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15:21:20

건영옴니백화점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백화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전국구 백화점
파일:롯데백화점 로고.svg 파일:현대백화점 로고.svg파일:현대백화점 흰색 로고.svg 파일:신세계백화점 영문 워드마크.svg파일:신세계백화점 영문 워드마크 흰색.svg
파일:갤러리아백화점 영문 로고.svg파일:갤러리아백화점 영문 로고 흰색.svg 파일:AK플라자 CI.svg파일:AK플라자 흰색 CI.svg 파일:NC백화점 로고.svg파일:NC백화점 로고 흰색.svg
지역백화점
파일:그랜드백화점 로고.svg 파일:대구백화점 CI 가로형.svg 파일:대동백화점 로고.svg
파일:행복한백화점 로고.svg 파일:엠백화점 로고_crop.jpg 파일:디큐브백화점 로고.svg
백화점 지역법인
광주신세계 대구신세계 대전신세계
동아백화점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백화점 위탁법인
경방 아라리오 송원 }}}}}}}}}


1. 개요2. 상세3. 역사 및 현황4. 여담

1. 개요

파일:건영옴니백화점 전경.png
파일:건영옴니.jpg
백화점 전경



서울 지역과 전국에서 보기 드문 지역 백화점 중 하나로,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에 위치하고 있다.[1]

2. 상세

층계 입점브랜드
8층 건영스파밸리[2]
7층 건영스파밸리
6층 BNT컨벤션[3]
5층 일부 식당, 검도관, 병원, 동물병원, 약국, 미용실, 학원(???)등
4층 키즈런 스포츠파크, 뷔페 더비아나
3층 가구 종합매장(브랜드 전문)
2층 가구 종합매장, 국민은행, 교복점
1층 의류, 패션잡화
지하1층 식품관[4], CGV 하계[5]
지하2층 검품장, 볼링장, 스크린골프장, 휘트니스
지하3층 주차장
지하4층 주차장
몇몇 층을 제외하면 도저히 백화점이라고 생각되지 않는 구조다. 특히 4층 위부터...

3. 역사 및 현황

1991년에 대구지역 건설재벌 (주)건영이 세워 상업시설 외에 극장, 수영장, 사우나, 볼링장 등을 완비해 파격적인 모습을 보였다. 덕분에 상당한 기간 동안 인기를 유지해 백화점으로써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특히 영화관의 경우 설립 당시 인근에 제대로 된 영화관이 없었기에 노원역 근처에서 까지[6] 왔올 정도였다.

하지만 모기업 자본이 빈약한지라 리모델링 등에 소홀했고 자본과 기술이 부족한 영세 상인들이 임차하는 방식이라 한신코아(현 세이브존)와 미도파백화점(현 롯데백화점 노원점)에 점점 밀렸다. 그러다 1996년 건영그룹이 부도났고, 바로 근처에 아울렛과 까르푸(현 홈플러스 중계점)같은 경쟁자들이 들어온 데다[7], 미도파백화점도 롯데백화점으로 업그레이드하면서 손님들이 또 대거 빠져나갔다. 이 과정을 거치며 매장은 대대적으로 몰락, 위의 표에서 보이는 것처럼 백화점이라곤 상상하기 힘든(...) 종합상가 같은 구성을 갖게 되었다. 지금은 과거의 위상을 잃어버려 손님이 크게 줄어, 평일에 가보면 손님이 너무 적어서 불쌍해 보일 지경에 이르렀다(...). 그나마 은행사거리의 유경데파트에 비하면 백화점으로써의 기능을 최소한이나마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낫다.[8]

1991년부터[13] 2006년까지는 백화점 내에 '옴니시네마'라는 영화관이 있었으나, 2006년 9월 프리머스 노원이 개관[14]하면서 옴니시네마가 사라졌다. 개관 초기 모습 이후 2013년 9월에는 CGV 하계가 개관하면서 현재에 이른다.

주변에 롯데백화점 노원점[15], 2001아울렛 중계점, 홈플러스 중계점, 세이브존 노원점이 있다. 바로 옆에 아파트 단지가 있어 롯데백화점 노원점까지 가기 귀찮은 주민들이 주로 이용한다. 또 지하에 영화관[16]이나 찜질방을 이용하기 위해서 오는 사람도 간혹 있다.

4. 여담


[1] 지하철 7호선 하계역 인근에 위치해 있으며 6번출구에서 노원구민회관 방향으로 걸어가면 나온다.[2] 추가로 옥외광장이 있다고 한다.[3] 구 웨딩시티[4] 푸드코트, 마트, 서점, 스터디카페 등[5]프리머스시네마 노원.[6] 당시 미도파백화점 노원점(현 롯데백화점)은 작은 아동용 극장 하나만 있었다.[7] 그것도 몇백 미터 거리 코앞에 들어왔다. 그러나 바로 옆에 2001아울렛이 있어 요새는 홈플러스도 장사가 잘 안 돼서 사실상 cgv로 먹고사는 모양새다(..)[8] 이곳은 에스컬레이터도 철거하다 만 채 몇몇 층에 그대로 방치중이고, 건영옴니가 그나마 몇몇 프랜차이즈 가게는 있고 푸드코트도 있는데에 반해 유경데파트엔 아예 없다.[9] 지역 주민들이 일상적인 쇼핑을 할 때에는 굳이 백화점에 갈 필요가 없고, 고급 쇼핑을 원할 땐 더 큰 백화점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으니 굳이 동네 백화점에 갈 유인이 별로 없었던 것이다.[10] 당시 상황으로는 건영옴니백화점의 압도적인 매출 때문에 경쟁에서 밀려난 것에 가까웠다. 그 당시로써는 한국에 몇 안되던 멀티플렉스 상영관인 옴니시네마까지 끼고있던 건영백화점은 미도파백화점과도 비교될정도로 많은 고객이 찾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백화점의 위상을 포기한 두 쇼핑몰은 결국 동네 주부나 청소년들이 비교적 부담없으면서도 약간 고급진 옷을 사고 싶을 때 쉽게 찾을 수 있는 아울렛형 매장으로 확실히 자리잡는데 성공하여 세일시즌이면 내부에서 걸어다니기 버거울 정도로 손님이 빽빽하게 들어차있는 모습도 종종 볼 수 있게 된 데 비해, 건영옴니백화점은 저 둘은 쓰러트리고 백화점의 위세를 누렸지만 미도파→롯데백화점의 벽은 넘지 못하고 결국 쓰러지고 말았다. 사실 미도파백화점 상계점→롯데백화점 노원점이 워낙 강적이긴 했다. 잘 나가던 때는 국내 4위의 백화점 업체이던 미도파가 서울의 전통적인 도심인 명동 한복판에 있던 구 명동 본점(이후의 메트로점)을 떠나 새로운 본점으로 삼은 점포였고, 롯데에 인수된 이후에도 롯데쇼핑 산하의 독립법인 롯데미도파가 존속되던 동안에는 롯데미도파의 본점 역할을 계속했으니... 하다못해 입지나 접근성조차도 거주지(아파트 단지) 한복판에 있는 비교적 소규모 상권에 속해있고, 96년에야 서울 지하철 7호선 하계역이 개통된 건영백화점(및 한신코아, 센토백화점)에 비해 원래 4호선 노원역 인접이었던데다 7호선 개통 후에는 환승역이 되었고, 노원구 대개발 이후에는 동북부의 새로운 도심기능까지 하게 된 노원역 상권에 위치한 미도파→롯데백화점이 더 유리했던 것.[11] 건영옴니백화점이 주변의 두 백화점과는 달리 업종변환을 통한 시장적응에 실패한 원인으로는 흔히 <주변의 세 백화점 중 가장 성황을 누리고 있는 상황에 안주하여 불리한 시장 변화를 깨닫지 못한 점> 이나 <쇼핑센터 경영 경험이 없는 건설업체인 모기업의 시장 상황 판단 미숙>, <각 매장 단위 분양 형태로 투자자를 모집한 사업 형태상 사업 형태 변경과 같은 중요한 결정을 신속하게 내릴 수 없었던 의사 결정의 복잡성> 등이 꼽히지만 이 중 어떤 원인이 결정적이었는지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혹시 관련 자료가 있으신 분의 보충 요망.[12] 위 문단에도 "도저히 백화점이라고 생각되지 않는 구조" 라고 평가되어 있지만, 일단 학원이나 교복점, 미용실, 은행등은 일반적으로는 백화점이 아니라 복합상가에 주로 입점할만한 점포들이다. 그리고 가구점 같은 경우도 2개 층을 가구 종합매장이 차지하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 흔히 백화점에 입주하는 형태가 아니라 넓은 공간에 다양한 가구들을 쫙 펼쳐두고 전시하는 대형 매장 형태인데, 이런 가구 전시매장은 아주 넓은 공간을 필요로하는 특성상 통상적인 상권에서는 시내의 상권도 아니고 지가가 싸고 공간이 여유로운 교외에 입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외에도 찜질방, 예식장, 패밀리 레스토랑등이 한 층을 뚝뚝 차지하고 있는데서도 알 수 있듯 통상적인 백화점처럼 임대료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브랜드의 작은 점포들을 최대한 유치하는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공실이 나지 않는 것을 목표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점포들을 유치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13] 기사[14] 기사[15] 노원역 근처에 있다.[16] 월계동이나 공릉동에 거주하는 거주민들은 노원역에 위치한 롯데시네마 노원까지 가기엔 거리가 너무 멀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건영옴니에 위치한 CGV 하계점이나 홈플러스에 위치한 CGV 중계점을 많이 찾는다.[17] (구)한독스파밸리[18] 다만 현재는 1144, 노원09번이 잘 다니고 있어서 큰 문제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