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經世遺表조선의 실학자 정약용이 나라의 모든 제도에 대한 국가 개혁 논리를 담은 책으로, 원래 제목은《방례초본(邦禮草本)》이다. 1817년에 강진에서 유배 중에 저술하였으며 총 44권 15책. 규장각,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남아 있다.
2. 내용
기존 제도들의 모순에 대한 뼈아픈 통찰과 지적을 남기며 당시 조선의 현실에 맞도록 정치, 사회, 경제 제도를 개혁하고 부국강병을 이루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먼저 기존 육조 제도에 대한 개혁 내용이 실려있다. 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의 조직과 구성 및 담당 업무를 서술한 후, 현재 잘못되고 있는 점, 고쳐야 할 부분들에 대해 서술했다.
이후 정전제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의의에 대해 서술했다. 정전제의 뜻은 좋으나 이걸 우리 나라에 제대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고찰과 가능성, 실현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둔전과 양전(量田)에 대해 설명하며 부세 제도의 개혁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가난한 백성과 농민에게 불리하도록 국가의 부세가 집중되는 현실을 비판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했으며, 무엇보다 중노동인 어업과 염전 등에 부과되는 세금의 모순과 부조리를 비판하고 그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이후 환곡 제도의 모순점에 대해 격하게 비판하고 해결 방안으로 사창제(社倉制)와 상평법(常平法)을 주장한다.
과거 제도에 대한 비판도 있는데, 출신에 구애받지 않는 능력 있는 인물의 등용, 특히 중인 기술직을 우대하고 서얼 출신의 승진을 보장할 것을 주장했다. 또한 선발 과정을 엄격히 하여 관직 수행에 필요한 자질을 갖춘 인재를 선발하도록 했다. 그리고 서북 지방 출신들이 과거 시험에서 받는 차별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고 이를 통렬하게 까고 있다.
행정구역 개편도 주장하였다. 기존의 팔도를 12개 성(省)으로 개편하고, 전조의 도읍인 개성과 제2의 도시 평양은 각각 중경(中京)과 서경(西京)으로 개칭해 유수부를 두며, 기존의 부-대도호부-목-도호부-군-현이라는 행정구역 단위를 도호부[1]-군-현으로 간소화하고, 고을 구색을 갖추지 못할 정도로 작은 고을은 통폐합해 행정 자원 낭비를 막고 행정 편의를 도모하자는 제안을 하였다.[2][3]
전체적으로 당시 조선 사회의 실상과 제반 모순에 대해 비판적 안목에서 상세히 서술하고 있다.
3. 여담
- 선운사 마애불의 배꼽에는 검단선사의 비결이 들어 있어서 이것이 세상에 나오면 한양이 망한다는 전설이 있었다. 후에 동학 농민 혁명 때 동학군이 이 비결을 빼내갔는데, 그것이 바로 정약용의 목민심서와 경세유표였다는 전설이 있다.
4. 외부 링크
[1] 추가로 도호부로 지정된 고을은 '-주(州)'의 형태로 고을 이름을 바꿀 것을 주장하였다.[2] 아카라이브 도시·지리 채널에서 만든 정약용의 행정구역 개편안과 유형원의 한성부 확장안을 반영한 지도[3] 정약용이 주장한 행정구역 개편안은 후대에 일부 실현되었는데, 그 예로 전라도 및 평안도, 함경도의 남북 분도(이후 평안북도와 함경북도에서 량강도와 자강도가 분도), 해미를 합병한 서산(부군면 통폐합 당시 태안 또한 합병했으나, 1989년에 분리함), 황간을 합병한 영동, 전의를 합병한 연기(2012년에 세종으로 개편), 회덕과 진잠이 통합된 대전, 전라도 서부의 섬들을 통합해 신설된 신안(부군면 통폐합 당시 무안에 합병되었으나, 1969년에 분리됨. 또한 신안의 전신인 지도 신설 당시 군청이 지도읍에 있었으나, 무안에 합병 후 신안으로 다시 분리될 때 목포 북교동, 현재의 참사랑요양병원자리에 군청이 설치되었으며, 2011년에 압해읍으로 이전했는데, 바로 이 압해야 말로 정약용이 관아를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한 곳임), 영해를 합병한 영덕, 흡곡을 합병한 통천, 평해를 합병한 울진, 풍덕을 합병한 개성(1930년에 개성부로 승격한 개성군 송도면을 제외한 구역이 개풍군으로 분리되었으나, 개풍구역과 판문구역으로 개편되어 개성에 합병됨), 풍천을 합병한 송화(1952년에 군면리 대폐합으로 송화 일부가 분리되어 삼천 신설, 1967년에 구 풍천 지역이 과일로 분리), 강령을 합병한 옹진 등이 있다.