-스완 모형, 소비자 최적화 성장 모형 (램지 모델, Overlapping Generations Model) 등을 다룬다.
경기변동론 파트에서는 실물경기변동이론(RBC), 케인지안 이론의 요동, 불완전 Nominal Adjustment의 미시적 기초, 소비이론, 투자이론, 실업, 화폐와 인플레이션 등을 다룬다. 석사 거시의 실업 파트에서 효율성 임금 이론을 다루기 시작한다.

실증분석 방법을 실습하기 위해서는 MATLAB이나 R이 필요하다.

5. 거시계량모형

macroeconometric model

최적화 이론에 근거하여 거시경제 시계열 분석하기 위한 계량경제학적 모형. 2014 현재 거시계량 모형은 기본적으로 동태확률일반균형(DSGE)와 Structural VAR의 두 가지 접근방식이 주도하고 있다.

거시 중에서도 전산경제학 (Computational Economics) 쪽은 프로그래밍을 한다. 거시에서 기본적으로 쓰는 DSGE 모형의 균형을 수치적으로 풀어내는 데만도 상당한 컴퓨팅 파워가 필요하다. C++, 파이썬 등을 이용해 시뮬레이션을 돌리고 병렬처리하는 것도 볼 수 있다. 경제 주체들의 이질성(heterogeneity)이나 자금 차입 제한 같은 더 다양한 요소가 모형에 들어가면 속도를 위해 포트란을 배우게 되는 경우도 있다.

6. 관련 문서



[1] 크게 보았을 때, 경제학은 결국 경제 주체가 내리는 결정과, 여러 주체의 결정이 맞물린 결과를 탐구하는 학문이다. 경제 주체가 "왜 이런 행동을 하는지"를 설명하는 미시경제학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 행동의 집합이 어떤 결과를 불러일으키는지를 탐구하는 거시경제학을 온전히 이해할 수 없다.[2] 다만 새케인즈학파 이전 케인즈학파의 이론은 미시경제학의 이론을 무시했기 때문에 통화주의학파 등으로부터 많은 공격을 받았다. 하지만 새케인즈학파 이후로는 미시적 바탕을 기본으로 깔고 가기 때문에 공부하는 입장에서는 당연히 미시경제학이 기본이다.[3]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경제과목에서는 미시경제학 파트가 대학 학부 수준의 반 정도로 짧게 나오며, 그마저도 매우 간소화시켰다. 그런데 학생들 대부분은 이마저도 어려워하거나, 혹은 '어? 경제 할만하네?'로 나오다가 경제학과를 진학하다 피 보는 사례가 간간히 있다(...).[4] 이 때문에 케인스의 경제이론을 직관적이라고 묘사하기도 하고, 엄밀하지 않은 결과라고 오인하기도 한다. 그러나 케인스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학부 재학 시절 뛰어난 수학자였기에, 오늘날과 같은 엄밀한 수학적 설명을 곁들이지 않았다고 해도 수학적 엄밀함을 내포하고 있었다. 후세에 그의 이론을 수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그의 가정 하나하나를 수식으로 바꾸어 설명을 시도한 결과 확인된 사례.[5] 때문에 "나의 케인스는 그렇지 않아!"를 외치는 포스트 케인지언이라는 유파가 있기는 한데 물론 교과서에서는 언급도 안 되는 비주류. 자세한 것은 비주류 경제학참고. 단 전혀 안 나오는 건 아니다. 가령 포스트 케인지언으로 분류되는 조앤 로빈슨 등의 불완전경쟁모형이 미시경제학에서 나온다. 물론 본인 이름은 안 나오고 모형만. 칼도어는 이보다는 훨씬 많이 거론된다.[6] 미시경제를 연구하는 이준구 교수가 자신에게 케인지언이냐 아니냐를 묻는 기자들이 있다며 혀를 찬 적이 있기도 하지만, 미시 전공자들은(거시 개념 자체가 Ad Hoc하다며 좀 경원하는 경향이 있기는 하지만) 굳이 어느 쪽에 공감하느냐고 하면 의외로 케인지언 쪽이라는 반응이 많다. 고전학파 계열이 미시적 기초화를 강조하는 걸 생각하면 좀 의외인데, 오히려 바로 그것 때문이라는 이도 있다. 즉, 그 미시적 기초화라는 것이 주로 최적화 이론 위주로만 이루어져서 일반균형이론의 관점을 결여하고 있다는 것. 미시를 연구하는 경우 거시적으로 케인지안이 되기 쉬운 또 하나의 이유가 있는데, 시장을 구성하는 경제주체가 모두 합리적으로 행동한다고 해도 거시적으로 시장이 항상 파레토 효율을 달성하지는 못한다는 점에 있다. 이 결과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로 죄수의 딜레마가 있다. 다만, 반드시 그런 건 아니다. 이른바 시카고 학파로 대표되는 시장 자유를 중시하는 학자들은 실제로 미시적 기초에 베이스를 둔 경우가 많다. 단적으로 게리 베커를 보더라도...[7] 어떤 정도냐면 케인지언의 주요 거점인 하버드 대학에는 로버트 배로 같은 새고전파 계통이 이름을 날리고 있고, 최근 시카고 대학의 학부 교수진들은 죄다 케인지언 성향이라고 하는 프린스턴 대학교 출신이 세를 넓혀가고 있다. 새케인스학파 중에서도 그레고리 맨큐처럼 새고전학파에 비교적 우호적인 케이스도 있고. 새케인스학파 교수와 새고전학파 교수가 공동연구하는 사례가 증가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8] 물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는 많다. 대표적으로 Angus Maddison같은 경제학자는 경제사료와 통계기법을 이용해 기원후 1년까지의 GDP를 계산했다. 그러나 부족한 과거 자료를 통해 역산하는 이상 정확한 수치는 알 수 없다. 실제 매디슨이 재구성한 데이터를 보면 1800년대 이전의 GDP는 거의 100년 200년 단위로 끊어져 나오고, 게다가 많은 지역의 데이터가 빠져 있다.[9] 김영식 서울대 교수 공저, 13판부터는 동 대학의 이재원 교수도 공저자로 참여.[10] 이철인 서울대 교수 공저[11] 박대근 한양대 교수 공저[12] Romer 저는 미적분학 학부 1학년 수준에 더해 드물게 쓰이는 미분방정식, 변분법, 동적 프로그래밍을 알고 있으면 경제학적 내용에 집중할 수 있다. 반면 Sargent 저는 애초 제목 자체가 "재귀적 거시경제이론"이기 때문에 동적 경제분석을 주된 방법론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계열 분석부터 시작해 많은 방법론을 먼저 앞쪽에 상당량 소개하고 있고, 부록의 함수해석학까지 동원된다.[13] 전남대 강의계획서 참조.[14]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15] Vector Auto Reg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