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1 20:44:34

상원군

검은모루동굴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40001>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도소재지
사리원시
송림시 }}}
곡산군 금천군 린산군 봉산군 상원군
서흥군 수안군 승호군 신계군 신평군
연산군 연탄군 은파군 중화군 토산군
평산군 황주군 장단군
}}}}}}}}}
상원군
1. 개요2. 역사3. 유적지
3.1. 검은모루동굴 유적

祥原郡

1. 개요

황해북도의 군.

2. 역사

삼국시대에는 고구려가 이 지역을 차지해 식달(息達)이라 불렀다.

신라가 차지한 후 헌덕왕 때는 토산현(土山縣)으로 이름을 고치고, 9주 5소경한주에 소속되었다. 일단 삼국사기 지리지의 기록상으로는 한주인데, 신라 후기에 한주와 구분되는 특수 행정구역 패강진을 신라 서북면에 설치했다는 설을 긍정한다면 위치상 패강진 관할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 이전에는 평안남도 상원군이었으나 1914년 중화군에 통폐합되었다.

국토가 분단된 이후 북한의 통치에 놓였고 1952년 12월에 대대적으로 실시된 행정구역 개편 때 상원군이 다시 만들어졌다. 1963년 5월에 평양시에 편입되었으나 2010년에 평양시의 관할구역을 축소하면서 황해북도로 넘어갔다.

3. 유적지

3.1. 검은모루동굴 유적

파일:한반도아이콘.svg 한반도 선사 유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석기시대상원 검은모루동굴 유적, 덕천 승리산동굴 유적[1], 만달리 유적, 연천 전곡리 유적[2], 공주 석장리 유적[3], 두루봉동굴 유적[4]
신석기시대서울 암사동 유적, 반구천의 암각화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울주 천전리 암각화 ), 제주 고산리 유적[5], 양양 오산리 유적[6]
청동기시대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 ( 고창 죽림리 지석묘군, 화순 효산리와 대신리 지석묘군, 강화 부근리 지석묘 ), 부여 송국리 유적[7], 대구 진천동 입석, 사월동지석묘군, 속초 조양동 유적
초기 철기시대광주 신창동 유적
연속적 시대 대전 둔산 선사유적지구석기~청동기, 하남 미사리 유적신석기~철기, 굴포리 서포항 유적구석기~청동기[8]
기타 패총 유적 목록
※ 문서가 있는 경우만 서술. 밑줄은 세계유산.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문서에 나오듯 산 이름이 우상화 지명이라서 통일 후 개명 가능성이 높다.[2] 사적 지정, 학설을 뒤집은 유적[3] 남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 유적이며 한강 이남에도 구석기 문화가 있었음을 밝혀냈다.[4] 유적지는 멸실되고 유물만 충북대학교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5] 한반도 가장 오래된 신석기 유적이며 구석기에서 넘어온 과도기 모습을 가졌다.[6] 층서가 형성됐고 토기 종류가 다양해 한국 신석기 문화의 변천, 흐름을 잘 보여준다.[7] 한반도 남부 최초 발견된 초기 청동기 유적[8] 해방후 한반도 최초 발견 구석기 유적 포함
}}}}}}}}}
파일:검은모루동굴.png
60년대 촬영된 검은모루동굴의 전경.
가운데 두 그루 나무 위에 뚫린 구멍이 동굴 입구이다.

흑우리[1]에 있는 구석기시대의 동굴 유적으로, 현존하는 한반도 구석기 유적 가운데 가장 오래된 유적이다. 구석기시대 전기 초에 형성되었으며 연대는 100만년 전~70만년 전인 것으로 추정된다. 주먹도끼, 첨두기, 긁개 등의 뗀석기물소, 마카크[2] , 메르크코뿔소, 동굴하이에나, 나우만코끼리 등의 동물들의 뼈가 발견됐다. 이런 유적의 중요성으로 인해 북한 국보 문화유물 제27호로 지정되었다.

세계유산 잠정목록 평양역사유적지구에도 언급되는데, 등록 당시에는 상원군이 평양시 산하였다.


[1] 검을 흑, 모퉁이 우. '검은모루'라는 지명을 한자로 직역한 것이다.[2] Macaca anderssoniMacaca robustus로 추정되나, 현재 발견된 것이 이빨과 턱뼈 일부 뿐이라 정확한 종을 특정할 수 없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